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19편
희정 씨 네 가족여행
박상빈
박상빈 선생님이 거든 희정 씨네 가족 여행 이야기.
실천 이야기 앞, 성찰과 다짐을 읽으니
저 또한 돌아보게 합니다.
이런 마음으로 사회사업가들을 만나고 있는지 생각했습니다.
돌고 돌아 다시 마주한 사회사업.
바르게 하고자 하는 그 마음, 응원합니다.
실천 이야기 뒤, 박상빈 선생님 둘레 사람의 응원 글 읽으니
평소 박상빈 선생님이 어떤 마음으로 일하고 있는지 보이고,
사회사업 애정이 느껴집니다.
믿고 응원하는 사람이 있으니
이렇게 때가 왔을 때 실천하고 기록하며 나아갑니다.
그렇게 바르게 사회사업가답게 거들려 했던 희정 씨네 가족 여행.
이런 결심과 도전 끝에 이루어졌습니다.
한 발 나아가주어 고맙습니다.
이제 시작했습니다.
꾸준히 이어갑시다.
응원하겠습니다.
희정 씨 가족.
박상빈 선생님 제안으로 여느 가족처럼,
가고 싶은 때 가고 싶은 곳을 원하는 방식으로
다음 여행도, 더 많은 일상을
풍성하게 이루고 누리길 기도합니다.
...
업무분장을 통해 새롭게 사례관리 사업을 담당하게 되었습니다.
오랫동안 큰 변화 없이 별 도움 없이
사례관리라고 이름만 붙여놓고 돕던 희정 씨 가정을 다르게 돕고 싶었습니다.
지금까지 아이들을 사랑하고 잘 돌봐 오신 강점에 집중하고 더 칭찬해야겠다 다짐했습니다.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보다 좋은 것을 함께 해보자 제안하고 싶었습니다.
...
시골이지만 여러 가지 복지서비스가 많습니다.
장애가 있어도 정보와 건강만 허락하면 받을 수 있는 서비스가 많이 있습니다.
희정 씨 가족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싶지 않았습니다.
그저 여느 가족처럼 가족끼리 가는 소풍, 나들이, 여행이게 돕고 싶었습니다.
...
발달장애가 있는 한부모 가정으로 생각하고 무조건 도와주려 하지 않았습니다.
가족여행을 구실로 가족이 친해지고
엄마는 엄마 역할을 하고 아이들은 스스로 여행 계획을 세웠습니다.
관계를 살펴 도왔습니다.
당사자의 생태를 살펴 여러 사람을 만나 여행을 준비하는 데 함께했습니다.
사례관리 당사자의 문제가 아닌
가족여행이라는 좋은 욕구를 통해 도왔던 이야기를 들려드리겠습니다.
'희정 씨네 가족 여행'을 읽은 뒤,
댓글로 '읽었습니다' 하고 남겨주세요.
소감이나 질문을 써도 좋습니다.
첫댓글 다 읽었습니다
다 읽었습니다. 당사자의 가지고 있는 것에서, 당사자가 사는 공간에서, 당사자 스스로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진정한 의미의 사례관리라고 배웠습니다. 이번 사례를 읽어보니 당사자 스스로 무언가를 해보는 경험은 당사자 삶의 큰 의미를 가지게 되는 것 같습니다. 희정씨네 가족의 사례를 읽은 저에게도 큰 의미로 다가왔습니다. 감사합니다.
희정 씨 가족이 가족의 힘으로 여행을 다녀왔어요. 이 여행의 밑바닥에는, 바르고 정직하게 일해야겠다는 선생님의 고뇌가 흐르고 있는 것 같습니다.
다 읽었습니다.
사회사업 실천 현장에서 항상 스스로를 점검하며 정진하시는 선생님의 글을 읽으며 힘을 얻었습니다.
앞으로 나아가는 희정씨네 다음 여행 이야기가 기다려집니다.^^
다 읽었습니다.
다 읽었습니다.
다 읽었습니다.
다 읽었습니다. 희정씨가 다음을 이야기 합니다. 기쁩니다. 희정씨 가정의 다음 여행이 기대됩니다.
'사회사업 현장을 오래 지키고 싶습니다. 함께 꿈을 나눴고 울고 웃으며 함께 실천했던 동료들을 너무 많이 떠나보냈습니다. 지금 만나는 많은 동료, 선.후배가 현장에서 고민하는 모습을 보며 안타깝습니다. 응원하고 싶습니다. 괜찮다고 잘하고 있다고 힘을 내서 다시 해보자 하고 싶습니다.' 선생님의 글이 응원이 되고, 힘이 됩니다. 여전히 많은 동료들을 떠나보내고, 고민합니다. 저도 오래 사회사업하면 좋겠습니다.
다 읽었습니다.
읽었습니다.
지적약자인 보호자님들을 만날 때, 종종 은연중에 한계선을 정해놓고 대하는 저 자신을 발견했을 때가 생각났습니다.
반성합니다.
아이에 대한 애정과 책임감이라는 강점을 담아 희정 씨를 바라보며 함께한 박상빈 선생님, 정말 멋지십니다.
다 읽었습니다.
잘 될지 모르더라도 일단은 당사자에게 복이 될 것을 생각하여 먼저 제안하는 것과, 생각해 둔 것을 시도 해보는, 그런 용기있는 자세가 필요함을 배웁니다. 사회사업 방식으로 가족끼리 무언가 같이 해볼 수 있다는 경험을 하게끔 거드는 것의 의미를 새겨봅니다. 고맙습니다.
글을 읽으며 합동연수 때 뵀던 박상빈 선생님 모습을 떠올렸습니다. 언제나 열정과 열심으로 사회사업 하려는 모습.. 늘 닮고 싶습니다.
다 읽었습니다.
처음 사회사업을 하게 되신 계기, 과정, 그리고 실천의 이야기들이 아주 잘 작성되어 있어 옅보는 것 같았습니다.
단기사회사업 참여 실습생들도 같은 관점으로 실행했던 모습들이 돋보입니다.
고민하고, 애정하는 일에 애쓰셨던 것이 글에서도 느껴집니다.
담당자와 식사하고 싶어했던 희정씨의 마음이 얼마나 컸을지도 감동입니다.
자생하도록 도운 이야기들이 생생합니다. 멋찝니다!
다 읽었습니다.
이상은 높았는데 현실은 쉽지 않았습니다. 여러 재미있는 실천이 많은데 기록이 별로 없습니다. 아쉬운 부분입니다.
실천을 하고 여유가 없으니 글쓰는 것이 부담으로 다가옵니다. 알면서도 하지 못하니 마음에 짐으로 느껴집니다.
"글쓰기에 좋은 때란 없습니다. 글쓰기에 좋을 때란 바로 지금입니다.'
결심이 실천으로 연결되는 것이 참 쉽지 않지만, 그럼에도 직원들과 함께 하는 장치를 마련하고 조금씩 적어봐야겠습니다.
사례관리 당사자를 마주했을 때 그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를 생각하면서 만나는 것이 아닌, 그를 이해하기 위한 노력과 시선을 넓혀야겠다는 생각을 합니다. 그렇게 하기 전까지 섣부르게 행동하거나 제안하지 않아야겠다 생각이 듭니다.
함께 실천하는 동료들을 위해 기도하고 저도 받은 사랑 내리 사랑으로 보답하기 위해 노력하겠다 다짐해봅니다.
다 읽었습니다.
다 읽었습니다. 어려운 상황에서도 글쓰기를 놓치 않으시고 애쓰신 선생님의 노력이 감동적이었습니다. 희정씨네 가족 이야기도 잘 읽었습니다.
읽었습니다. 사회사업에 대해 공부하면서 열정 가득한 대학시절 정예화캠프에 참여했던 기억, 현장에서 더 나은 복지를 위해 고민하고 애쓴 그 시절이 생각났습니다. 더디더라도 바르게 실천하는 사회사업가의 모습. 그런 제가 되길 다시 다짐하고 응원해 봅니다.
다 읽었습니다. "한번의 성공 경험이 다른 도전을 생각하게 합니다." 당사자가 원하는 일, 해볼 만한 일 먼저 시작하는 것에 집중해봅니다.
다읽었습니다 며칠바빠놓치고 조금 지쳐있었는데 오늘글 읽으며 다시 힘을 냅니다
글을 쓰기에 좋은 때란 바로 지금입니다
사회사업 현장을 오래 지키고 싶습니다
더디더라도 바르게 실천하는 사회사업가이고 싶습니다
마음에 남는 문장들입니다
감사합니다
다 읽었습니다.
읽었습니다.
다 읽었습니다 바르게 사회사업하심의 열정이 느껴졌습니다. 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