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보산 불암사[ 天寶山 佛巖寺 ]
정의
경기도 남양주시 천보산(天寶山)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승려 지증대사 도헌이 창건한 사찰.
내용
대한불교조계종 제25교구 본사인 봉선사(奉先寺)의 말사이다. 서울근교 사대명찰 중의 하나로서, 세조 때 왕성 사방에 왕실의 원찰(願刹)을 하나씩 정할 때 동불암(東佛巖)으로 꼽혔던 곳이다. 절 입구 제월루(霽月樓) 앞에 세워져 있는 천보산불암사사적비(天寶山佛巖寺事蹟碑)에 의하면, 824년(헌덕왕 16) 희양산문(曦陽山門)을 일으켰던 지증대사(智證大師)가 창건하였고, 도선(道詵)이 중창하였으며, 무학(無學)이 삼창하였다. 그 뒤 성종 때 중건하였고, 1782년(정조 6) 서악(西岳)이 보광명전과 관음전을 중수하고 제월루(霽月樓)를 다른 곳으로부터 이건하였다. 1855년(철종 6)에 보성(寶性) · 춘봉(春峯) · 혜월(慧月) 등이 중수하였으며, 1910년 독성각 · 산신각 · 동축당(東竺堂)이 창건되었다. 1959년에는 만허(滿虛)가 칠성각을 지었고, 1989년에는 태국과 스리랑카에서 각각 3과와 4과의 진신사리를 모셔와 진신사리보탑을 세워 봉안하였다. 1991년 관음전이 소실되었으나 1992년에 중건하였고, 1994년에는 일주문을 세워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금당(金堂)인 대웅전을 비롯하여 제월루 · 관음전 · 칠성각 · 경판고(經板庫) · 일주문 · 요사 등이 있다. 문화유산으로는 1975년 보물로 지정된 석씨원류응화사적 목판 212매의 목판이 있다. 1638년(인조 16)에 왕명으로 역대 승려의 법통을 이어온 것을 판각한 것으로, 고창 선운사(禪雲寺)와 이 절에만 보존되어 있는 귀중본이다. 이 밖에 1974년 경기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된 379매의 불암사 경판 중 언해판 4종이 포함되어 있다. 최근 절 뒤 암벽에 조각한 마애삼존불은 조각솜씨가 우아하다. 부속암자로는 창건연대는 비슷한 약 150년 전에 중건된 석천암(石泉庵)이 있다. 호인상(好人像)이 특이한 마애불이 있으며, 석간수 또한 유명하다.
참고문헌
『전통사찰총서』 5(사찰문화연구원, 1995)
『명산고찰 따라』(이고운·박설산, 보림사, 1982)
『한국사찰전서』(권상로 편, 동국대학교출판부, 1979)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천보산 등산로[ 天寶山 登山路 ]
정의
경기도 양주시 회암동 천보산에 조성되어 있는 등산로.
개설
천보산 등산로는 회암사로부터 천보산[423m] 정상까지의 등산로이다. 인위적으로 다듬은 코스는 아니며 조선 시대의 유명한 사찰 터인 양주 회암사지와 천보산을 하나의 코스로 설정하여 천보산 등산로로 구분하고 있다. 찾는 이들을 위해 안내판을 비롯한 등산에 편리한 시설이 마련되어 있다. 천보산에서 서북 방향으로 직선거리 약 4㎞ 어름에는 칠봉산과 칠봉산 등산로가 있다. 천보산과 칠봉산은 등산로로 서로 이어져 있다.
구성
천보산은 불곡산, 도락산, 칠봉산 등과 함께 양주시를 대표하는 산이다. 양주시 북동편으로 펼쳐져 있는 산으로서 산 너머는 포천시와 경계를 이룬다. 칠봉산으로 올라 칠봉산 망경단 암벽 전망대를 지나면 곧 천보산이다. 천보산으로 올랐다가 하산하여 양주 회암사지를 둘러보는 코스가 사람들에게 알려지면서 특히 봄가을 산행 장소로 인기가 높다. 시간적인 여유가 있다면 칠봉산~천보산~회암사 코스로 좀 길게 잡아보는 산행도 좋다. 그러나 여유가 많지 않은 경우에는 천보산 산행만 간단히 마치고 내려오면서 천보산 아래 회암사와 양주 회암사지 및 약수터를 돌아보는 것만으로도 좋은 산행 코스가 된다. 양주 회암사지는 조선 시대 최대 규모의 사찰로서 태조 이성계(李成桂)와 무학대사의 인연이 서려 있는 곳이다. 양주 회암사지[사적 제128호],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보물 제387호], 양주 회암사지 무학대사탑[보물 제388호], 양주 회암사지 무학대사탑 앞 쌍사자 석등[보물 제389호] 등이 있다.
현황
회암사 입구에는 수시로 드나드는 마을버스와 일반버스가 있어 버스 편을 이용해 회암사 및 천보산을 찾을 수 있다. 회암사 입구에서 양주 회암사지로 가는 길 양옆으로는 큰 나무들이 줄지어 있다. 양주 회암사지에서 20분 가량 오르면 칠봉산과 천보산 등산 안내도가 나온다. 우측으로 올라가면 약수터, 좌측으로 가면 회암사에 이른다.
약수터에서 물 한 모금을 마시고 정상으로 오르는 산행 길은 더욱 쾌적하게 느껴진다. 천보산 정상에 서면 한편으로는 양주시와 포천시의 너른 들판이 한눈에 들어오고, 다른 한편으로는 양주시 고읍지구의 빽빽하게 들어선 아파트 단지도 보인다. 하산할 때는 양주시나 의정부시로 내려올 수 있다. 등산객들은 보통 회암사~양주 회암사지에서 가까운 덕정역으로 나와 대중교통을 이용한다.
참고문헌
『양주군의 역사와 문화유적』(한국토지공사 토지박물관·양주군, 1998)
『양주 땅이름의 역사』(양주군·양주문화원, 2001)
출처:(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천보산[天寶山]
정의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과 양주시 회암동에 걸쳐 있는 산.
명칭 유래
조선 시대 어떤 임금이 난을 당하여 이 산에 피신하였고, 난이 끝나고 나서 자신의 목숨을 구해 준 산을 금은보화로 치장하도록 신하에게 명하였다. 하지만 난리를 치르고 난 직후라 금은보화를 구하기 어려웠고, 이에 신하가 산의 이름을 ‘하늘 밑의 보배로운 산’이라고 칭하는 것으로 대신하자고 진언하여 천보산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전한다.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에 따르면 조선 초인 태종 때에 이미 천보산이라는 명칭이 등장하고 있으므로 이 전설을 사실로 볼 수는 없다. 그러나 태종과 단종·세조 등이 이곳에서 사냥을 한 기록이 보이는 것을 보면, 조선 시대에 왕들이 수차례 천보산을 찾아 왔던 것은 사실이고, 방문 목적이 전쟁과 비슷한 모습을 연출하는 사냥이었기에 이를 바탕으로 ‘난리를 피한 임금’ 전설이 생긴 것은 아닌가 여겨지기도 한다.
자연 환경
천보산은 경기도 포천시 선단동의 서남쪽, 소흘읍의 서북쪽에 위치해 있으며 양주시 회암동의 동쪽에 위치해 지역의 경계를 이루는 산이다. 능선이 바위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고, 소나무 군락이 많다.
현황
천보산의 높이는 423m이다. 천보산의 양주시 쪽 산자락에는 고려 때 3대 사찰이었던 양주 회암사지[사적 제128호]와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 비[보물 제387호], 양주 회암사지 무학 대사 탑[보물 제388호], 양주 회암사지 무학 대사 탑 앞 쌍사자 석등[보물 제389호] 등이 있다. 포천시 쪽에는 천보산 자연 휴양림이 있고, 경기도 학생 포천 야영장이 위치해 있다. 천보산 자연 휴양림은 자연 생태계의 보고로서, 2012년 4~5월 국립 환경 과학원과 한국 자연 환경 연구소의 생태 조사 결과, 하늘다람쥐의 서식지가 수십 군데 발견되기도 하였다. 하늘다람쥐는 주로 백두산 일원에 보이는 동물로, 우리나라 중부 지방에서는 매우 희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참고문헌
『포천 군지』(포천 군지 편찬 위원회, 1997)
「포천시 관광 지도」(포천시, 2012)
「포천 천보산에 하늘다람쥐 대거 서식」(『조선 일보』, 2012. 7. 8)
관련이미지 7
출처(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천보산에서 떠오르는 일출
호접란 키우기[Phalaenopsis , 胡蝶蘭]
요약 : 나비 모양의 꽃이 피는 난초로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잘 자라며
건조함에 약하다. 꽃을 보기위해 실내에서 많이 기르고, 공기정화능력이 있다.
학명 : 생육환경장소물주기분갈이주의점
열대아시아와 호주 북부를 원산지로 둔 난초로 꽃이 나비와 같다 하여 호접란이라 하며, ‘팔레놉시스(Phalaenopsis)’라고도 한다. 호접란은 50여종의 원종을 가지고 있으며, 유통되는 대부분의 품종이 아마빌리스(P. amabilis)와 스킬레리아나(P. skilleriana)를 중심으로 교배된 잡종이다. 생장 높이는 30~90cm 정도이며, 크게 대륜계, 중륜계, 소륜계로 구분이 가능한데 대륜계는 가장 많은 품종이 속한 종류로 잎의 크기는 30cm, 꽃 직경은 12cm 정도이다. 주로 절화를 목적으로 재배된다. 중륜계는 대륜계와 소륜계의 교잡으로 만들어진 계통으로 꽃 직경은 6cm이며 분화 전용으로 재배된다. 소륜계는 꽃 직경이 2~3cm로 분화용으로 재배된다. 개화 시기는 11~3월 사이이며, 꽃의 색은 분홍색, 오렌지색, 노란색, 흰색 등으로 다양하다. 제철은 봄, 겨울이다.
목적
꽃이 아름답고 기르기도 쉬운 난초로 인테리어 용도로 흔히 볼 수 있다. 오랫동안 꽃을 감상할 수 있어 선물 용도로도 쓰이며, 분화나 절화로 재배되어 꽃꽂이, 부케 등의 재료로도 쓰이기도 한다. 공기정화능력이 있어 크렌실 성분 제거에도 효과적이다.
생육환경
고온다습한 환경을 좋아하는 반양지, 반음지 식물로 강한 직사광선에 노출되면 잎이 탈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실내에서 기를 때는 빛이 잘 드는 거실 창가 옆이나 베란다에서 관리하는 것이 적합하다. 적절한 생육온도는 21~25℃이며, 최저온도는 13℃ 이상이다. 습도는 40~70%를 유지하여 주는 것이 좋은데, 실내가 지나치게 건조하면 개각충이나 응애가 생길 수 있다.
관리법
봄에서 가을 사이에는 겉흙이 말랐을 때 충분히 물을 주는 것이 좋고, 겨울에는 흙이 대부분 말랐을 때 충분히 물을 주는 것이 좋다. 흙 이외에도 수태, 바크, 난석 등에 심어 관리할 수 있다.
분갈이
식물의 크기가 화분보다 커지거나 뿌리 상태를 고려하여 분갈이를 진행하는 것이 좋은데, 그 주기는 2년에 한 번, 봄에서 가을 사이에 하는 것이 적합하다.
주의점
응애, 깍지벌레, 개각충이 발생할 수 있다. 여름철 고온에서는 연부병, 부패병이 생기기 쉽다.
출처:(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기껏 저장해 두고 잊어버리는 청설모의 건망증
"겨울이 되어서야 솔[松]이 푸른 줄 안다"는 말은 난세에 훌륭한 사람이 나타난다는 뜻이다. 어렸을 적엔 저녁놀이 온 마을을 물들일 때 아궁이 앞에 쭈그리고 앉아 바싹 마른 솔방울이나 솔가리 불쏘시개로 밑불을 살려 낸 다음 삭정이와 소나무 장작으로 소죽을 끓였다. 타고 남은 토막 숯과 보드라운 재를 화로에 소담스럽게 퍼 담아 꼭꼭 눌러 할머니 앞에 놓아 드렸던 때가 엊그제 같은데 어언 반세기가 훌쩍 넘었으니 세월이 참 무상하다. 보통 소나무나 잣나무 같은 침엽수림에 사는 청서(靑鼠)는 쥐목(설치목) 다람쥐과의 포유류로 전 세계적으로 40여 아종이 있는 데 우리나라에 사는 것은 학명이 Sciurus vulgaris coreae로 '청설모(靑鼠毛)'라고도 한다. 몸 빛깔이 일본산 북방청서(S. v. orientalis)와 중국산 북만청서(S. v. manchuricus)의 중간색을 띠고 그것들에 비해 몸집과 두개골이 작은 편이다. 미국의 경우에는 크기가 큰 강아지만 한 것도 있다. 이들은 여러 아종의 호랑이가 그렇듯 모두가 동일한 종이라 서로 교잡하는 것도 있다고 한다.
청솔모
녀석들은 잣나무 씨, 밤과 땅콩, 나무 껍질이나 그것을 벗겨서 나오는 수액, 버섯이나 버찌를 먹으며 야생 조류의 알뿐만 아니라 어미 새도 잡아먹는 잡식성이다. 겨울 채비로 가을에 먹고 남은 견과를 아늑한 땅속에 묻어 두거나 고목에 저절로 생긴 나무 구멍이나 바위 틈에 넣어 뒀다가 한겨울에 끄집어내 먹기도 한다. 그러나 공간 기억력이 아주 형편없어서 아무 데나 뒤져 먹는 것보다 조금 더 나은 수준이라, 애석하게도 샅샅이 다 찾아 먹지 못한다. 산길을 가다 보면 양지바른 숲 속에 띄엄띄엄 짙푸른 어린 잣나무가 올망졸망 일부러 심은 듯 일정한 거리를 두고 가지런히 서 있는 것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이것은 모두 청설모가 마저 찾아 먹지 못한 것들이 싹을 틔운 것이다. 한마디로 청설모가 애써 길섶 여기저기에 잣나무를 심어 준 꼴이다! 이거야말로 정말 멋진 '주고받기'로 세상에 절대로 공짜가 없음을 알려 준다.청설모는 공간 기억력이 형편없어서 기껏 저장해 둔 것도 잊어버리기 일쑤다. 하지만 그 덕분에 본의 아니게 잣나무 등의 씨앗을 여기저기 퍼트려 주기도 한다.
청설모는 딱따구리 등이 판 구멍을 집으로 쓰기도 하지만 보통은 나뭇가지 사이에 보금자리를 짓는다. 나무 꼬챙이로 얽어서 지름 25~30센티미터 정도의 접시 모양의 둥지를 짓는데 그 밑바닥에는 이끼, 마른 잎사귀, 나무껍질 등을 깐다. 2~3월, 6~7월에 걸쳐 두 번 교미를 하고, 그때면 집쥐들이 그렇듯 여러 마리의 수컷이 한 마리의 암컷을 놓고 한 시간을 넘게 쫓아다니다가 그중에서 힘이 센 놈이 암컷과 교미한다. 암컷은 여러 수컷들과 짝짓기를 하는데 임신 기간은 38~39일로 일반적으로 2~3마리를 낳으며 목숨앗이는 들고양이, 부엉이, 담비, 들개 등이다.
암수 몸피가 같고 배는 늘 흰색이며 한 해 두 번에 걸쳐 털갈이를 한다. 8~10월에는 회백색에 가까운 옅고 짧은 여름털에서 회갈색의 진하고 긴 겨울털로 바뀌고, 4~5월엔 그 반대다. 북극에 사는 토끼 무리들이 겨울에는 흰 털, 여름에는 검은 털로 바꾸는 것과 다르지 않다.
청설모의 귀에는 뾰족하고 긴 털 뭉치인 귀깃이 있고, 아주 긴 꼬리로는 나뭇가지를 팔짝거리며 건너뛸 때 몸의 균형과 방향 조절을 한다. 뒷다리는 길어서 뛰기에 편리하고, 발톱 끝이 예리하게 구부러져 있어서 나무를 타기에 용이하다. 녀석들 주변에 까치나 고양이가 나타나는 날에는 찍찍, 캑캑 콧소리로 경고음을 내지른다. 옛날엔 털을 사용하기 위해 사냥했다는데 요새는 개체 수가 엄청나게 늘어나 잣을 다 먹어 치우기에 총에 맞아 죽는 신세가 되고 말았다. 너무 오래 살거나 흔하면 자못 괄시당하는 것이 어디 청설모뿐이겠는가만은. 청설모의 몸은 나무 위에서 생활하기에 알맞게 되어 있다. 긴 뒷다리는 뛰기에 편하고 긴 꼬리는 몸의 균형과 방향을 잡는 것을 쉽게 해 준다.
같은 과(科)에 드는 다람쥐도 생김새나 생태가 비슷하지만, 청설모는 훨씬 덩치가 크고 주로 잣이나 밤을 먹는 반면에 다람쥐는 조막만 한 것이 땅바닥에 살면서 도토리를 먹는다. 좀 찜찜하지만 두 종간(種間)에 먹이가 크게 겹치지 않는데다 사는 무대도 약간 다르기에 둘은 공서(共棲)가 가능하다. 그러나 영역 다툼에 있어서는 힘이 약한 다람쥐가 덩치가 큰 청설모에게 못 당한다. 어쨌거나 모든 생물이 속절없이 먹을거리와 삶터를 놓고 사뭇 죽기 아니면 살기로 다툰다. 사람도 이 틀에서 털끝만큼도 벗어나지 않기는 마찬가지지만······. 청설모와 다람쥐는 서로 먹이가 크게 겹치지 않고 서식지도 달라서 공서가 가능하다. 그러나 만약 영역 다툼이라도 생기면 덩치가 큰 청설모가 다람쥐를 이기는 경우가 많다.
출처:(권오길의 괴짜 생물 이야기)
ㅣ
ㅣ
아래 청솔모 사진 오늘 낮 13시경 상계동 주공아파트 13단지 위 데크길이 잘 만들어진
수락산 둘레길을 걸으면서 날렵하게 자리를 옮겨가는 청솔모를 스마트폰에 담았습니다.
2025-02-19 작성자 명사십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