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결자웅(一決雌雄)
한 번에 우열이나 승부를 결정하다.
一 : 한 일(一/0)
決 : 결단할 결(氵/4)
雌 : 암컷 자(隹/6)
雄 : 수컷 웅(隹/4)
암컷과 수컷을 아울러 자웅(雌雄)이라 한다. 정확하게는 날짐승의 암수를 말하고, 소와 같은 길짐승의 암수는 빈모(牝牡)라 일컫는다.
모두 암컷을 앞세웠는데 음양과 관련된 용어에는 음이 먼저인 것이 많다고 한다. 하지만 상상의 동물 봉황(鳳凰)과 기린(麒麟)은 앞의 것이 수컷이다.
암수를 한꺼번에 나타낸 것은 멀리 시경(詩經)에서 등장하니 역사가 오래 됐다. 소아(小雅)편에 암수의 양떼를 이자이웅(以雌以雄)으로 표현했고, 검은 까마귀 암수를 알 수 없다는 수지오지자웅(誰知烏之雌雄)이란 유명한 말도 같이 나온다.
그런데 자웅을 겨루다, 자웅을 다투다란 말은 막상막하(莫上莫下)의 우열을 가리는 승부에서 많이 사용된다. 암수가 승부를 겨루지는 않을 텐데 여기서의 자웅은 밤과 낮을 뜻한 데서 왔다고 풀이한다.
천지(天地)와 일월(日月) 등과 같이 서로의 부족한 면을 보완하는 존재로 밤과 낮이 번갈아가며 세상을 차지하니 일진일퇴(一進一退)하는 것으로 봤다는 이야기다.
어떻든 자웅을 겨루어 승부를 결정짓자는 뜻으로 사용된 예는 ‘사기(史記)’의 항우본기(項羽本紀)에서 볼 수 있다.
처음 천하통일한 진시황(秦始皇)이 죽은 후 군웅들이 할거하다 초(楚)의 명문 출신 항우와 하급관리였던 유방(劉邦)이 일으킨 한(漢)나라의 쟁패로 좁혀졌다.
초기에 압도적인 우위를 보였던 항우는 주위의 조언도 듣지 않고 독단적으로 나가다 유방에 점차 밀렸다. 초나라와 한나라가 오랫동안 서로 대치하며 승부를 내지 못하자 모두가 시달렸다.
장정들은 행군과 전투로 고달팠고, 노약자들은 물길로 물자를 수송하느라 기진맥진하자 항우가 유방에게 말했다.
天下匈匈數歲者 徒以吾兩人耳
(천하흉흉삭세자 도이오량인이)
천하가 지난 몇 년간 흉흉한 것은, 우리 두 사람 때문이었소
願與漢王挑戰決雌雄
(원여한왕도전결자웅)
그대 한왕에게 도전해 자웅 가릴 것을 원하니
毋徒苦天下之民父子爲也
(무도고천하지민부자위야)
더 이상 백성들을 고달프게 하지 말기를 바라오.
힘이 산을 뽑는 항우와 대적할 수 없는 유방은 웃으며 힘으로 겨루지 말고 지혜로 다투자고 답했다. 모사들의 도움을 받아 꾀로 나간 유방이 한나라로 통일한 것은 물론이다.
세력이 엇비슷하여 큰 차이가 없는 것을 어금버금하다거나 어금지금하다고 한다. 팽팽하게 양립되어 있을 때는 용호상박(龍虎相搏)이나 쌍벽(雙璧)을 이룬다고 많이 쓴다. 문제는 이럴 때 나란히 존재하기보다 제일이 되기를 원한다는 것이다.
중국의 중심부를 차지하기 위해 끊임없이 다퉜던 축록(逐鹿)은 왕권을 상징하는 사슴을 쫓는다는 뜻이었다. 이 때는 서로 싸우고 멸망시켜야 나라가 존속되었기에 불가피했다.
오늘날 대부분의 나라엔 민주적인 투표로 지도자를 선출한다. 그런데도 죽기 살기로 상대방을 헐뜯고, 정권이 바뀌면 또 싸우니 일결로 승복하는 수가 없을까.
▶️ 一(한 일)은 ❶지사문자로 한 손가락을 옆으로 펴거나 나무젓가락 하나를 옆으로 뉘어 놓은 모양을 나타내어 하나를 뜻한다. 一(일), 二(이), 三(삼)을 弌(일), 弍(이), 弎(삼)으로도 썼으나 주살익(弋; 줄 달린 화살)部는 안표인 막대기이며 한 자루, 두 자루라 세는 것이었다. ❷상형문자로 一자는 '하나'나 '첫째', '오로지'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一자는 막대기를 옆으로 눕혀놓은 모습을 그린 것이다. 고대에는 막대기 하나를 눕혀 숫자 '하나'라 했고 두 개는 '둘'이라는 식으로 표기를 했다. 이렇게 수를 세는 것을 '산가지(算木)'라 한다. 그래서 一자는 숫자 '하나'를 뜻하지만 하나만 있는 것은 유일한 것을 연상시키기 때문에 '오로지'나 '모든'이라는 뜻도 갖게 되었다. 그러나 一자가 부수로 지정된 글자들은 숫자와는 관계없이 모양자만을 빌려 쓰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一(일)은 (1)하나 (2)한-의 뜻 (3)성(姓)의 하나 등의 뜻으로 ①하나, 일 ②첫째, 첫번째 ③오로지 ④온, 전, 모든 ⑤하나의, 한결같은 ⑥다른, 또 하나의 ⑦잠시(暫時), 한번 ⑧좀, 약간(若干) ⑨만일(萬一) ⑩혹시(或時) ⑪어느 ⑫같다, 동일하다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한가지 공(共), 한가지 동(同),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무리 등(等)이다. 용례로는 전체의 한 부분을 일부(一部), 한 모양이나 같은 모양을 일반(一般), 한번이나 우선 또는 잠깐을 일단(一旦), 하나로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음을 고정(一定), 어긋남이 없이 한결같게 서로 맞음을 일치(一致), 어느 지역의 전부를 일대(一帶), 한데 묶음이나 한데 아우르는 일을 일괄(一括), 모든 것 또는 온갖 것을 일체(一切), 한 종류나 어떤 종류를 일종(一種), 한집안이나 한가족을 일가(一家), 하나로 연계된 것을 일련(一連), 모조리 쓸어버림이나 죄다 없애 버림을 일소(一掃), 한바탕의 봄꿈처럼 헛된 영화나 덧없는 일이란 뜻으로 인생의 허무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을 일장춘몽(一場春夢), 한 번 닿기만 하여도 곧 폭발한다는 뜻으로 조그만 자극에도 큰 일이 벌어질 것 같은 아슬아슬한 상태를 이르는 말을 일촉즉발(一觸卽發), 한 개의 돌을 던져 두 마리의 새를 맞추어 떨어뜨린다는 뜻으로 한 가지 일을 해서 두 가지 이익을 얻음을 이르는 말을 일석이조(一石二鳥), 한 번 들어 둘을 얻음 또는 한 가지의 일로 두 가지의 이익을 보는 것을 이르는 말을 일거양득(一擧兩得), 한 사람을 벌주어 백 사람을 경계한다는 뜻으로 한 가지 죄와 또는 한 사람을 벌줌으로써 여러 사람의 경각심을 불러 일으킴을 일컫는 말을 일벌백계(一罰百戒), 한 조각의 붉은 마음이란 뜻으로 한결같은 참된 정성과 변치 않는 참된 마음을 일컫는 말을 일편단심(一片丹心), 한 글자도 알지 못함을 이르는 말을 일자무식(一字無識), 한꺼번에 많은 돈을 얻는다는 뜻으로 노력함이 없이 벼락부자가 되는 것을 이르는 말을 일확천금(一攫千金), 한 번 돌아보고도 성을 기울게 한다는 뜻으로 요염한 여자 곧 절세의 미인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일고경성(一顧傾城), 옷의 띠와 같은 물이라는 뜻으로 좁은 강이나 해협 또는 그와 같은 강을 사이에 두고 가까이 접해 있음을 이르는 말을 일의대수(一衣帶水), 밥 지을 동안의 꿈이라는 뜻으로 세상의 부귀영화가 덧없음을 이르는 말을 일취지몽(一炊之夢), 화살 하나로 수리 두 마리를 떨어 뜨린다는 뜻으로 한 가지 일로 두 가지 이득을 취함을 이르는 말을 일전쌍조(一箭雙鵰), 한 오라기의 실도 흐트러지지 않았다는 뜻으로 질서나 체계 따위가 잘 잡혀 있어서 조금도 흐트러짐이 없음을 이르는 말을 일사불란(一絲不亂), 하루가 천 년 같다는 뜻으로 사랑하는 사람끼리의 사모하는 마음이 간절함을 이르는 말을 일일천추(一日千秋), 그물을 한번 쳐서 물고기를 모조리 잡는다는 뜻으로 한꺼번에 죄다 잡는다는 말을 일망타진(一網打盡), 생각과 성질과 처지 등이 어느 면에서 한 가지로 서로 통함이나 서로 비슷함을 일컫는 말을 일맥상통(一脈相通), 한 번 던져서 하늘이냐 땅이냐를 결정한다는 뜻으로 운명과 흥망을 걸고 단판으로 승부를 겨룸을 일컫는 말을 일척건곤(一擲乾坤), 강물이 쏟아져 단번에 천리를 간다는 뜻으로 조금도 거침없이 빨리 진행됨 또는 문장이나 글이 명쾌함을 일컫는 말을 일사천리(一瀉千里), 하나로써 그것을 꿰뚫었다는 뜻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변하지 않음 또는 막힘 없이 끝까지 밀고 나감을 일컫는 말을 일이관지(一以貫之), 기쁜 일과 슬픈 일이 번갈아 일어남이나 한편 기쁘고 한편 슬픔을 일컫는 말을 일희일비(一喜一悲), 한 입으로 두 말을 한다는 뜻으로 말을 이랬다 저랬다 함을 이르는 말을 일구이언(一口二言) 등에 쓰인다.
▶️ 決(결단할 결, 빠를 혈)은 ❶형성문자로 决(결)은 통자(通字), 决(결)은 간자(簡字)이다. 决(결)의 본자(本字)로 음(音)을 나타내는 글자 夬(결; 손으로 무언가를 하는 모양)과 물꼬(水)가 잘 트이도록 결단하여 정하였다는 데서 정하다를 뜻한다. 夬(결)은 쾌 또는 결이라 읽고 又(우), 手(수), 손에 무언가를 가진 모양, 무엇인가 속에 박힌 것을 도려내는 일인 듯하다. 나중에 抉(결)로 썼다. 삼수변(氵=水, 氺; 물)部, 決(결)은 둑의 일부가 끊어지는 일, 질 그릇이 깨어졌다는 缺(결), 마음이 상쾌하다는 快(쾌) 따위와 같이 夬(결)이 붙는 글자는 일부분이 끊어지다의 뜻이 공통된다. ❷회의문자로 決자는 '결단하다', '결정하다'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決자는 水(물 수)자와 夬(터놓을 쾌)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夬자는 활시위를 놓는 모습을 그린 것으로 '터놓다'는 뜻이 있다. 이렇게 '터놓다'는 뜻을 가진 夬자에 水자가 더해진 決자는 '물을 터놓다'는 뜻으로 만들어졌다. 고대 중국의 문명은 황하를 중심으로 시작됐지만, 황하는 이름 그대로 흙이 가득한 강물이다. 그래서 2천 년 동안 무려 1,500회 이상 제방이 무너졌으며, 물줄기만 해도 26번이나 바뀌었다. 그러다 보니 중국의 역대 왕조들은 물길을 돌리는 치수(治水) 사업에 사활을 걸었지만, 홍수로 인한 범람을 막기에는 역부족일 때가 많았다. 그래서 때로는 인구가 밀집된 지역을 보호하기 위해 상류의 둑을 끊어 터놓기도 했다. 다수를 위해 소수를 희생하는 결단을 내려야 했던 것이다. '물길을 터놓다'는 뜻으로 만들어진 決자가 '결단하다'나 '결정하다'는 뜻을 갖게 된 이유이다. 그래서 決(결, 혈)은 (1)활깍지 (2)성(姓)의 하나, 등의 뜻으로 ①결단하다, 승부를 가리다 ②결정하다, 분별하다, 판단하다 ③과감하다 ④틔우다, 흐르게 하다 ⑤터지다, 열리다 ⑥자르다, 절단하다 ⑦끊다 ⑧도려내다 ⑨이별하다, 헤어지다 ⑩끝나다, 끝내다 ⑪붕괴되다, 무너지다 ⑫뚫다 ⑬결단(決斷), 결심(決心) ⑭틈, 벌어진 사이 ⑮깍지(활을 쏠 때 엄지손가락에 끼우는 기구) ⑯반드시, 틀림없이 ⑰결코, 그리고 ⓐ빠르다(혈) ⓑ신속(迅速)한 모양(혈)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판단할 판(判), 터놓을 쾌(夬), 무너질 궤(潰), 끊을 단(斷),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미리 예(豫)이다. 용례로는 마지막으로 작정함이나 일의 매듭을 지음을 결정(決定), 의견이 일치하지 아니하여 각각 헤어짐을 결렬(決裂), 계산을 마감함으로 일정 기간 내의 수입 지출을 마감한 예산을 결산(決算), 마음을 먹음이나 마음에서 결정함을 결심(決心), 결정하여 단정 지음을 결단(決斷), 상관이 부하가 제출한 안건을 재량하여 승인함을 결재(決裁), 결정하여 끝맺음을 결제(決濟), 결정한 의지를 결의(決意), 의논의 가부와 시비를 따져 결정하는 것을 결론(決論), 회의에서 의안이나 제의 등의 가부를 결정함 혹은 그 사항을 결의(決議), 운동 경기 등에서 이기고 짐을 마지막으로 가림을 결승(決勝), 결심이 움직일 수 없을 만큼 확고함을 결연(決然), 얽힌 일을 풀어 처리함을 해결(解決), 시비나 선악을 가리어 결정함을 판결(判決), 양자가 맞서서 우열 등을 결정함을 대결(對決), 의논하는 안건에 대하여 옳지 않다고 결정함을 부결(否決), 여러 사람의 의사를 따라 의안을 좋다고 인정하여 결정함을 가결(可決), 아직 결정되거나 해결되지 아니함을 미결(未決), 의안에 대한 가부의 의사를 표시하여 결정하는 일을 표결(表決), 투표로써 가부를 결정함을 표결(票決), 의논하여 결정함을 의결(議決), 이미 결정했음 또는 해결했음을 기결(旣決), 옳고 그름을 판단함을 재결(裁決), 다른 문제보다 먼저 해결함 또는 결정함을 선결(先決), 스스로 자기 목숨을 끊음을 자결(自決), 홍수가 져서 강물이 둑을 무너뜨리고 세차게 넘쳐흐르는 것 같은 형세를 일컫는 말을 결하지세(決河之勢), 죽을 각오를 하고 나라의 은혜에 보답함을 일컫는 말을 결사보국(決死報國), 교묘한 꾀로 먼 곳의 싸움을 이기는 것을 이르는 말을 결승천리(決勝千里), 싸움을 질질 끌지 않고 빨리 쳐들어가서 이기고 짐을 빨리 결정함을 일컫는 말을 속진속결(速進速決), 확실한 안심을 얻어서 마음이 흔들리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을 안심결정(安心決定), 다수자의 의견을 좇아 결정함을 일컫는 말을 종다수결(從多數決), 이른 아침부터 회의를 열어서 오정 때에 이르러도 아직 결정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을 일중불결(日中不決), 어떤 민족이 자신의 일을 스스로 결정하는 일을 일컫는 말을 민족자결(民族自決) 등에 쓰인다.
▶️ 雌(암컷 자)는 형성문자로 鴜(자)는 동자(同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새 추(隹; 새)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동시에 부부(夫婦)가 된다는 뜻을 가진 此(차, 자)로 이루어졌다. 따라가는 새, 암새 등이 전(轉)하여 암컷을 뜻한다. 그래서 雌(자)는 ①암컷 ②암새 ③약(弱)하다 ④쇠약(衰弱)해지다 ⑤패배(敗北)하다 ⑥지다 따위의 뜻이 있다.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수컷 웅(雄)이다. 용례로는 암컷과 수컷을 자웅(雌雄), 암꽃으로 암술만이 있는 꽃을 자화(雌花), 암컷으로 암의 성질을 자성(雌性), 암캐로 개의 암컷을 자견(雌犬), 암벌로 벌의 여왕을 자봉(雌蜂), 암나비로 나비의 암컷을 자접(雌蝶), 굴복하여 좇음 또는 세상일에서 물러나 숨어 사는 것을 자복(雌伏), 수컷을 잃은 암컷을 고자(孤雌), 같은 종류이면서 암수에 의하여 형태를 달리하는 일을 이르는 말을 자웅이형(雌雄異形), 같은 종류의 암수컷의 형태가 서로 같은 것을 이르는 말을 자웅동형(雌雄同形), 교미기에 한 마리의 수컷이 여러 마리의 암컷을 거느리는 현상을 이르는 말을 일웅다자(一雄多雌), 동일한 개체 내에 자웅의 두 생식소인 알집과 정집을 갖춘 것을 이르는 말을 자웅동체(雌雄同體), 짝을 잃은 새라는 뜻으로 남편이나 아내를 잃은 사람을 이르는 말을 고자과학(孤雌寡鶴), 까마귀의 암컷과 수컷은 구별하기 어렵다는 뜻으로 일의 시비를 판단하기 어려움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오지자웅(烏之雌雄) 등에 쓰인다.
▶️ 雄(수컷 웅)은 형성문자로 䧺(웅)은 동자(同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새 추(隹; 새)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글자 厷(굉, 웅)이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굳센 수컷 새라는 새 추(隹; 새)部의 뜻이 합(合)하여 수컷을 뜻한다. 새의 수컷, 그것으로부터 굳세다, 용감하다는 뜻으로 되었다. 그래서 雄(웅)은 ①수컷 ②두목 ③씩씩하다 ④용감(勇敢)하다 ⑤이기다, 승리하다 ⑥뛰어나다 ⑦웅장(雄壯)하다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수컷 모(牡),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암컷 자(雌)이다. 용례로는 씩씩하고 굳셈을 웅강(雄强), 웅대하고 건전함을 웅건(雄健), 영웅다운 호걸을 웅걸(雄傑)규모가 크고 웅장(雄壯)함을 웅대(雄大), 크고 뛰어난 계획과 포부를 웅도(雄圖), 너그러운 도량을 웅기(雄器), 으리으리 하게 크고도 굉장함을 웅장(雄壯), 조리 있고, 힘차고 거침없는 변설을 웅변(雄辯), 기운차고 용기 있게 활동함을 웅비(雄飛), 재능과 담력이 뛰어난 사람을 영웅(英雄), 암컷과 수컷으로 강약이나 승부나 우열을 비유하는 말을 자웅(雌雄), 많은 영웅들을 군웅(群雄), 간사한 영웅을 간웅(姦雄), 거룩한 영웅이나 뛰어난 영웅을 성웅(聖雄), 두 영웅을 양웅(兩雄), 사납고 용맹스러운 인물을 효웅(梟雄), 많은 영웅들이 각각 한 지방에 웅거하여 세력을 과시하며 서로 다투는 상황을 이르는 말 또는 여러 영웅이 세력을 다투어 땅을 갈라 버티고 있음을 이르는 말을 군웅할거(群雄割據), 영웅과 호걸을 일컫는 말을 영웅호걸(英雄豪傑), 용과 범이 서로 친다는 뜻으로 강자끼리 승부를 다툼의 비유하여 이르는 말을 양웅상쟁(兩雄相爭), 영웅은 여색을 좋아하는 버릇이 있음을 이르는 말을 영웅호색(英雄好色), 땅이 넓고 물산이 많은 고을 또는 그 고을의 원을 일컫는 말을 웅주거목(雄州巨牧), 웅장한 도시와 큰 읍이나 큰 도회지를 일컫는 말을 웅도거읍(雄都巨邑), 수탉이 밤에 욺으로 한 나라의 왕이 타국을 정벌할 뜻을 가지면 이런 현상이 생긴다고 함을 이르는 말을 웅계야명(雄鷄夜鳴), 크고 뛰어난 재능과 원대한 지략 또는 그런 사람을 일컫는 말을 웅재대략(雄才大略), 지역이 넓고 산물이 많은 고을을 일컫는 말을 웅주거읍(雄州巨邑), 물이 흐르듯 도도한 의논을 일컫는 말을 고담웅변(高談雄辯), 영웅이 될 만한 자질을 가진 사람을 일컫는 말을 영웅지재(英雄之材), 한 시대를 바로잡아 구할만한 뛰어난 인재를 일컫는 말을 명세지웅(命世之雄), 그림이나 글씨의 운필이 침착하고 웅건함을 이르는 말을 용필침웅(用筆沈雄), 그 시대에 대적할 만한 사람이 없을 정도로 뛰어난 인물을 이르는 말을 일세지웅(一世之雄), 굉장히 크게 뛰어남을 이르는 말을 웅탁맹특(雄卓猛特), 기상이나 위력이 세상을 뒤엎을 만큼 큰 영웅을 일컫는 말을 개세영웅(蓋世英雄), 영웅은 잘 우는 버릇이 있음을 이르는 말을 영웅선읍(英雄善泣), 영웅은 다른 뛰어난 사람을 꺼림을 영웅기인(英雄忌人), 동일한 개체 내에 자웅의 두 생식소인 알집과 정집을 갖춘 것으로 지렁이나 기생충 따위를 일컫는 말을 자웅동체(雌雄同體), 새의 암컷과 수컷이 의좋게 서로 지저귐으로 서로 손이 맞아서 일함을 일컫는 말을 웅창자화(雄唱雌和), 까마귀의 암컷과 수컷은 구별하기 어렵다는 뜻으로 일의 시비를 판단하기 어려움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오지자웅(烏之雌雄), 한 번에 자웅을 결정짓는다는 뜻으로 운명과 흥망을 걸고 단판으로 승부나 성패를 겨룸을 일컫는 말을 일결자웅(一決雌雄), 척추동물과 절족동물 따위에서 암컷과 수컷의 개체가 서로 따로 있는 것을 이르는 말을 자웅이체(雌雄異體), 여우는 수놈 두 마리가 함께 살지 않는다는 뜻으로 두 영웅이 병립할 수 없음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호불이웅(狐不二雄)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