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동쪽에 있는 작은 돌섬이다..
크기도 5만5000여 평에 불과하고 사람이 살기에 적합하지 않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가장 ''인간적''인 섬이기도 하다.
우리나라 사람 중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독도를 모르는 사람은 없거니와
환경생태적으로나 자원 측면에서, 그리고 국방.외교 등 국토관리면에서
없어서는 안 될 존재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국가적으로 일찌감치 1982년 11월 16일 제336호 천연기념물로 지정됐다.
당시 표면적 지정 사유는 해조류 번식지로서 보호가치가 있다는 것이었다..
관리도 해경이 담당했다.
그러다 99년 6월 독도관리지침을 제정하면서 문화재청으로
관리권이 넘어갔고 그해 12월 독도천연보호구역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국방.외교적 측면을 제외하고 순수 천연기념물 쪽에서 독도의
중요성과 가치를 보면 뭐니 뭐니 해도 생태적 보고라는 점이다.
울릉도에서 87.4㎞(일본 오키군도에선 157.5㎞) 떨어진 곳에 위치,
두 개의 주섬과 78개의 돌섬.암초로 구성된 독도는 화산섬 고유의
식생을 갖추고 있어 귀중한 학술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가장 최근 실시된 중앙일보의 조사를 포함, 지금까지의 학술조사
보고를 종합하면 현재 독도에 살고 있는 식물은 모두 69종으로
돌피군락, 돌피-왕해국 군락, 돌피-섬제비쑥 군락, 섬제비쑥-왕해국 군락 등이 있다.
또 작으나마 술패랭이꽃 군락, 번행초 군락, 왕호장 군락,
땅채송화-왕해국 군락 등도 있다.
나무 종류로는 사철나무와 섬괴불나무가 독도 환경에 적응해
작은 군락을 형성하고 있으나 나머지는 단목 형태로 존재하고 있다.
이곳에서 발견되는 새종류로는 이곳을 번식지로 삼고 있는
괭이갈매기.슴새.바다제비 말고도 천연기념물 제215호 흑비둘기와
천연기념물 제323호 매를 비롯, 환경부 지정 보호종인
솔개.물수리.쇠가마우지 등 129종이다.
또 호리꽃등에.꼬마꽃등에.긴꼬리꽃벼룩.넉점물결애기자나방 등
58종의 각종 곤충이 살고 있다.
이 같은 육상 생태 못지않게 중요한 것은 수산자원적 가치다.
북쪽에서 내려오는 북한 한류와 남쪽에서 북상하는 쓰시마 난류가
교차해 모두 86종의 플랑크톤이 살고 있어 특히 회유성 어족이 풍부하다.
연어.송어.대구를 비롯해 명태.꽁치.오징어.상어가 주종을 이루고
해삼과 전복.문어 등도 많이 잡힌다.
독도는 이와 함께 특이한 지질학적 특성으로 인한
관광지로서의 가치도 남다르다.
지금부터 460만~250만 년 전인 신생대 3기 플라이오세 기간에
해저 화산활동으로 생긴 까닭(제주도나 울릉도보다 오래됨)에
조면암.안산암.관입암 등으로 구성된 ''암석학의 보고''를 이루고 있다.
특히 주상절리와 해식아치 등이 많아 해면화산의 진화과정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세계적 지질 유적으로서뿐 아니라 관광자원으로서도
훌륭한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여기에다 97년 12월 러시아과학원 소속 무기화학연구소가 독도 주변 해역을
포함한 동해바다 밑에 일종의 고체 천연가스인 하이드레이트가 매장돼
있을 것이란 발표를 하는 등 해저자원 발굴의 전진기지로서도 각광의 대상이 되고 있다.
▶ 알 낳는 매끈이 고둥 독도 인근 청정해역에서 월동한 ''매끈이 고둥''이
산란기를 맞아 해저 바위 틈에 알을 낳고 있다.
▶ 한반도엔 독도, 독도엔 한반도 동쪽 끝 외로운 독도가 한국 땅임을
온몸으로 보여주는 것일까.
동도 북쪽사면의 초지(上)와 서도 앞 물개바위 위 해조류(서실)가
한반도 모양을 띠고 있어 눈길을 끈다.
▶ 꽃 먹는 새 방울새 한 쌍이 민들레에 앉아 꽃술을 먹고 있다.
민들레는 왕성한 번식력으로 독도의 대표적인 야생화로 자리 잡고 있다.
▶ ''독도 지킴이'' 대잇기 괭이갈매기 한 쌍이 짝짓기를 하고 있다.
괭이갈매기는 매년 같은 암수가 짝을 짓는다(下).
독도에 새 생명이 탄생하고 있다.
부화는 산란 후 25일 정도 걸린다(中) (上).
독도는 홍도와 함께 대표적인 괭이갈매기의 서식지다..






 |
첫댓글 좋은 게시물이네요. 스크랩 해갈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