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강남과 강북의 균형성장을 목표로....
노원과 도봉 등 동북권역 등지에 192만㎡ 규모의 상업지역을 추가 지정한다.
이는 서울광장 145개 크기다.
서울시는 15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새로운 도시계획체계 ‘서울시 생활권 계획안’을 발표했다. 지난 2014년 발표한 ‘2030 서울플랜’에서 제시한 ‘3도심-7광역중심-12지역중심’에 53지구 중심을 더한 후속계획이다.
생활권 계획안에 따르면 서울시는 오는 2030년까지 상업지역 192만㎡를 추가 지정한다.
대상지는 주로 낙후 또는 개발소외 지역이다.
이 가운데 전략지역을 제외한 134만㎡를 낙후·소외된 동북(59만㎡)ㆍ서남(40만㎡)ㆍ서북(18만㎡)에 할당했다.
도심권에는 추가하지 않았다.
현재 서울 상업지역은 총 2572만㎡으로 서울 면적의 4.2%이다.
서울시가 상업지역의 지역별 안배에 신경쓰는 것은 서울 안에서도 지역별로 격차가 크기 때문이다.
권역별 1인당 상업지역 면적의 경우 동북권이 동남권의 36% 수준에 머물고 있다.
이미 지정된 상업지역의 개발밀도도 차이난다. 동북권의 평균 용적률은 251%로, 동남권(411%)의 60% 수준에 불과하다.
박원순 시장은 “일자리 중심지인 상업지역 비율이 서울 안에서도 지역별로 격차가 커 개선이 필요하다”며 “지역 균형 성장을 위해 지정 가능한 상업지역 물량을 낙후 ·소외된 지역 위주로 확대 지정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저이용 상업지역의 활성화를 위해 상업지역 내 주거제한 규정(용도용적제)도 개선하기로 했다. 상업지역 내 비주거 의무비율을 30% 이상에서 20% 이상으로 낮추고 주거 용적률을 400%까지 일괄 허용하는 내용으로 연내 조례를 개정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전문가 ·시민 공청회, 관계기관 협의,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거쳐 오는 10월 생활권 계획을 최종 확정할 계획이다.
또 서울 전역을 5개 대(大)생활권(권역)과 116개 지역단위 소(小)생활권(지역)으로 세분, 지역단위로 주민의 참여를 기반으로 시민의 생활과 지역과제 해결 방안을 담아내 수립했다. 권역은 여러개 자치구에 걸친 과제 해결을 위한 종합 지침이다.
첫댓글 그래서 도봉구 단독주택 부모님 비싸게 파셨구나
그래서 다시 파주문산에 단독주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