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화는 보고 느끼는 그림이 아니라 소재와 문자의 의미를 읽어내야 하는 읽는 그림이다 동양화를 읽는 방법은 크게 세가지로 나눈다1>동음이자[同音異字]의 문구로 바꾸어 읽는 방법
2>그려진 사물의 우화적 의미[寓話的 意味]를 그대로 읽는 법
3>그려진 사물과 관련된 고전적 문구를 상기해서 읽는방법
[[동음이자[同音異字]의 문구로 바꾸어 읽는 방법]]
ex)연 열매가 강조된 시든 연밭에 백로가 있는 그림
-해석 : 일로연과[一路連科], 한걸음에 향시[鄕試]와 전시[殿試] 두번의 과거 에 연속 등과하다....요즘 말로 하면 사법고시나 행정고시 1,2차 시험에 연속 합격하여 이름을 떨친다는 뜻이다
-분석 : 一鷺[일로] 백로 한 마리 -> 一路[일로] 한 걸음
蓮菓[연과] 연 열매 -> 連科[연과] 연속하여 과거에 오른다는 뜻
ex)장닭이 우는 그림은 공명도[功名圖]
-의미 : 많은 공을 세워 널리 이름을 떨치다
ex)소나무 + 까치 + 표범[호랑이] 그림은 신년 보희도[新年報喜圖]
-의미 : 새해를 맞아 기쁜 소식만 오다
ex)대나무와 바위그림은 축수도[祝壽圖]
-의미 : 회갑,장수를 축하,기원한다
-분석 : 죽[竹] = 축[祝] , 바위 = 수[壽]
ex)목숨 수[壽] 자 모양으로 그린 향나무 그림은 백수도[百壽圖]
-의미 : 백세가 되도록 오레오래 살기를 기원한다
-분석 : 백수[栢壽] = 백수[百壽]
ex)목숨 수[壽] 자를 16번 쓰면 회갑 축하의 뜻
-분석 : 십육[十六] = 수육십[壽六十] 壽자는 1자, 16자, 100자로 쓴다
ex)고양이와 참새가 한 화면에 있는 그림은 희수도[稀壽圖]
-의미 : 참새의수가 곧 자식의 수를 나타내는데 만약 그림안에 참새가 3마리가 있다면 3명의 자식을 거느린 동갑의 부부가 맞은 고희[古稀 70세 생일]를 축하한다..
-분석 : 참새 작[雀] = 까치 작[雀] -> 喜[기쁨]
-참고 : 기쁨을 의미하는 까치를 그리지 않은 이유는 까치가 큰 새라서 조형적으로 잘 어울리지 않아서 같은 발음의 참새를 그려넣은 듯하다 참새를 황작이라 하는데 [황]자가 [환]과 중국식 독음이 비슷하다는 이유도 있다
ex)흰사슴을 그려넣은 그림은 백록도[百祿圖]
-의미 : 온갖 복록이 다 함께 하길 원한다
ex)기러기가 갈대밭에서 노는 그림은 노안도[老安圖]
-의미 : 편안한 노후를 즐겨라
ex)오리 한 마리가 버드나무 밑에서 노는 그림
-의미 : 과거에 장원급제하는 행운이 계속 머물기를 바란다
-분석 : 오리 압[鴨]을 파자하면 갑[甲]자가 되고 이는 일갑[一甲]즉 장원급제를 뜻함..
[[그려진 사물의 우화적 의미[寓話的 意味]를 그대로 읽는 법]]
ex)학이 파도치는 바닷가에 있으면 일품당조도[一品當朝圖]
-의미 : 당대의 조정에서 벼슬이 일품에 오르길 바란다..
-분석 : 학은 천수[千壽], 일품[一品]은 제일, 조[朝]는 밀물 조[潮]와 발음이 같다..
ex)석류그림은 다자도[多子圖]
-의미 : 석류알처럼 자식을 많이 낳으라는 의미
ex)모란꽃 그림은 부귀도[富貴圖]
-의미 : 부자가 되라는 의미
ex)모란 + 해당화 + 목련은 부귀옥당도[富貴玉堂圖]
-의미 : 좋은집에서 부귀영화를 누려라
ex)매화가지에 까치가 한 마리 앉아 있는 그림은 희보춘선도[喜報春先圖]
-의미 : 봄을 맞아 맨먼저 기쁜소식이 있길 바란다
ex)원앙새가 연못에서 노는 그림은 연생귀자도[連生貴子圖]
-의미 : 귀한자식 낳고 원앙새처럼 행복하게 잘 살아라
ex)학과 소나무 그림은 학수송령도[鶴壽松齡圖]
-의미 : 학과 소나무처럼 오래오래 건강하라는 의미
ex)학과 대나무 그림은 축수소[祝壽圖]
-의미 : 내내 건강하시고 생복하시길 빕니다는 의미
ex)피라미 + 부평초 + 꽃 + 작은잉어 + 큰잉어가 그려진 그림
-의미 : 타향살이의 고생에도 불구하고 학문에 힘써 학업을 마치고 소과,대과에 두루 합격하여 등용되기를 바라며, 연이어 귀한자식을 낳아 편안한 노후를 즐기기를 기원하노라..
ex)장미꽃은 장춘도[長春圖]
-의미 : 젊음이 오래 이어지길 바랍니다
-분석 : 장미꽃은 월계화[月季花],장춘화[長春花]라고 함 춘[春]은 인생의 봄 즉 청춘[靑春]
그려진 사물과 관련된 고전적 문구를 상기해서 읽는방법
ex)아홉마리의 해오라기 그림은 구사도[九思圖]
-의미 : 자고로 군자는 항상 아홉가지 덕목을 지켜야 하느니라
굼자가 사물을 대할때 생각하는 아홉가지 일로써 [논어]의 <계시편>에 나오는 유명한 구절이다 사물을 대할때는 밝게, 들을 때는 총명하게, 안색은 온화하게, 태도는 공손하게, 말은 신중하게, 일할때는 성실하게, 의심스러울 때는 물어서 밝히고, 화날때는 잘못하여 환난이 주위에 미치지 않을까 생각하고, 이득이 있을때는 그것이 의로운가를 생각하라
ex)창덕궁 옥좌의 뒤에 있는 병풍은 삽장생도가 아니니 천보구여도[天保九如圖]이다
-의미 : 구여란[시경]중 천보[天保]의 시에서 유래한 말로 축솔[祝頌]의 뜻을 지니고 있다 여[如]가 아홉자 들어서 구여[九如]가 되었다 그시를 번역하면 아래와 같다
[하늘이 당신을 안정시키사 매우 굳건히 하셨네 당신을 크고 두텁게 하사 모든 복을 갖추게 하셨으며 높은 산과도 같고 큰 땅덩이 같으며 높은 산등성이 같고 높은 언덕과도 같으며 강물이 흘러오듯 달이 밝아지는듯 하며 해가 뜨는 듯하며 남산이 무궁함 같으며 소나무가, 잣나무가 무성하듯이 당신의 일은 끊임없이 이어지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