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s://www.fmkorea.com/6746165846
로체샤르
세계 7위 높이의 히말라야 16좌 중 한곳
이 산이 왜 ㅈ같나면
다른 산들과는 다르게 70~90도의 수직 빙벽이 무려 3천미터나 됨
사실상 베이스캠프 에서 부터 정상까지 3천미터나 되는 저런 수직 빙벽을 스파이더맨 마냥 기어올라야 정상임
위의 사진이 정상 직전 엄홍길과 두명의 대원들이 휴식을 위해 마지막 캠프 차린곳
저기서 하루 자야됨
3명다 정상에 가기 전부터 동상에 걸리고 최악의 환경 속에서 어짜저짜 모두 간신히 정상을 찍긴 했는데
변성호 대원이 정상에서 눈이 안보이는 설맹에 걸려버림
이상황에서도 엄홍길은 눈이 안보이는 후배와 동상에 걸린 후배를 기적적으로 안전하게 하산 시킴
베이스캠프에서는 10시간이 지나도 안내려오자 포기하고 엄홍길 대장 외 2명 실종이라는 기사를 본국에 보도 할려는 순간
엄홍길이 눈 앞에 나타남
대원들 셰르파들 난리 나가지고 보자마자 행가래 쳤다고 함
산에 정내미가 떨어질 정도로 개같은 산 로체샤르
TMI 엄홍길선생님 80년대 udt출신
엄홍길 대장은 UDT 출신이다. 그는 과거 UDT 현역 시절 5박 6일 동안 경주에서 독도까지 바다를 헤엄쳐 갔다고 설명해 놀라움을 자아냈다.
완등한 사람이 50명도 안 될 정도로 힘듦
에베레스트산은 사망률 불과 5퍼..
안나푸르나는 사망률 40퍼에
K2도 25퍼나됨.
K2북벽이 가장 어려운 등반코스인데 아직 성공한사람이 없다고함
K2 무산소 등정 후 스키로 하산
증명은 어케함?
https://namu.wiki/w/%EC%98%A4%EC%9D%80%EC%84%A0#s-3
이걸 잘 읽어 보면 대충 알 수 있을 거임. 사진, GPS 기록, 위에서 얘기한 남의 물건 가져오기 등등.
아니면 그 당시에 등반을 했어야만 알 수 있는 것들, 예를 들면 그 당시의 날씨라든지 올라가면서 봐야만 알 수 있는 특이한 지형이라든지, 아주 많은 방법이 있음
설맹 걸리면 내려오면 보이는거임?
심하지않으면 1~2일이면 다시 보인다네
난이도로 따지면 K2 북벽이랑 로체 남벽이 제일 힘들긴 함ㅋㅋㅋ
엄홍길도 로체샤르는 올랐어도 로체 남벽 루트는 포기했으니
K2북벽 그건 아무도 도전안하잖아..그걸 루트라고 봐야하는지도 의문임.
4000m를 절벽타고 올라가야 하는데 바람 막아줄 다른 봉우리도 없어서 그 돌풍을 다 몸으로 맞고 가야하는게...등반루트인가?
엄홍길 대장님 대단하시지
근데 우리나라 산악인들이 저평가 받는 이유는
코리안 루트 즉 우리나라 탐험대가 처음으로
발굴한 루트가 있어야 하는데 그게 없는거지
이미 다른 등반가들이 오르내리는 곳을 따라서
오르기 때문인데 박영석 대장님이 코리안루트
개착하시다가 안타깝게 실종되신거고
18년도에 돌아가신 김창호 대장님이 진짜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사람이었는데 진짜 안타까움
첫댓글 와 경사봐..
대단하시다 어케올라가고 잠은또어케자..무서워서 잠안올듯 ㅠㅠ
와 저기서 어떻게 자 조금만 몸 뒤척이면 떨어질것 같은데
와아...
개무서워 ㅁㅊ ㅜㅠ
나도 산악다큐 관심 많아서 한때 많이 봤었는데 확실히 국내에서는 엄홍길 대장님이 유명하고 국외에서는 본문에 나오는 박영석대장님이랑 이창호대장님이 유명한거같더라고.. 각 등반팀마다 추구하는 등반방식, 등반루트가 다르고 그에 따라서 평가가 달라지고 그렇더라 아무튼 세분다 대단한 분들임. 고미영,오은선 대장 같은 대단한 여성 산악인 분들도 있고
보다보면 진짜 좀전까지 멀쩡히 살아계시고 얘기하시던 분이 갑자기 실종되거나 사망하는 경우가 지이인짜 흔하더라고..자연앞에 인간은 진짜 한없이 작은 존재구나 싶음
와 여성 대장도 있는지 몰랐어 알려줘서 고마워~
무서워 ㅜㅜㅜ 아니 저기서 어떻게 자…?
여억시 유디티..
※ 여성시대 인기글 알림 봇 v1.2.0
※ 연속 등극 시 최대 3회까지 기록됩니다.
※ 자세한 내용은 프로필 게시글을 참고해주세요.
✧⋄⋆⋅⋆⋄✧⋄⋆⋅⋆⋄✧⋄⋆⋅⋆⋄✧⋄⋆⋅⋆⋄✧
2024년 02월 22일(목) 15시 - 인기글 72위 🎉
2024년 02월 22일(목) 16시 - 인기글 78위 🎉
너무 흥미로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