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경주 권14
鮑丘水又東巨梁水注之
水出土垠縣北陳宫山西南流逕觀雞山謂之觀雞水
水東有觀雞寺寺内起大堂甚髙廣可容千僧
下悉結石為之上加塗塈基内疎通枝經脈散基側室外四出爨火炎勢内流一堂盡温.
포구수(鮑丘水)는 또한 동으로 흐르다가 거량수(巨梁水)가 포구수(之)로 들어간다.
거량수(水)는 우북평군 토은현(土垠縣) 북쪽 진궁산(陳宫山)에서 나오는데 서남쪽으로 흘러 관계산(觀雞山)을 지나며 (이곳을 지나는 거량수를) 관계수(觀雞水)라고 한다. (하략)
《魏土地记》曰:蓟城东北三百里有右北平城。鲍丘水又东,巨梁水注之,水出土垠县北陈宫山,西南流径观鸡山,谓之观鸡水。水东有观鸡寺,寺内起大堂,甚高广,可容千僧,下悉结石为之,上加涂塈,基内疏通,枝经脉散,基侧室外,四出爨火,炎势内流,一堂尽温,盖以此土寒严,霜气肃猛,出家沙门,率皆贫薄,施主虑阙道业,故崇斯构,是以志道者多栖托焉。其水又西南流,右合区落水,水出县北山,东南流入巨梁水。巨梁水又南径土垠县故城西,左会寒渡水,水出县东北,西南流至县,右注梁河。梁河又南,涧于水注之,水出东北山,西南流径土垠县故城东,西南流入巨梁水。巨梁水又东南,右合五里水,水发北平城东北五里山,故世以五里名沟,一名田继泉,西流南屈,径北平城东,东南流注巨梁河,乱流入于鲍丘水。自是水之南,南极滹沱,西至泉州雍奴,东极于海,谓之雍奴薮。其泽野有九十九淀,枝流条分,往往径通,非惟梁河、鲍丘归海者也 .
운영자 단상.
구이넷지도
고구려 모본왕4년 기록에는
"한(漢)의 어양 상곡 북평 태원(漁陽 上谷 北平 太原)을 평정하였다 "를 기초로 본다면
상곡은 현재의 하북성 易縣임을 요사지리지가 증명하고 있으며
남으로 북평은 현재의 阜平으로 비정되는데 이지역을 통과하여야만 경형을 거쳐 태원으로 내려갈 수 있다.
실제 우북평은 후한서기록을 만들어낸 사관의 지명이라 생각이 된다.
우북평이란 지명은 고대지도상 등장하지 않는데 북평의 동에 위치했다는 의미로...
따라서
실제 토은현은 북평(현 부평)의 한지방이며 이지역에 있었다고 보아도 무방할것이다.
실제 고구려시대에 태원은 산서성 최남단으로 고지도상 기록되어 있으므로
부평은 현 부평 보다 남에 위치하고 있었을런지도 모를일이다.

석가장에서 서로 넘어가면 경형이 나오고 바로 현재의 태원으로 갈수있다.
심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