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늙은 말의 지혜(智慧)를 잘 끌어내어 위기(危機)를 모면한 이야기에서 이 성어가 나왔다. 작금(昨今)의 대한민국은 모든 문제에서 첨예하게 대립(對立)되는 갈등(葛藤)사회다. 조금도 손해(損害) 보려 하지는 않고 상대방의 양보(讓步) 만 강요하여 늘 시끄럽다. 이럴 때 필요한 것이 원로들의 경험(經驗)과 지혜(智慧)가 녹은 일침(一針)이다. 하지만 모두 존경(尊敬)하는 종교인 등 원로들이 세상을 뜬 뒤부터는 권위(權威)를 인정하지 않는 분위기 탓에 웬만해선 어른들이 나서지 않는다. 하찮은 동물인 말(馬)의 지혜도 빌렸는데 원로들의 경험을 사장할 판이다.
춘추시대(春秋時代. 기원전 403년~770년) 환공(桓公)을 도와 제(齊)나라를 부국의 지위(地位)에 올린 명재상 관중(管仲)과 관련된 이야기가 ‘韓非子(한비자)’ 에 나온다.
환공(桓公)이 관중과 대부 습붕(隰朋)을 거느리고 소국 고죽(孤竹)을 공격한 일이 있었다. 간단히 제압(制壓) 할 줄 알았던 소국과의 싸움이 의외로 길어져 그해 겨울에야 겨우 철수를 시작(始作)했다.
그런데 혹한(酷寒) 속에 귀국을 서두른 나머지 제나라 병사(兵士)들은 길을 잃고 엉뚱한 곳에서 헤매게 되었다. 이때 관중(管仲)이 나서 안심시켰다.
‘노마지지(老馬之智(늙은 말의 지혜)) 그들이 우리를 안내해 줄 것이다. 앞장세운 말이 고스란히 봄에 왔던 길을 찾아 갔기 때문에 무사히 회군(回軍)할 수 있었다.
또 한 번은 산길을 행군하다 식수(食水)가 떨어져 갈증(渴症)에 시달렸다. 이번엔 습붕(隰朋)이 나섰다. ‘개미는 겨울철엔 산 남쪽 양지(陽地)에 집을 짓고 산다. 흙 쌓인 개미집 땅 속을 파면 물이 있는 법이다.’ 군사들이 개미집을 찾아 파 내려가니 과연 물이 나와 갈증(渴症)을 벗어났다.
‘지혜(智慧)로운 관중(管仲)과 습붕(隰朋)도 알지 못하는 일에 봉착하면 늙은 말과 개미에게 가르침을 받았다.
그런데도 지금 사람들은 성인(聖人)의 지혜(智慧)를 본받을 줄 모른다 고 2200년이나 앞선 시대에 한비자(韓非子)가 개탄(慨嘆)했다.
우리 大韓民國 정치권도 마찬가지다. 틀린 줄 알면서도 국가가 망하든 말든 진영(陣營) 논리만을 앞세우는 위정자(爲政者)들 때문에 정말 국가의 미래(未來)가 암울(暗鬱)하기만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