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국공립 문화예술기관들이 여전히 무료 1.초대권을 2.남발하고 있어 국공립 문화예술기관을 유료 3.관람하면 54.호구소리를 들을 정도로 초대권 남발 심각음이 드러났다.
새정치민주연합 민병두 의원이 9일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국공립 문화예술기관의 관람객 4.현황 자료를 5.제출받아 이를 6.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지난 2010년 공연예술계의 잘못된 무료 초대권 7.관행을 8.혁파하기 위하여 "2010년 하반기 중점추진 예술정책"발표하면서 초대권제도를 9.폐지하기로 한 바 있다
대상기관은 10곳의 국공립 문화예술기관 및 단체로 국립중앙극장, 국립국악원, 예술의 전당, 명동정동극장(명동예술극장, 정동극장), 국립발레단, 국립오페라단, 국립합창단, 서울예술단, 코리안심포니오케스트라, 한국공연예술센터(아르코예술극장, 대학로예술극장)이었다.
무료 초대 관행 10.개선을 위한 세부추진 11.계획은 다음과 같았으며, 12.준수사항으로 13.행동강령에 초대권 14.배포 금지 조항 신설, 기관 자체에서 주기적 15.점검 등으로 개별적인 초대권 배포 상황 점검(분기별 보고), 초대권 배포자에 대한 16.성과급 미지급
문화체육관광부의 무료 초대권제도 폐지 17.방침에도 18.불구하고, 2011년 11월 국민권익위원회로부터 일부 문화예술기관(예술의 전당, 세종문화회관)이 초대권 19.부당사용으로 20.적발된 바 있었다.
2011년 11월 당시 국민권익위원회는 무료 초대권 부당사용 사실을 적발하면서 "21.건전한 국내 22.공연산업 55.발전을 위해서도 이러한 무료초대권 수수 관행은 하루 속히 사라져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대표적인 공공 문화예술기관들이 앞장서 23.솔선수범할 필요가 있다"고 56.지적한 바 있다.
특히 예술의 57.전당, 국립오페라단, 국립합창단, 서울예술단, 코리아심포니오케스트라, 정동극장 등은 정가판매보다 무료 관객이 보다 많은 58.실정이다.
문화체육관광부는 24.산하 문화예술기관에 한 해 약 625억 이상을 국고로 59.지원하면서 이와 같은 무료초대권 관행에 대한 관리·감독을 전혀 하지 않음으로써 국민 25.혈세가 26.낭비되는 것을 27.방치하고 있다.
심지어 산하 문화예술기관이 근 3년 동안 무료초대권 관행을 28.유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현황 29.파악도 하지 않고 있으며, 기관별 초대권 배포 상황에 대한 30.이행보고를 분기별로 하도록 지시하였음에도 이를 이제껏 단 한번도 31.확인하지 않음으로써 산하 문화예술기관이 무료초대권을 남발하도록 32.방관하였다.
민병두 의원은 문화예술기관의 바람직한 관람문화 33.조성과 공연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잘못된 무료초대권 관행을 34.조속히 개선해야 하고, 문화체육관광부가 이러한 관행을 혁파하기 위해서는 산하 문화예술기관에 대한 관리・35.감독을 36.철저히 할 것을 37.요구했다.
부실 38.복원된 국보 1호 숭례문. SBS 취재진이 전문가와 함께 내부를 점검해봤더니 39.단청은 떨어지고, 나무가 갈라지는 40.현상이 계속 41.진행되고 있었다. 복원이 끝난 지 1년 반도 채 되지 않았지만 어디 하나 성한 곳이 없었으니 이쯤 되면 42.재앙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문화재청이 지난해 10월 이후 처음으로 60.숭례문 내부를 43.공개했는데 44.전문가와 함께 살펴보았다.
우선 2층 단청.
45.취재진이 지난해 46.촬영한 단청을 찾아보니, 1년 전에 괜찮았던 부분도 곳곳에 금이 가면서 곧 떨어질 것처럼 보인다.
조춘자(숭례문 종합점검단. 단청 전문가는 “61.장마도 지났고 더 많이 떨어지고 또 다른 색까지 더 많이 떨어졌다”고 한다.
실제로, 단청이 떨어진 곳은 지난해 10월 81곳에서 이번에는 무려 517곳으로 늘었고 문화재청이 조사해 만든 평면 지도를 보면 아래층 265곳, 위층 252곳의 단청이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숫자만 늘어난 게 아니라 이 단청은 1년 전과 비교해 떨어진 47.면적이 더 넓어졌다. 불량 단청을 전부 걷어내고 다시 칠하겠다는 게 문화재청 입장이지만, 전통48.안료의 재료가 뭔지조차 49.정확히 알아내지 못하고 있다.
곳곳의 50.목재도 불안하다. 이 부분은 1년 만에 2~3cm 정도가 더 부서져 62.균열이 길어졌고 최근에 생긴 균열은 깊이가 20cm나 된다.
사람들이 지나다니는 문인 '50.홍예' 부분에서는 좌우의 폭이 계속 좁아지는 이른바 배부름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데 아직 원인을 알 수 없다.
멀쩡한 곳이 거의 없는 셈이다. 숭례문은 우리 국민의 자존심인데 숭례문이 완벽하게 재복원될 수 있도록 철저한 확인과 재보수 관리 등 정부의 대책이 51.시급하다.
숭례문은 복원이 끝난 지 1년 4개월이 지났지만 사업을 52.책임진 공무원들에 대한 53.징계는 아직도 이뤄지지 않고 있다.
------------------------------------------------------------------------------
▣ 고딕으로 된 한자어를 한자로 쓰시오(1~53)
▣ 다음 제시된 한자어의 동음이의어를 쓰시오(54~59).
54.虎口(호구) : ① 매우 위태한 경우나 지경 ② (바둑에서) 석 점의 같은 색의 돌로 둘러싸이고 한쪽만 트인 한점의 자리 ③ 어수룩 하여 이요하기 좋은 사람
가. ( ) : 호수와 식구
나. ( ) : 간신히 끼니만 이으며 사느 일
다. ( ) : 몸을 보호하기 위해서 머리에 쓰거나 몸의 일부를 가리는 용구
라. ( ) : 여우가죽옷
55. 發展(발전) : ① 세력 따위가 성장하여 뻗어 나감 ② 어떤 상태가 보다 좋은 상태로 되어감 ③ 어떤 일이 낮은 단계에서 보다 높거나 복잡한 단계로 나아감.
( ) : 전기를 일으킴
56.指摘(지적) : ① (어떤 사물을) 꼭 집어서 가리킴 ② (허물 따위를) 들추어 가려냄
가. ( ) : 땅의 넓이
나. ( ) : 땅에 관한 여러 사항을 적어 놓은 기록
다. ( ) : 지식이 있는, 지식에 관한
57. 殿堂(전당) : ① 神佛(신불)을 모시는 집. 殿宇(전우) ② 크고 화려한 집. 堂宇(당우) ③ (어떤 분야에서) 가장 권위있는 기관
가. ( ) : 全擔(전담)
나. ( ) : 한 정당의 전체
다. ( ) : 全擔(전담)
라. ( ) : 물품(동산)을 담보로 하여 돈을 꾸어주거나 꾸어 쓰는 일
58. 實情(실정) ① 실제의 사정 ② 거짓 없는 참된 마음
가. ( ) : 정치를 잘못함, 잘못된 정치
나. ( ) : 失節(실절). 절의를 굽힘, 정절을 자키지 못함
59. 支援(지원) : 뒷받침하거나 편들어 도움. 원조함.
가. ( ) : 지방법원이나 가정법원 등에 따로 분설된 하부기관
나. ( ) : 지극원통(더없이 원통하고 억울함)의 준말
다. ( ) : 지극히 바람 또는 그러한 소원
라. ( ) : 뜻하여 바람. 바라서 원함
60. 崇禮門(숭례문, 남대문) 외 4대문을 쓰시오.
가. ( ) : 동대문
나. ( ) : 서대문
다. ( ) : 북대문
61. 장마에 해당하는 한자어를 쓰시오.
62. 다음 한자의 음을 쓰시오.
龜裂(균열)
가. 龜趺( ) 거북 모양으로 만든 비석의 받침돌. 龜頭(귀두).
나. 龜旨歌( ) 원시 시가의 한가지. 駕洛國(가락국) 추장들이 龜旨峰(구지봉)에 모여서 金首露王(김수로왕)을 맞이 하기 위하여 불렀다는 노래. 迎神君歌(영신군가).
------------------------------------------------------------------------------
<정답>
▣ 고딕으로 된 한자어를 한자로 쓰시오(1~53)
1. 招待券 2. 濫發 3. 觀覽 4. 現況 5. 提出 6. 分析 7.慣行 8.革罷 9. 廢止 10.改善 11.計劃 12.遵守事項 13.行動綱領 14.配布 15.點檢 16.成果給 17.方針 18.不拘 19.不當使用 20.摘發 21.健全 22.公演 23.率先垂範 24.傘下 25.血稅 26.浪費 27.放置.28.維持 29.把握 30.履行報告 31.確認 32.傍觀 33.造成 34.早速 35.監督36.徹底 37.要求 38.復原, 復元 39.丹靑 40.現象 41.進行 42.災殃 43.公開 44.專門家 45.取材陣 46.撮影 47.面積 48.顔料 49.正確 50.木材 50.虹蜺, 虹霓 무지개 51.時急 52.責任 53. 懲戒.
▣ 다음 제시된 한자어의 동음이의어를 쓰시오(54~59).
54.虎口(호구) : ① 매우 위태한 경우나 지경 ② (바둑에서) 석 점의 같은 색의 돌로 둘러싸이고 한쪽만 트인 한점의 자리 ③ 어수룩 하여 이요하기 좋은 사람
가. ( 戶口 ) : 호수와 식구
나. ( 糊口, 餬口 ) : 간신히 끼니만 이으며 사느 일
다. ( 護具 ) : 몸을 보호하기 위해서 머리에 쓰거나 몸의 일부를 가리는 용구
라. ( 狐裘 ) : 여우가죽옷
55. 發展(발전) : ① 세력 따위가 성장하여 뻗어 나감 ② 어떤 상태가 보다 좋은 상태로 되어감 ③ 어떤 일이 낮은 단계에서 보다 높거나 복잡한 단계로 나아감.
( 發電 ) : 전기를 일으킴
56.指摘(지적) : ① (어떤 사물을) 꼭 집어서 가리킴 ② (허물 따위를) 들추어 가려냄
가. ( 地積 ) : 땅의 넓이
나. ( 地籍 ) : 땅에 관한 여러 사항을 적어 놓은 기록
다. ( 知的 ) : 지식이 있는, 지식에 관한
57. 殿堂(전당) : ① 神佛(신불)을 모시는 집. 殿宇(전우) ② 크고 화려한 집. 堂宇(당우) ③ (어떤 분야에서) 가장 권위있는 기관
가. ( 全當 ) : 全擔(전담)
나. ( 全黨 ) : 한 정당의 전체
다. ( 專當 ) : 全擔(전담)
라. ( 典當 ) : 물품(동산)을 담보로 하여 돈을 꾸어주거나 꾸어 쓰는 일
58. 實情(실정) ① 실제의 사정 ② 거짓 없는 참된 마음
가. ( 失政 ) : 정치를 잘못함, 잘못된 정치
나. ( 失貞 ) : 失節(실절). 절의를 굽힘, 정절을 자키지 못함
59. 支援(지원) : 뒷받침하거나 편들어 도움. 원조함.
가. ( 支院 ) : 지방법원이나 가정법원 등에 따로 분설된 하부기관
나. ( 至冤 ) : 지극원통(더없이 원통하고 억울함)의 준말
다. ( 至願 ) : 지극히 바람 또는 그러한 소원
라. ( 志願 ) : 뜻하여 바람. 바라서 원함
60. 崇禮門(숭례문, 남대문) 외 4대문을 쓰시오.
가. 興仁之門(흥인지문) : 동대문
나. 敦義門(돈의문) : 서대문
다. 肅靖門(숙정문) : 북대문
61. 장마에 해당하는 한자어를 쓰시오.
霖雨(임우). 霪雨(음우). 霪霖(음림). 霖霪(임음) : 여러날 동안 비가 계속해서 오는 일. 여러날 계속 내리는 궂은비.
62.龜裂(균열)
가. 龜趺(귀부) 거북 모양으로 만든 비석의 받침돌. 龜頭(귀두).
나. 龜旨歌(구지가) 원시 시가의 한가지. 駕洛國(가락국) 추장들이 龜旨峰(구지봉)에 모여서 金首露王(김수로왕)을 맞이 하기 위하여 불렀다는 노래. 迎神君歌(영신군가).
------------------------------------------------------------------------------
龜
귀 |
1. 거북 귀. 龜船(귀선). 歸勘(귀감). 龜頭(귀두). 龜占(귀점). 龜胸龜背(귀흉귀배) |
2. 거북껍데기 귀. 龜甲(귀갑). 龜卜(귀복). 龜玉(귀옥), 龜策(귀책). 龜板(귀판). 龜貝(귀패) |
3. 등골뼈 귀. 射糜麗龜(사미려귀). |
4. 패물 귀. 解龜在景平(해귀재경평). 龜幣(귀폐) |
구 |
5. 나라이름 구, 땅 이름 구. 龜玆(구자). 龜山(구산). 龜尾(구미). 龜城(구성). 龜浦(구포). 龜玆伎(구자기). 龜旨歌(구지가) |
균 |
6. 틀 균, 터질 균. 龜裂(균열). 龜手(균수). 龜坼(균탁) |
櫷 느티나무 귀(중국에는 없는 한국에서 만든 한자)
櫷木(귀목) 느티나무(의 재목). 柜木(거목)
柜
1. 느티나무 거
2. 낙수물통 거. 柜受溜水器(거수류수기) 낙수물통이 떨어지는 물방울을 그릇에 받는다.
欅 느티나무 거
欅樹山中處處有之(거수산중처처유지) 느티나무는 산속 곳곳에 있다.
鬮 구
제비구, 제비 규
拈鬮(점구) 採鬮(채구) 제비뽑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