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도 좌경사 상태에서 헬기에서 찍은 동영상을 관찰하면,
세월호 주변에 광범위한 경유 유막과 바닷물속 벙커시유
유출이 관찰된다.
45도 각도에서는세월호 하갑판밑의 선박연료가
뚜껑 없는 항아리에 담겨져 있더라도 유출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그 상태는 바다물 유입이 지속될 뿐인 경사각 상태이다.


선미 바다 속에는 벙커시유 큰 덩어리가 확산되어 흐른다.

좀 더 명확히 보정해보면

붉은 갈색의 거대한 벙커시유 덩어리가 확연하다. 정지된 배에서 저런 퍼지는 형태 모양으로
확산되어 나오면 당연히 그 근처에서 흘러나오고 있다는 것을 의심해야 한다.
주변 바다 표면에는 경유 유막이 광범위하게 퍼져 있다.






마지막 침몰 시각에 가서는 넓은 주변이 막대한 벙커씨유로 뒤범벅 상태가 된다.
이러한 대규모 선박연료가 2시간만에 단순 전복사고로, 선저 파공 없이 유출된 경우는
세계선박사고에서 유례가 없다. 선저의 연료탱크의 파공없이 침몰하는 배들은
소량의 기름이 유출되고 장기간에 걸쳐 바다물에 의한 선체 부식에 의해 기름
유출 위험성이 있게 될 뿐이다. 벙커시유와 바닷물의 분별력을 높이기 위해
채도와 대비를 보정하여 살펴보자.



그야말로 군사적 해상 교전 이후에 벌어진 기름 유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대규모 기름 유출이 바로 세월호 침몰의 실체를 웅변하고 있다.
이러한 막대한 양의 단시간 경유-벙커시유 유출 현상은
선저 연료탱크가 관계된 파열부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세월호 우현 선저에는
버블개스자국과 관통탄두의 모양을 갖추고 있다.
이런 경우 경어뢰의 피격을 의심해야 한다.



이러한 사진을 캡쳐한 동영상들은 모두 16일에 나온 것이므로
사전 정보 필터링이 완전치 않았을 것이므로
세밀히 관찰하면 침몰 원인을 찾는데 유익할 것이다.
유출된 선박연료는 희석되면서 검은색에서 갈색-->붉은갈색
-->황갈색으로 변한다.

우현 선저의 벙커씨유 검붉은 음영의 채도와 대비를
올려 확대해서 보면,
우현 선저 파공과 해수 흡입구(sea chest)에서
희석된 벙커시유가 흘러나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침수로 희석된 벙커시유가 흘러나왔고,
좌경사가 발생하면서 우현선저가 쳐들리면서
물에 의한 희석이 중지되고 그대로 희석 벙커시유가 남아 있는
두께에 의해 색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후에 침몰 말미에 가서는 선내의 화재가 확대되면서
연소개스압력에 의해 잿빛연기, 검은 연기와 함께 기름물을 분출한 것으로 보인다.

철저히 편집한 해경 헬기 동영상에서는 노출을 회피한 것으로 보이는
우현 선저의 관통파공과 해수 흡입구에서도 대규모 기름 분출이 발생했을 것이다.
마지막 침몰 순간에도 관통파공 루트를 따라 진하게 희석된 벙커시유의 분출이
두드러진다.

짧은 시간안에 주위 바다는 온통 벙커시유로 뒤범벅이고
그 범위가 매우 광범위하다. 이러한 의미있는 현장 단서로부터
세월호 침몰의 원인을 탐구해야 한다.
이러한 대량의 벙커시유 유출량을 감안하면
경어뢰의 관통탄두의 입사점인 세월호 엔진룸
밑의 경유-벙커시유 혼합유탱크의
용량으로는 부족하다.

이는 관통탄두가 엔진실 밑의 제 선박연료탱크를
뚫고 밀물탱크-->능동 핀안정기 동력실-->제3VOID SPACE를
지나서 대용량인 제1선박연료탱크까지 관통했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는 1연료탱크의 선박연료와
민물탱크 물이 섞여 희석되어 유출됐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우현의 민물탱크와 대용량의 제1 IMO연료탱크의 내용물이 섞여
제2 IMO 탱크의 연료를 지속적으로 희석시키며 관통파공과
해수 흡입구를 통해 유출되어 우현이 가벼워지면서 좌경사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경어뢰의 메탈젯이 감속되는 마지막 순간에
제1연료탱크를 관통하여 연료 유면의 경유에 표면 화재를 일으켰을 것이고
한정된 공기량 때문에 제한적인 화재이지만 탱크내부 압력을 높여
연료를 관통루트를 통해 밀어내는 역할을 하여 지속적인 연료유출을
일으켰고 후에 선체가 기울어진 이후에는 파공이 수면 위로 노출되면서
충분한 공기가 공급되면서 연료탱크의 연료 표면 화재가 증가했고,
상층 여객실에 있던 학생들이 맡은 가스분출냄새(무취인 가스에
황성분계열의 방향제 첨가),삶은 계란 냄새(황산화물에 의한 냄새)는
이러한 화재의 확대를 의미한다.
동시에 파괴된 우현 능동 핀안정기의 양력에 의한 조정력 소실도
좌경사를 악화시켰을 것으로 보인다. 핀안정기의 단면을 보면
좌측 끝부분이 상하로 움직이며 물의 밀도차이에 의한 양력을 발생시켜
배의 좌우 경사(롤링)을 완충한다. 속도가 빠를 수록 핀안정기의
양력의 힘은 커진다. 동력이 살아 있을 때에는 연료탱크 유출과
우현 안정기 불능에 따라 증가된 기울기를 왼쪽 핀안정기가 반복적으로
최대한 보정하는 작용을 하였을 것이고 이러한 반복적인 보정은 생존자들이
언급한 지그재그 운항의 느낌으로 느꼈을 것이다.

그러다가 희석된 연료에 의해 주엔진 등이 정지하면서
속도가 급감하여 그 전까지 정상적으로 작동하며 좌경사를 보상하던
좌현 핀안정기의 동력이 끊어 지면서 양력이 소실되어 이러한
보상 균형이 사라지고 급격히 좌경사가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높아진 우현 선저가 수면위로 올라가자 연료탱크와
민물탱크의 유출은 가속화되면서 좌우 불균형도 심화된다.
이러한 경어뢰 피격의 원인체로 한국형 경어뢰인 청상어를
필자는 의심한다. 그 정황에 대해서 다음편의 글에서 서술하겠다.
추가로 제가 만들어 올린 제 추론을 정리한 동영상입니다.
이 동영상 내용 중에 경어뢰의 EFP탄두 추정에 대한 추론은
성형작약탄두(SHAPED CHARGE)와 EFP를 혼합한 형태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관통 각도는 동영상 각도보다 더 예리하게 들어가
탄두의 마지막 단계인 비산타격(spallation)현상을 일으킨 곳은
제1연료탱크라는게 지금의 결론입니다.
참고하여 봐주시길 바랍니다.
세월호 분석-토론 사이트
---> 정론직필 카페
또는
---> 서프2
============================================================
화성에서온님/ 선미유출에 대한 질에 대한 설명

단편적인 사진이지만 유투브 편집기능으로
채도, 대비, 손떨림을 보정해서보면,
선미 밑 물속에서는 벙커씨유 유출이나 분출이 안보입니다.
모두 옆에서 표면으로 떠내려와 가끔 헬기 바람에 쓸려갑니다.
그리고 헬기가 특공대를 대거 선내 투여하지 않고 비효율적으로줄로 끌어올리는
행위를 지속하는 것도 저는 뒤쪽의 작은 민간배들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헬기바람으로 방어하고
동시에 뒤편에 쌓이는 기름을 바람으로 밀어내기 위한 행위라고 봅니다.
그리고 헬기 2~3대의 양력이면 6~10톤의 무게가 가해지는 셈인데
넘어가는 배 위에서 내내 저러고 있는게
그냥 무식하다고 이해해줄 문제가 아니겠죠.
뒷쪽 파공과 기름 유출를 어떻게 해서든지 은폐할려고 하는
의도와 지시를 저는 느낍니다.
제가 채도, 대비와 손떨림을 보정한 동영상인데
참고해보시길..
헬기 바람 때문에 헛갈릴 수도 있지만,
선미에 파공이 있다면 2시간만에 이 엄청난 기름분출을 설명할 정도로 분출해야 합니다.
그런데 선미는 흘러온 벙커새유 표면층이 사라지면
아주 깨긋해집니다. 끝까지 선미 장면을 보시면서 판단해보시길.
그리고 해경이 철저히 통제하는데가 어딜까요 바로 제가 말한
우현 부위이죠.
하지만 선미는 어업구조선이 들어가고 민간배도 들어갑니다.
이렇게 단시간에 대량유출이 일어나는 선미에 파공이 있다면
당연히 이 화면에 나타나야 하고
민간배들도 쉽게 알아볼겁니다.
단 2시간만에 주변바다를 뒤덮은 기름 유출입니다.
그걸 유념해서 선미에 파공 가능성을 검증해보길 바랍니다.
보면 알겠지만 헬기가 직접 바람을 일으키면 작은배들은 위협을 느끼고
접근도 못하죠....우현이 그렇습니다.
그리고 헬기 촬영영상 중에서 침몰 마지막 장면을
보시면 선미, 선수보다 좌우현 양측에서 기름유출이 주로 이루어 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죠. 앞쪽(좌현)은 뒤집힌 선저의 해수흡입구과
2층 화물칸 출입구와 창문으로 연기가 나온 걸로 보아 수면 높이가
불붙은 경유 화재 유막이 흘러 내러오기 전에
물속에 확산 희석되는 벙커시유 기름도 쏟아져 내려온 것으로
판단됩니다.
==========================================
화성에서온님의 질문/ 바닷속 붉은 빛이 헬기 유리창 반사빛이다?
그렇지가 않다. 헬기유리창 햇볕반사가 수면에 투사되는 것은 따로 존재한다.
다음 그림에 표시된 부분이 헬기 유리창 햇볕 반사빛이 수면에 투사된 음영입니다.
수면 뿐만 아니라 세월호 갑판에도 투사됩니다.
붉은 색 덩어리는 헬기가 움직여도 물속의 덩어리로써 움직임을 보여줍니다.

첫댓글 끔찍합니다....아이들이 그냥 바다에 빠져 죽는 것도 고통스러운데...
가스가 들어온다...계란 냄새가 난다...엄청난 양의 기름유출로 독한 공기와 물속에서
고통스러웠을걸 생각하면....너무 가엽고 아프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