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마존 강 자연환경 지형 안데스 산맥과 험준한 기아나 고지, 브라질 고원에서 발원하는 지류는 1,000개가 넘는다. 이들 가운데 자푸라·주루아·마데이라·네그루·푸루스·토칸틴스·싱구 강은 그 길이가 1,600km 이상 된다. 하구에서 1,600km 상류에 위치한 마나우스까지 대형 여객선의 항행이 가능하다. 총 705만㎢ 면적의 아마존 강 유역은 북위 5°에서 남위 20° 사이, 경도상으로는 서경 50°에서 78°사이에 위치하며, 브라질·베네수엘라·콜롬비아·에콰도르·페루·볼리비아 등에 걸쳐 있다. 아마존 강 유역이 습지만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은 아니다. 대부분이 홍수기에도 침수되지 않는 비교적 높은 단구성의 테라피르마 지형을 이루고 있으며 브레베스 해협에서 내륙으로 들어가면 몇백m 높이의 언덕군이 나타난다. 수천 년 동안 아마존은 광활한 범람원 지역을 유유히 굽이쳐 흐르고 있다. 고수위 때는 기존의 자연제방을 범람하여 다른 유로를 발달시켰다. 매년 홍수로 범람하는 지역인 바르제아는 물이 빠진 후 비옥한 실트층으로 덮이는데 그 면적이 약 6만 4,000㎢나 된다.
지질·수계아마존 강 유역은 거대한 구조성 저지이며, 제3기층으로 덮인 함몰 지구이다. 플라이오세(世)에는 담수역이었으며, 플라이스토세에 와서 대서양으로 통하는 수로가 형성되었고 그후 플라이오세층까지 본류와 지류가 개석되었다. 고퇴적면인 테라피르마에는 아마존 삼림이 발달해 있고 상류는 융빙유수 퇴적물이 고기층을 덮고 있다. 오비두스 해협에서는 하폭이 1.6km 정도이고 평균수심이 60m나 되며, 90m 이상 되는 곳도 있다. 하상의 폭(섬은 제외)은 13.6km이지만 대홍수 때에는 56km가 넘는다. 평균유속은 시속 2.4km 정도이며, 수위는 11~6월에 상승하지만 그후부터 10월말까지 내려간다. 아마존은 미시시피와 같은 유형으로 사행하지 않고 대체으로 직류한다. 우기에는 실트가 운반·퇴적되어 넓은 하도가 충적토로 메워진다. 범람원의 규모는 유량에 비해 알맞은 편이다. 활성충적지는 대체로 그 폭이 19~48km나 되며 가파른 절벽과 경계를 이루고 평평한 라테라이트 암석으로 연결되어 있다. 아마존을 거슬러 올라가다가 제일 먼저 보이는 고지대는 데본기와 석탄기의 탁상대지로 싱구 강 어귀 반대편에 있는 북쪽 제방이다. 북쪽에 있는 2번째 고지대는 아마존 강보다 17m가 더 높은 오비두스이다. 남쪽에는 타파조스 강에서 마데이라 강까지 낮은 제방이 나타나며 마데이라 강에서 우카얄리 강까지는 삼림으로 덮인 낮은 제방이 발달해 있다. 노르테 곶에서 폰타티조카까지 아마존의 폭은 파라 강의 하폭과 마라조 섬을 포함하여 333km이다. 포로로카라고 불리는 조수현상은 수심이 7.3m 정도일 때 발생하는데 1.5~3.6m 높이의 파도가 시간당 16~24km로 밀려온다. 이러한 조수현상 때문에 아마존 강 어귀에는 삼각주 발달이 불가능하다. 하루에 바다로 유입되는 150만t 정도의 토사 대부분은 연안류에 의해 북쪽으로 운반되다가 기아나 해안에 퇴적된다.
기후아마존의 기후는 온난다습하다. 기온은 연교차보다 일교차가 심하며, 밤은 아마존의 겨울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강력한 남극기단이 형성되면, 기온이 급강하하는 프리아젬 현상이 나타난다. 하류에는 연중 시원한 무역풍이 분다. 기온보다 더 중요한 것은 강수이다. 대서양에서 불어오는 습윤한 바람이 안데스 산맥에 도달하여 냉각되는 과정에서 수증기가 응결되어 강수로 나타나며 안데스 동쪽 사면을 따라 흐르는 아마존 하계의 일부를 형성한다. 저지대에는 거대한 상승기류에 의해 많은 비가 내린다. 아마존은 3개의 소기후구, 즉 연평균강수량 2,000㎜ 이상의 하구와 평균강수량을 나타내는 서부, 식물의 성장에 방해가 될 정도는 아니지만 뚜렷한 건계가 있는 대부분의 아마조니아, 남반구의 겨울 동안 심한 건계가 나타나는 브라질 중서부로 구분된다. 건기 동안은 동북동방향과 동남동방향의 탁월풍이 분다. 7, 8월을 제외하면 마라조스라는 강풍이 부는데, 이때가 상류로 항해할 수 있는 적기이다.
토양아마존의 삼림식생대는 매우 이국적이다. 이들은 토양과 식생의 생태적 균형으로 왕성하게 성장하고 있다. 그러나 모래성 토양, 높은 산성도, 비료성분의 부족 등으로 비옥도가 떨어지는 곳도 있다. 이에 비해 국지적이지만 현무암과 휘록암을 기반으로 한 매우 비옥한 테라록사 토양도 있다.
식물상공에서 보면 중앙 아마존의 광활한 삼림대는 융단을 펼친 듯하다. 대서양 연안에는 습지성 홍수림과 부유성 초지대가 펼쳐져 있다. 안데스 고지대에서는 초지와 거대한 선인장을 볼 수 있으나 고도가 낮아질수록 점차 열대우림 지역이 된다. 브라질 고원에는 벼과식물, 키가 작은 것에서 큰 것까지 있는 교목, 관목이 발달해 있다(아마존 우림). 아마존의 식물상은 고무 수액을 추출할 수 있는 헤베아속과 네툼속으로 특징지어지며 다음과 같이 4개로 분류된다. ① 드문드문 있는 초지와 삼림지대가 있는 브랑쿠 강, 기아나 강 상류 유역, ② 반낙엽성의 다양한 식생군을 이루고 있는 자리-트롬베타스 강 유역, ③ 많은 강수량에도 불구하고 경엽식생이 분포하는 네그루 강, 오리노코 강 상류, 자푸라 강 중하류 유역, ④ 안데스 저지대, 대서양 연안, 아마존 강 유역 북부에 걸쳐 펼쳐진 아마존 우림지대 등이다. 수종은 1.13㎢당 117종이 서식할 정도로 다양하다.
대표 수종으로는 월계수·아카시아·도금양류·능소화류 등 다양하다. 고도에 따라서는 키가 매우 작은 풀과 양치류, 관목과 장초, 음지식물, 케이바속 식물과 베르톨레티아속 식물 등 산발적으로 우뚝 솟아 있는 거목 등 4개의 식생대로 뚜렷이 구분할 수 있다.
동물 아마존 강 유역의 동물군을 정리하기란 식물군과 마찬가지로 거의 불가능하다. 곤충류만 해도 8,000여 종으로 분류된다. 모기떼가 극성이며, 말라리아와 황열병을 전염시킨다. 잎을 갉아먹는 개미떼는 단시간 내에 농장을 황폐화시킬 정도이다. 이러한 해충의 방제와 박멸은 거주지 확장을 위해 매우 절실한 문제이다. 어종도 2,000여 종 된다. 아마존의 소택지와 우각호는 실제로 거대한 담수호이다. 대표적 어종인 피라루쿠는 세계에서 가장 큰 담수어로서 강유역의 주민들에게 단백질 공급원의 구실을 한다. 20~25㎝ 정도의 피라니아는 크기는 작지만 날카로운 이빨을 가지고 있어 치명적인 해를 끼칠 수 있다. 최근에는 항공운송 수단의 발달로 세계적인 어시장이 서기도 한다. 가장 큰 설치류인 캐피바라는 그 무게가 45㎏이나 되고 주로 강기슭에 서식하며 가죽은 피혁으로 이용된다. 약 1.8~2.4m 길이의 매너티는 무게가 94㎏ 이상 나가는데 현재 멸종위기에 처해 있다. 경제성 있는 생가죽을 가진 누트리아쥐 역시 희귀종이 되고 있다. 오늘날 브라질 정부는 산타렘 부근의 실험목장에서 물소를 사육·연구하고 있다. 실험용으로 이용되는 작고 민첩한 다람쥐원숭이가 가장 많은 편에 속한다. 하천에서 약간 떨어져 서식하는 나무늘보는 나무에 매달려 나뭇잎을 먹고 산다. 선사시대 괴물처럼 보이는 1.5m 정도의 이구아나류 도 있다. 아마존 강돌고래 (Amazon dolphi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