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s://www.fmkorea.com/6778889183
들어가기 앞서
트럼프 재집권 가능성이 올라간 지금 한국의 다양한 각계계층에서 어떻게 생각하나
최대한 공식적인 브리핑이나 기사들 위주로 작성함을 알립니다.
https://www.mk.co.kr/news/world/10936300
2월 4일 매일 경제 기사 요약
-워싱턴 DC의 한 한국 대기업의 사무소는 트럼프의 "바이든 전기차 공약 폐기" 발언에 매일 트럼프 발언들에 촉각을 세우는중
-현재 미국 트럼프 대선 캠프에선 "라이트 하이저" 가 통상,무역 부문을 설계하고 잇는 것으로 알려짐
-이 라이트하이저 측근 M씨가 한국 방문했을때 국내 주요 기업 대관 담당라인들이 만나기 위해 총력전까지
-현 정부는 트럼프 2기 집권 우려중 , 그 이유는 트럼프 집권 당시 대미 무역 흑자가 179억에서 -> 114억까지 감소, 바이든 정부에선 저년도 445억 달러로 사상 최대 무역 흑자를 기록을 했음
https://www.munhwa.com/news/view.html?no=2024020801071705017001
2/8일 문화일보 기사 요약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주재 피셜 " 트럼프 재집권해 기본관세 현실화땐 , 한국 실질 GDP 0.3% 감소 "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40792
1월 29일 비즈니스 포스트 기사요약
-블룸버그 "한국, 트럼프 재선시 바이든 행정부가 내린 조차 상당수 바뀔 수 있으며, 삼성전자와 하이닉스의 중국 공장 관련된 결정도 이에 포함될것"
-바이든 공약 IRA(인플레이션감축법)에 따른 한국 기업의 투자 규모는 약 72조원에 이름, 현대, LG에너지솔루션 등 국내자동차, 배터리 제조기업들은 새판 대비중
-LG에너지 솔루션은 IRA보조금 권리를 제3자에 매각하는 방안까지 검토
-한국대외경제정책연구원 12월 보고서 " 전기차 배터리 관련 미국 보조금 지원 정책 모두 폐기될 가능성 대비해라"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40124/123203921/1
1월 24일 동아일보 기사 요약
-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경우 중국 내 공장에 대해서 지난해 10월 수출통제 무기한 유예를 받으면서 한시름 놓았는데 결정이 번복될 가능성에 대비중
https://www.kita.net/
한국 무역협회 통상이슈 브리핑 내용 (1/23)
- 트럼프 재집권시 미국 우선주의 및 고립주의 강화되며 중국과의 경제적 디커플링으로 글로벌 경제안보에 새로운 국면 전개될 가능성
-트럼프 캠프가 무역적자 원인으로 한국,일본, 멕시코, 유럽 산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을 지목한 만큼 한국도 보편적 관세 대상국가에 포함될 가능성
-IRA 발효 후 미국에 가장 많은 투자한 한국 기업에 대한 부정적 영향 불가피
https://www.kita.net/
한국 무역협회 무역뉴스 1/28 기사요약
-대외경제정책연구원 강구상 북미유럽팀장 " 국내 배터리 3사의 매출이 일차적으로 피해볼것이며 3사와 동반 진출한 기업도 2차 피해 볼것"
-현대 경제연구원 주원 경제연구실장 " 친환경차 산업 침체 예상 "
-조영무 LG경영연구원 " 바이든이 했던 모든 정책을 부정할 것이라서 예측 가능성이 떨어져 우리의 대응을 어렵게 만들것"
-한국개발연구원 KDI 송영관 선임연구위원 " 우리나라의 대규모 투자가 미국에서 이뤄지고 생산기반이 옮겨지다 보니 한국 경제 측면에서 5년~10년 후에 문제될 수 있다" 우려
첫댓글 밀국 사는데 지금 현재 상황은 확실히 트럼프가 우세한거 같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