|
용신用神을 논함(論用神)
용신은 용사하는 신이고, 또 용신이란 용어는 적천수 월령장의 “인원은 용사用事하는 신神이다.”(人元爲用事之神)라는 일구一句를 연원淵源한다. 이 용신은 무궁한 시공간 가운데 어떤 하나의 점과 같은 시공간이고, 이를 격자格子라 호칭하며, 이를 또다시 승기라 칭명하고, 이를 통상 월령이라 명명하기도 한다. 이름만 달리할 뿐이고, 그 실체는 다르지 않다.
주격과 용신의 정법定法은 대체이고, 간지의 생극제합이나 형충파해는 세절이다. 만일 대체를 얻으면 세절은 시절인연을 따라 저절로 얻어진다. 그러나 세절을 얻고서 대체를 얻지 못하면 평생 방황을 면치 못한다. 괴테는 파우스트에서 “인간은 노력하는 한 방황한다.”라는 명언을 남겼다. 이는 대체를 얻지 못했기 때문이다.
각설하고, 용신은 용사하는 신이다. 원국의 연월일시 8개 간지나 대운 유년 또는 유월 유일 유시에 이르기까지 그 중에 어떤 간지일지라도 전혀 용사하지 못하는 간지는 없다. 생극제합이나 형충파해 등도 또한 용사의 별칭에 불과하다. 다만 어떤 위치에서 용사하느냐에 따라 그 호칭을 다르게 부를 따름이다.
나는 승기를 본원용신아라 호칭했고, 사주팔자 중에 가장 강력하게 권력을 행사하는 신을 근본용신이라 칭명했으며, 그 밖에 용사하는 간지를 지말용신이라 명명했다. 이 논용신 장의 용신은 둘째 근본용신에 상당한다. 이는 사주팔자의 관건이고, 또 정수이다.
[원문] 정격定格은 전적으로 승기를 따라가고, 용사는 완전히 용신만 보며, 득력得力은 의당 파손되어서는 안 되고, 당권當權은 반드시 청진清眞해야 한다.(定格專跟乘氣 用事全看用神 得力不宜破損 當權定看清眞)
[나의 견해] 원문은 4구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1구는 승기를 제기하고, 2구는 인원의 용사를 언급하며, 3구는 용신의 체상體相인 득력을 먼저 거론하고, 연이어 4구는 용신의 작용인 당권을 차례로 재론했다. 이 4구 중에 1구와 2구는 주격론이라 용신론의 도입부導入部이고, 3구와 4구는 이 용신론의 핵심이며, 또 총상總相이다. 이 때문에 용신을 단지 두 마디로 정의한다면, 바로 득력해야 옳고, 또한 청진해야 한다. 이하는 총상을 부연한 별상別相이다.
“정격은 전적으로 승기를 따라간다.” 어정자평은 주격을 정하는 주체가 바로 승기이다. 정격법은 논승기 장에서 상세히 언급되었다. 이에 해설을 생략한다.
“용사는 완전히 용신만 본다.” 이 용사하는 주체는 원래 승기이다. 이 때문에 제2구를 인원의 용사에 상당한다고 위에서 언급했다.
그러나 본원용신도 용사하고, 근본용신도 또한 용사한다. 이에 별상에서는 용사를 근본용신으로 보고자 한다. 용사는 용권用權이니, 그 권력을 행사한다. 어떤 권력을 행사하여 팔자가 좋게 또는 나쁘게 펼쳐 나아간다. 그 주체가 용신이다. 팔자 중에 가장 강왕한 간지가 용신이고, 그 용신이 용사한다. 이 때문에 용사는 용신 하나만 본다고 말한 것이다.
“득력得力은 의당 파손되어서는 안 된다.” 논승기 편에서 득력을 설명했다. 다시 인용한다. “득력은 선가禪家의 용어이다. 수행이 경계에 이르러 순풍에 돛을 달듯이 힘쓰지 않아도 저절로 나아가는 경지를 말한다.” 달리 표현하면, 팔자 중에 득력한 신을 용신이라 말할 수 있다. 다시 득력을 “힘쓸 수 있다”라고 해석하기도 했다. 만일 파손되면 힘쓸 수 없으니, 또한 득력이라 말할 수 없다.
“당권當權은 반드시 청진清眞해야 한다.” 당권은 집권執權과 같다. 권세나 정권을 잡는다. 용신은 팔자 전체를 사령하는 권한이 있다. 이를 당권이라 한다. 팔자를 사령하는 용신은 청진해야 한다. 청진은 청탁清濁과 진가眞假 중에 수승한 면만 취한 것이다. 청순하고 진신眞神이어야 한다. 만일 용신이 혼탁하거나 가신이라면 그 결과는 자명할 것이다.
[원문] 용신은 으뜸으로 파손을 꺼려한다.(用神最忌破損)
[원주] 예를 들면 재성이 파인破印하고, 효신이 탈식奪食하며, 용재用財하는데 겁재를 만나고, 용관用官하는데 상관을 만나며, 용상用傷하는데 인수를 만나고, 용겁用劫하는데 관성을 만나는 것과 같은 등류이다. 또 예를 들면 용인用印하는데 비겁의 분탈分奪을 만나고, 용관하는데 효신의 설기泄氣를 만나는 것과 같으니, 바로 용신의 파손이다.(如財星破印 梟神奪食 用財逢劫 用官逢傷 用傷逢印 用劫逢官之類 又如用印逢比分 用官逢梟泄 則損)
[나의 견해] 총상 중에 제3구 득력의 파손을 제일 먼저 천명하고 있다. 용신과 관련한 첫째 요구사항은 무엇인가? 득력한 용신이 파손되어서는 안 된다.
인성이 용신이면 재성을 꺼리고, 식신이 용신이면 효신을 꺼려한다. 십신은 모두 용신이 될 수 있고, 그 용신을 극제하거나 설기하면 바로 용신이 파손된다. 이 때문에 그 극설하는 십신을 꺼리는 것이다. 재성파인財星破印부터 용겁봉관用劫逢官까지는 극제의 폐단을 사례로 들었고, 용인봉비用印逢比와 용관봉효用官逢梟는 설기의 폐해를 사례로 들었다. 용신의 식상이 그 정기를 설기하면 흉하겠지만, 만일 용신을 호위한다면 또한 길할 것이다. 전후사를 자세히 살펴야 또한 옳다. 극제도 그 원리는 설기와 동일하다. 인성이 용신이어도 재성을 꺼리지 않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재성파인과 용인봉비는 모두 인성이 용신이다. 전자는 재성이 흉신이고, 후자는 비겁이 흉신이다. 상세히 살펴야 한다. 기본법칙과 예외법칙은 언제나 동시에 존재한다.
[원문] 용신은 극력 혼잡을 피해야 한다.(用神切忌混雜)
[원주] 예를 들면 관살이 병투幷透하고, 식상이 병투하며, 편인 정인이나 편재 정재가 병투하는 것과 같은 등류이다. 또 예를 들면 용상하는데 식신이 틈타고, 용인하는데 효신이 틈타는 것과 같다. 안팎에서 서로 조응하지 않는 것이 또한 이러하다. 오직 식신이 노출하고 상관은 은장하며, 관성이 노출하고 칠살은 은장하는 팔자는 혼잡으로 여기지 않는다. 길신을 용사하고 흉신을 용사하지 않기 때문이다. 칠살이 노출하고 관성이 은장함에 이르러서는 완전히 살신煞神을 의뢰하되 극제가 있어야 한다. 그러하지 않으면 더욱 흉하다.(如官煞幷透 傷食幷透 偏正印及偏正財幷透之類 又如用傷乘食 用印乘梟 內外不相照應 亦是 惟露食藏傷 露官藏煞者 不爲混雜 用吉而不用凶也 至於露煞藏官 全賴煞神有制 否則更凶)
[나의 견해] 총상 제4구 당권當權의 청진清眞 가운데 청탁을 부연하고 있다. 혼잡하지 않으면 청순하다 일컫고, 혼잡하면 혼탁하다고 말한다. 용신은 순일해야 한다.
정관과 칠살이 함께 천간에 투출하고, 식신과 상관이 함께 투출한다. 이를 용신이 혼잡하다고 한다. 자주 나오는 용어는 그대로 쓰고자 한다. 병투가 그러하고, 용인이나 용상 등도 또한 그러하다. 용신이 천간과 지지에 있어도 또한 혼잡하다고 한다. 예를 들면 용상하는데 식신이 틈탄다. 상관은 천간에서 용신으로 용사하고 있는데, 비록 식신은 지지에 있지만 기회만 생기면 천간에 투출하여 용사하고자 한다. 이를 안팎에서 서로 조응하지 않는다고 한 것이다. 모든 사람들이 출세하고 싶은 욕망을 갖고 있는 것과 같다.
예를 들면 용상하는데 식신이 틈탄다. 이를 뒤집으면 어떠한가? 오직 식신이 노출하고 상관은 은장한다. 이를 ‘틈탄다’를 써서 표현하면, “예를 들면 용식하는데 상관이 틈탄다.”라고 말할 수 있다. 이는 혼잡하다고 말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길신을 용사하고 흉신을 용사하지 않기 때문이다.”
“칠살이 노출하고 관성이 은장함에 이르러서는 완전히 살신煞神을 의뢰하되 극제가 있어야 한다.” “살신煞神을 의뢰한다.” 칠살을 용신으로 간주하라는 뜻이다. 극제가 있으면 길하고, 없으면 흉한 것은 불문가지不問可知이다.
[원문] 삼간三干이 병립幷立하면, 일간一干만 용사하고 양간兩干은 용사하지 못한다.(三干幷立 用一而不用兩)
[나의 견해] 삼간은 연간과 월간 시간을 말하고, 병립幷立은 삼간 중에 양간兩干의 오행이 동일하지만 편정으로 음양이 다른 경우를 말한다. 이는 용신이 혼잡하기 때문에 용사할 수 없고, 나머지 일간一干이 용사한다. 이는 상격의 범주이고, 중하격의 범주는 아니다. 중하격은 양간을 용신으로 쓸 수도 있다.
[원주] 예를 들면 양궁兩宮에서 병투하거나 관살이 병투함과 같은 것은 모두 용사하지 못한다. 그러나 간혹 재성을 써서 관성을 생조하거나 간혹 상관을 써서 칠살을 가어駕御하는데, 관성이나 칠살이 병투하게 되면 바로 생조나 제어가 모두 전일하지 못하니, 반드시 행운을 기다려 한신을 합거한 이후에나 용신이 청순할 수 있다. 나머지도 이를 본받으라. 오로지 식신이나 상관을 써서 생재하는 팔자라면 비록 편재 정재가 병투해도 또한 무방하다. 이 재성은 가장 쉽게 수생受生할 수 있기 때문이다. 편재가 홀로 투출하고 식신을 만나면 또한 수생하는데, 또 상관이 식신과 혼잡하면 또한 부자는 있지만, 단지 귀하지는 못한다.(如兩宮幷透 及官煞幷透者 俱不用 但或用財生官 或用傷駕煞 而遇官煞幷透 則生制俱不專一 必待行運合去閑神 而後用神得清也 餘仿此 惟用食傷生財者 雖偏正財幷透 亦不妨 以財最易生也 偏財獨透 遇食亦生 又傷食混雜 亦有富者 但不貴耳)
[나의 견해] 양립을 “예를 들면 양궁兩宮에서 병투하거나 관살이 병투함과 같은 것은 모두 용사하지 못한다.”라고 설명한다. 궁宮은 지지를 말한다. 삼명통회에 “왕상휴수사가 함께 십이궁에 기생함”(旺相休囚死並寄生十二宮)이란 편명이 있다. 기문의 구궁이나 자미두수의 십이궁은 기본 중에 기본이다. 명리에서 궁을 확장하면 연월일시의 4개 간지를 말할 수도 있다. 양궁兩宮의 병투가 그러하다. 궁을 하나의 격자로 볼 수도 있다.
일간을 제외한 삼간의 구조가 재생정관하거나 상관가살하는 경우는 어떠한가? 재성과 상관이 용신이다. 가령 연월간에 재성과 정관이 있는데 시간에 칠살이 투출하면 재성의 생조가 전일하지 못하고, 또 양간에 상관과 칠살이 있는데 정간이 병투하면 상관의 제어가 순일하지 못하는 병통이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는 어떻게 해야 할까? 그 처방전이다. “반드시 행운을 기다려 한신을 합거한 이후에나 용신이 청순할 수 있다.”
[원문] 용신은 승왕乘旺을 가장 기뻐한다.(用神最喜乘旺)
[원주] 진기는 곧 왕강하고, 퇴기는 바로 쇠약하다. 또 예를 들면 좌록坐祿이나 좌귀坐貴 좌고坐庫와 장생 제왕 임관과 같은 등류이고, 또다시 예를 들면 용목用木에 해묘미를 만나고, 용화用火에 인오술을 만나는 것과 같으니, 또한 이러하다.(進氣則旺 退氣則衰 又如坐祿坐貴坐庫 與長生帝旺臨官之類 又如用木逢亥卯未 用火逢寅午戌 亦是)
[나의 견해] 승왕은 총상의 제3구 “득력得力은 의당 파손되어서는 안 된다.” 중에 득력을 강조한 것이다.
“진기는 곧 왕강하고, 퇴기는 바로 쇠약하다.” 진기와 퇴기는 곧바로 이러하다고 단정하기보다는 그러할 경향이 있다고 이해하는 것이 좋을 듯하다. 삼명통회에서 이르기를, “예를 들면 12월은 갑목의 진기이고, 정월은 을목의 진기인 것과 같다.”(如十二月甲木進氣 正月乙木進氣)라고 하고, 또 이르기를, “이 연주連珠의 진퇴進退는 예컨대 병인이 정묘의 동기同氣를 보는 것과 같으니, 이를 퇴기라 칭명하고, 정묘가 병인을 보면 일진一辰을 물러서니, 오히려 이것이 나아가는 것이며, 비로 진기眞氣이다”(若連珠進退 如丙寅見丁卯同氣 是名退氣 丁卯見丙寅退一辰 却是進 乃眞氣也)라고 한다. 문장의 마지막 진기眞氣는 진퇴를 말하고 있기 때문에 진기進氣라 읽는 것이 더 옳을 듯하다.
이를 의거하면, 갑목의 정기는 인월에 있고, 정기의 전후 월기月氣를 진기 또는 퇴기라 하니, 12월은 진기가 되고, 2월은 퇴기가 된다. “정월은 을목의 진기이다.”라는 구절이 이를 입증한다. 곧 12월은 갑목의 진기이고 을목의 진기는 아니다. 이 원리를 퇴기에 적용하면 어떠한가? 병인은 정묘월을 퇴기라 칭명하고, 정묘는 병인월을 진기라 호칭할 수 있다. 비록 이치는 그러하지만, 너무 각박하지 않는가?
갑을목은 축월을 진기로 보고, 진월을 퇴기로 볼 수도 있다. 4개 계절을 진월과 퇴월로 확정하는 것이다. 갑목은 춘절에 갑인월과 갑진월이 있다. 갑목은 생존하고자 하면 반드시 진토가 있어야 한다. 이 때문에 갑목은 진월을 마냥 퇴기로 보고 허약하다고 단정하기에는 무리가 없지 않다. 이에 가감해서 보는 것이 또한 옳다.
[원문] 용신은 일기一氣를 가장 기뻐한다.(用神最喜一氣)
[원주] 예를 들면 정재가 칠살을 생조하고, 칠살이 정인을 생조하는 것과 같고, 또 예를 들면 효신이 겁재를 생조하고, 겁재는 식신을 생조하며, 식신은 칠살을 극제하는 것과 같은 등류이다. 또다시 예를 들면 천원이 일기이고, 양간이 부잡하며, 삼기가 순서대로인 것과 같은 등류이니, 또한 이러하다. 또 예를 들면 살인상생煞印相生과 상관생재傷官生財 양격兩格은 반취反取하는 것과 같으니, 노살장인露煞藏印하거나 노상장재露傷藏財하면 길하게 된다. 대체로 인수나 재성이 밖에 노출하면 행운의 극설克泄을 두려워하는데, 상관이나 칠살이 밖에 노출하면 쉽게 제화制化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바로 이른바 “재신財神이 태로太露하면 쟁탈하는 풍파를 일으키고, 흉물凶物이 심장深藏하면 양호養虎하는 화환禍患을 이루게 된다.”라는 것이다.(如正財生七煞 七煞生正印 又如梟神生劫財 劫財生食神 食神制七煞之類 又如天元一氣 兩干不雜 三奇順序之類 亦是 又如“煞印相生”“傷官生財” 兩格反取 露煞藏印 露傷藏財爲吉 蓋印財外露 怕行運克泄 傷煞外露 便易制化也 正所謂“財神太露 起爭奪之風 凶物深藏 成養虎之患”也)
[나의 견해] 일기는 총상의 제4구 “당권當權은 반드시 청진清眞해야 한다.”라는 구절 중에 청순을 말한 것이다. 일기의 원의는 태극이다. 명통부明通賦에 이르기를, “태극이 조판肇判하여 천지가 되고, 일기가 양분하여 음양이 되며, 오행으로 유출한다.”(太極判爲天地 一氣分爲陰陽 流出五行)라고 하니, 태극과 일기가 상응하고, 조판 천지는 양분 음양과 호응한다.
명리에서는 주로 오행의 한 기가 전일한 것을 일기라 한다. 일간이 갑목이면 기토 정재가 경금 칠살을 생조하고, 경금은 계수 정인을 생조한다. 음양이 교차하며 상생한다. 또 예를 들면 임수 효신이 을목 겁재를 생조하고, 겁재는 병화 식신을 생조하며, 식신은 경금 칠살을 극제하는 것과 같다. 이상은 음양이 교차하며 오행이 상생하는 사례이다. 이를 좋게 보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식신 일기로 상생해도 또한 좋다. 아래와 같다.
일기상생一氣相生은 오행순식五行順食이라 호칭하기도 하는데, 지위는 삼태三台와 이웃한다. 진보부眞寶賦를 인용한다. “일기상생은 곧 갑목이 병화를 생하고, 병회는 무토를 생하며, 무토는 경금을 생하니, 오행이 식신으로 순행한다. 다시 지지도 순차로 이롭게 하는 팔자라면 대귀할 것이다.”(一氣相生 即甲生丙 丙生戊 戊生庚 五行順食 更地支互益者 大貴)
“또다시 예를 들면 천원이 일기이고, 양간이 부잡하며, 삼기가 순서대로인 것과 같은 등류이다.: 이도 또한 일기로 본다.
“또 예를 들면 살인상생煞印相生과 상관생재傷官生財 양격兩格은 반취反取하는 것과 같다.” 이도 또한 일기상생의 부류로 볼 수 있다. 반취는 뒤집어서 취한다, 거꾸로 취한다. 이는 또 무슨 말인가? 칠살과 상관은 흉신이라 천간에 투출하지 않는 것이 좋고, 투출하면 반드시 극제해야 좋다고 한다. 또 인수나 정관(또는 재성)은 길신이라 투출해야 옳고, 또 호위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런데 칠살과 인수가 조합하고, 상관과 재성이 상생으로 조합하면 천간과 지지의 위치가 반대로 되는 것도 또한 좋다. 이를 반취라 한다.
곧 “노살장인露煞藏印하거나 노상장재露傷藏財하면 길하게 된다.” 또다시 이를 뒤집으면, “노인장살露印藏煞하거나 노재장상露財藏傷하면 길하지 않을 수도 있다.” 팔자는 천차만별이라 단순히 이러하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경우에 따라서는 전자의 구조가 더 좋을 수 있고, 또 다른 경우에는 후자의 구조가 더 좋을 수도 있다. 그러나 여기서 단정하여 말할 수도 있다. 팔자 전체를 놓고 그 구조를 살펴보아야 한다.
“대체로 인수나 재성이 밖에 노출하면 행운의 극설克泄을 두려워한다.” “상관이나 칠살이 밖에 노출하면 쉽게 제화制化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도 또한 일면을 강조한 것이다. 그러할 경우도 있고, 그러하지 않을 경우도 있다. 논주가 노파심절하여 여러 가지 변수를 부연한 것이다.
“재신財神이 태로太露하면 쟁탈하는 풍파를 일으키고, 흉물凶物이 심장深藏하면 양호養虎하는 화환禍患을 이루게 된다.” 적천수를 인용하는 중에 길신을 재신으로 환치했다. 재성이 길신을 대표하기 때문이다. 고인이 이러하다고 주창할 때에는 거기에 상응하는 환경이 있다.
[원문] 생조와 제극이 상승相乘하는데, 용신을 우선하고, 일주를 우선하지 않는다.(生克相乘 先用而不先主)
[나의 견해] 생극이 상승한다. 생조가 제극에 올라타면 생조가 우선이고, 제극이 생조에 올라타면 제극이 우선이다. 곧 생조와 제극에는 일정한 차서가 없다.
팔자는 연월일시로 배열되어 있다. 생조할 때는 생조하고, 제극할 경우에는 제극한다. 무엇에 대하여 그러한가? 그 대상은 용신과 일주이다. 생극하는 주체에는 우선순위가 없지만, 생극하는 대상 곧 용신과 일주에는 우선순위가 있다. 용신을 우선하고, 일주를 우선하지 않는다. 이는 기본법칙이다. 그 이유는 일주보다 용신이 더 중요하기 때문이다. 간법이 그러하다.
[원주] 예컨대 정재와 편인이 병투하면 곧 편인이 먼저 수제受制하고, 칠살과 정인이 동행同行하면 바로 칠살이 정인을 먼저 생조하는 것과 같다. 오직 시상일위時上一位 귀격은 일주와 비교적 서로 관계가 밀절密切한 것이니, 약간이나마 용신과 부동不同한 점이 있다. 어떤 때는 예컨대 식신이 생재하고, 재성은 당살黨煞하며, 칠살이 공신攻身하는 경우와 같다면, 그 화난은 또다시 더욱 맹렬할 것이다. 이도 또한 용신이 일기가 되기 때문이다. 비류比類하여 이와 같이 추단하라. 길신은 생부生扶를 가장 기뻐하고, 흉신은 제복을 가장 마땅하게 여긴다.(如正印與偏印幷透 則印先受制 七煞與正印同行 則煞先生印也 惟時上一位 與日主較相關切 微有不同 或如食生財 財黨煞 煞攻身 禍又更烈 此亦用神一氣也 類推之 ○吉神最喜生扶 凶神最宜伏制)
[나의 견해] 맨 앞의 정인은 정재가 옳은 듯하다. 이에 바꿔서 해석했다. “예컨대 정재와 편인이 병투하면 곧 편인이 먼저 수제受制하고, 칠살과 정인이 동행同行하면 바로 칠살이 정인을 먼저 생조하는 것과 같다.” 전자는 재극인이고, 후자는 살인상생이다. 편인과 정인을 용신으로 본다. 그리고 정재와 칠살은 생극하는 주체이다. 구조에 따라 생극의 우선순위가 정해진다.
“오직 시상일위時上一位 귀격은 일주와 비교적 서로 관계가 밀절密切한 것이니, 약간이나마 용신과 부동不同한 점이 있다.” 시상일위 곧 시간은 용신을 우선하지 않고, 일주를 우선한다. 이는 예외법칙이다.
“어떤 때는 예컨대 식신이 생재하고, 재성은 당살黨煞하며, 칠살이 공신攻身하는 경우와 같다면, 그 화난은 또다시 더욱 맹렬할 것이다.” 칠살의 연원이 장구하다. 이 때문에 칠살의 역량이 강력하다. 그 결과도 또한 명약관화하다. 칠살이 용신이다. 상생하고 또 상생하니, 이를 일기라 말한 것이다.
“비류比類하여 이와 같이 추단하라.” 간단히 말하면, 이하 동문이다.
“길신은 생부生扶를 가장 기뻐하고, 흉신은 제복을 가장 마땅하게 여긴다.” 이도 또한 기본법칙이다.
[원문] 용신이 전위前位에 있는 팔자는 일찍 현달하고, 후위後位에 있는 사주는 만년에 창성한다.(用神在前者早達 在後者晚昌)
[원주] 연월이 전위가 되고, 일시는 후위가 된다. 전반 30년은 연월이 용사하고, 후기 30년은 일시가 용사한다.(年月爲前 時爲後 前三十年年月用事 後三十年日時用事)
[나의 견해] 평생사를 보는 법이 두 가지이다. 하나는 대운을 펼쳐 놓고 보고, 또 하나는 원국 자체를 사등분하여 보는 것이다. 옛날에는 칠십이면 고래희라, 일생을 60세로 보고 연월일시를 15년씩 나누어 보았다. 그러나 현대는 그 기간을 확장해서 보는 경향이 있다.
[원문] 용신이 득력得力했지만 파손이 된 팔자는 시절을 기다려야 옳고, 화난을 초래하는데 강왕지強旺地에 앉아 있는 흉신은 일주를 손상한다. 편향偏向을 바로잡고 폐해弊害를 고치는 일은 행운에 있다. 기신은 제극이 없고 승왕하면 더욱 악랄해진다.(用神得力而有損者待時 作難而居強者傷主 補偏救弊 在行運也 忌神無制 乘旺更惡)
[나의 견해] 용신이 득력하고 파손이 되면 일득일실一得一失이다. 대운에서 파손시키는 흉신을 제압해야 비로소 득력한 용신이 현발할 수 있다.
“화난을 초래하는데 강왕지強旺地에 앉아 있는 흉신은 일주를 손상한다.” 화난을 초래하는 주체를 용신으로 보지 않고 흉신으로 보았다. 가령 갑목 일간이 지지에 신유금이 있는데, 다시 대운에서 화난을 초래하는 경금이 온다면 일주가 온전하기 어렵다. 이에 흉신은 왕지에 앉아 득력해서는 안 되고, 사절지에 앉아서 쇠약해야 비로소 옳다.
보편구폐補偏救弊는 하나의 사자성어이다. 성패구응成敗救應에 상당한다. 보편과 구폐는 처방전이 같지 않다. 보편은 미약微藥을 써도 되지만, 구폐는 강약强藥을 써야 한다. 기신에 대한 처방이 그러하다.
“기신은 제극이 없고 승왕하면 더욱 악랄해진다.” 기신은 용신이 되어서는 안 되고, 기신이 용사해서도 안 된다. 기신이 용사하면 하천한 팔자이다. 기신은 반드시 제극해야 옳고, 또 기신은 승왕해서는 안 되며, 반드시 사절지에 있어야 한다.
2024년 1월 13일 길상묘덕 씀
첫댓글 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
格子, 승기(본원용신), 사주팔자 중에 가장 강력하게 권력을 행사하는 신을 근본용신, 강왕한 간지가 팔자 중에 득력한 신을 용신,..... 잘 읽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격자 개념을 한번 도입해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