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명 표기 변경 요청과 답변
박성태
2010.04.07 19:05
[민원신청내용]
민원제목
지명 표기 변경 요청
민원내용보기
강원도 강릉시 왕산면과 평창군 도암면 경계에 고루포기산으로 표기된 산 이름은 아래와 같이 골폭산과 고루포기산으로
각각 고시가 되었고 산이름 유래를 보면 둘 다 강릉시 왕산면의 마을 이름과 관련이 있습니다.
평창군은 다른 시·군(명주군은 1995년 강릉시와 통합됨)에 속하는 마을 이름을, 강릉시는 해당 시·군의 마을 이름을 쓰고 있어
두 시·군의 명칭이 서로 다르다면 당연히 해당 마을이 속하는 시·군소재지로 고시한 명칭을 따라야 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합니다.
강릉경찰서 홈페이지 전사(戰史)에서도 '석병산과 만덕봉 골폭산 일대를 기점으로.......'라고 쓰고 있으며
(http://gn.gwpolice.go.kr/Contents.asp?MCode=133 참조)
일제강점기에 발행된 1:50000지형도를 보면 산 이름을 한자로 쓰고 가타카나로 실제부르는 이름을 병기했는데
단 3개의 산 이름만이 한자가 없이 가타카나로 표기되었고 그 중 하나가 コルポキ山(고루포기산)입니다.
고루포기산은 골폭산의 일본식 발음으로 보입니다.
골폭산은 기왕에 고시된 지명으로 지명변경 신청을 할 수 없어 표기된 지명을 바꿔달라는 요청을 드립니다.
---아래---
행정구역 강원도 평창군 도암면 수하리
지명종류 산
고시일자 1961-04-22
고시지명 고루포기산
한자
유래 이산 넘어 명주군 왕산면에 고루포기라는 마을이 있어 산이름을 고루포기산이라 하였다
행정구역 강원도 강릉시 왕산면 왕산리
지명종류 산
고시일자 1961-04-22
고시지명 골폭산
한자
유래 예전에 골폭이라는 마을이 있었는데 그 뒤에 위치한 산이라 골폭산이라 불렀다 한다.
첨부파일
첨부파일 없음
[처리기관정보]
처리기관
국토해양부 국토지리정보원 국토조사과
접수일
2010.04.04 16:27:09
처리기관 접수번호
2AA-1004-007275
처리일
2010.04.05 21:41:51
※ 민원처리기간은 최종 민원 처리 기관의 접수일로부터 보통 7일 또는 14일임
(해당 민원을 처리하는 소관 법령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처리결과(답변내용)
박성태 선생님!
평소 국토해양부에 관심과 애정을 가져주시어 감사 드립니다.
현재 국토지리정보원은 지도제작부서와 지명관리부서과 분리운영되고 있으며, 문의내용은 지명쪽과 관련하여 온 것을 처리하는
부분이여서 본의 아니게 선생님의 귀하신 질문에 동문서답을 하게 되어 심히 송구스럽습니다.
1. 상기 사항에 대해 지도제작부서와 논의하여 일본 표기식이 아닌 한글 표기식으로 합리적인 명칭을 갖도록 수정토록 하겠습니다.
2.지형도 공급특성상 수치지형도는 즉시 수정 후 공급이 가능하나, 종이지형도는 공급특성상으로 전국단위로 연초에 인쇄를 합니다.
3.명칭이 수정완료된 지형도는 2011년 전반기에 인쇄가 되어 배포 됨을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선생님의 지명사랑에 대한 깊은 마음에 다시 한번 감사 드립니다.
즐겁고 보람된 하루 되시기 바랍니다.
첨부파일
첨부파일 없음
첫댓글 관할관청의 구태의연한 모습을 그대로 보는 것같아 안타깝습니다.
십년이면 강산도 변한다고 했는데 ~ 아직도 시정은 커녕 혼용되며 사용되고 있군요.
예전에 대간길에 잠시 거쳤던 '고루포기산'의 유래를 짐작케 합니다.
기왕에 고시된 원래 지명인 '골폭산'으로 바뀌어졌으면 합니다.
박선생님 내외분께서 얼마전에 올림픽아리바우길 하시면서 골폭산을 다녀오셨군요.
박선생님! 수고 많으셨습니다.
저도 대간을 하며 고루포기에 대해 궁금하게 생각하고 그 어원에 대해 찾아보았던 기억입니다.
역시 일제 강점기 어두운 그림자로군요.
관에서 먼저 솔선하여 개정해도 시원찮은데 가져다 줘도 먹지를 못하니 한심함이 극에 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