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땅은 내가 지킨다! 권율장군
권율(1537∼1599)의 본관 안동이고 자는 언신, 호는 만취당·모악이다. 1582년(선조 15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고, 1587년 전라도도사, 이듬해 예조정랑 ·호조정랑 ·경성판관에 이어, 1591년 의주목사가 되었다.
1592년에 임진왜란이 일어나 수도가 함락된 후 전라도순찰사 이광과 방어사 곽영이 4만여 명의 군사를 모집할 때, 광주목사로서 곽영의 휘하에 들어가 중위장이 되어 북진하다가 용인에서 일본군과 싸웠으나 패하였다. 그 뒤 남원에 주둔하여 1,000여 명의 의용군을 모집, 금산군 이치싸움에서 왜장 고바야카와 다카카게의 정예부대를 대파하고 전라도순찰사로 승진하였다. 또 북진 중에 수원의 독왕산성에 주둔하면서 견고한 진지를 구축하여 지구전과 유격전을 전개하다 우키타 히데이에가 거느리는 대부대의 공격을 받았으나 이를 격퇴하였다. 1593년에는 병력을 나누어 부사령관 선거이에게 시흥 금주산에 진을 치게 한 후 2800명의 병력을 이끌고 한강을 건너 행주산성에 주둔하여, 3만 명의 대군으로 공격해온 고바야카와의 일본군을 맞아 싸웠다. 모든 무기를 총동원해 싸우다 무기가 바닥나자 마을 부녀자들이 앞치마에 돌을 담아 날라 2만 4000여 명의 사상자를 내게 하며 격퇴하였다. 그 전공으로 도원수에 올랐다가 도망친 병사를 즉결처분한 죄로 해직되었으나, 한성부판윤으로 재기용되어 비변사당상을 겸직하였고, 1596년 충청도순찰사에 이어 다시 도원수가 되었다.
1597년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적군의 북상을 막기 위해 명나라 제독 마귀와 함께 울산에서 대진했으나, 명나라 사령관 양호의 돌연한 퇴각령으로 철수하였다. 이어 순천예교에 주둔한 일본군을 공격하려고 했으나, 전쟁의 확대를 꺼리던 명나라 장수들의 비협조로 실패하였다. 임진왜란 7년 간 군대를 총지휘한 장군으로 바다의 이순신과 더불어 역사에 남을 전공을 세웠다. 1599년 노환으로 관직을 사임하고 고향에 돌아갔다. 영의정에 추증되고, 1604년(선조 37) 선무공신 1등에 영가부원군으로 추봉되었으며, 충장사에 배향되었다.
권율장군 묘
조선 중기의 명장 권율의 묘로 경기도 양주군 장흥면 석현리에 있다. 묘에는 상석 1기, 묘갈과 동자석 1쌍, 좌우에 문무석과 망주석 각각 1기, 묘소 입구에 신도비 1기가 있다. 1972년 5월 4일 경기도기념물 제2호로 지정되었다.
행주산성
경기 고양시 덕양구 행주동에 있는 삼국시대의 토축산성으로 정확한 축성연대와 목적은 알 수 없으며, 임진왜란 때 장군 권율이 대첩을 이룬 싸움터이다.
1592년(선조 25년) 7월 8일 이치에서 왜적을 격멸한 권율은, 12월 수원 독산성에서 다시 적을 물리친 뒤 서울 수복작전을 개시하여, 조방장 조경과 승장 처영 등 정병 2,300명을 거느리고 한강을 건너 행주 덕양산에 진을 쳤다. 이때 왜군 총수 우키타 히데이에는 고니시 유키나가, 이시다 미쓰나리, 구로다 나가마사 등의 부하를 거느리고 3만여 병력으로 공격해왔다. 권율은 이들을 처절한 접전 끝에 크게 무찔렀다.
지금도 행주산성 서북쪽에는 신라시대 때 쌓았다는 토축산성터가 남아 있고, 삼국시대의 토기 조각이 출토되는 것을 보면 임진왜란 이전에도 중요한 군사기지였음을 알 수 있다. 1603년(선조 36년)에 세운 행주대첩비와 1963년에 다시 세운 대첩비가 있으며, 1970년 권율의 사당인 충장사를 다시 짓고 정자와 문을 세웠다. 현재 사적 제 56호로 지정되어 있다.
행주대첩비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주내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석비로 1978년 10월 10일 경기도유형문화재 제74호로 지정되었다. 이 비는 임진왜란 때 권율이 행주산성에서 왜병을 물리친 것을 기념하기 위해 1603년(선조 35년)에 권율 밑에 있던 여러 장수들이 덕양산 정상에 세웠다.
1845년(헌종 11년)에 비가 심하게 마모되자 종전의 비문을 그대로 옮겨 쓰고 더 큰 규모로 비를 세웠는데, 이때 세운 것과 구별하기 위하여 '구비'라고 한다. 크기는 높이 178cm, 너비 80cm, 두께 18cm이며 재료는 대리석이다. 비석 어깨부분에서 밑부분까지 약 3cm 넓이로 갈라졌으며 기단부는 묻혀 있다.
비의 앞면 비문은 당대의 유명한 문장가인 최립이 짓고하고 명필 한석봉이 썼는데, 행주대첩의 경과와 권율의 공덕을 기리는 내용이다. 비의 전액은 김상용의 글씨이고, 뒷면은 이항복이 짓고 김현성이 썼다. 새 비로 인해 한때 방치되었으나 비각을 새로 세웠고, 1970년에는 비각을 개축하였다. 나중에 세운 비와 이웃하여 1970년에 권율을 모신 충장사를 건립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