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히브리어(HEBREW)알파벳
11. כ ך 카프 kaf | 10. י 요드 yod | 9. ט 테트 tet | | 8. ח 헤트 het | 7. ז 자인 zayin | 6. ו 바브 vav | 5. ה 헤 he | 4. ד 달렛 dalet | 3. ג 기멜 gimel | 2. ב 베트 bet | 1. א 알렙 aleph |
22. ת 타우 tav | 21-2. שׂ 신 sin | 21-1 שׁ 쉰 shin | 20. ר 레쉬 resh | 19. ק 코프 qof | 18. צ ץ 차데 tsade | 17. פ ף 페 pe,fe | 16. ע 아인 ayin | 15. ס 사멕 samek | 14. נ ן 눈 nun | 13. מ ם 멤 mem | 12. ל 라멧 lamed |

1. 히브리 민족의 언어: 구약성경은 아람어로 기록된 일부분(스 4:8-6:18; 7:12-26; 렘 10:11; 단 2:4-7:28)을 제외하고는 모두 히브리어로 기록되었다. 히브리어와 매우 유사한 셈 족 어군으로는 우가리트어, 베니게어, 모압어, 가나안 방언들이 있고, 아카드어, 아람어는 자매 언어이다.
고대 히브리어는 단문과 단순한 등위접속사로써 사건들을 생생하게 잘 표현할 수 있었다. 히브리어는 이런 특징들과 대구법, 리듬, 특별한 의미와 구조 등으로 이루어졌다. 이런 히브리어의 특징들은 특별히 시편과 선지서 등에서 잘 나타나는데, 대개 수사적이고 회화적인 묘사를 하는 데 안성맞춤이다. ‘유다 방언’(왕하 18:26, 28; 느 13:24), ‘가나안 방언’(사 19:18)으로도 불린다. 한편, 히브리어는 바벨론 포로 생활을 거치면서 아람어로 점차 대치되어 신약 당시 이스라엘 사람들은 대부분 아람어를 사용하였으며, 신약성경에 부분적으로 나타나는 히브리어는 실제로 아람어다. 아람어는 알파벳이나 문법 체계가 히브리어와 거의 비슷하여 이스라엘 사회에서 거부감 없이 받아들여졌다. 개역한글판에서는 ‘히브리 음’(계 9:11; 1 갈4:6) 등이다.
2. 아람어: 멜 깁슨의 영화 「패션 오브 크라이스트」 덕분에 사람들은 처음으로 아람어를 들어볼 수 있었다. 아람어는 예수와 제자들이 사용한 언어로, 당시 유대인들의 공용어였다. 원래 고대 시리아의 언어였는데, 점차 여러 지역에 퍼져 예수의 시대에는 히브리어를 제치고 대다수 유대인들이 사용하게 되었다. 두 언어는 닮은 점이 많다. (언어학자들은 두 언어의 차이가 대략 지금 에스파냐어와 이탈리아의 차이 정도라고 본다.) 예루살렘이 있는 유다 지역의 유대인들은 주로 히브리어를 썼으며, 예수와 제자들처럼 아람어를 쓰는 갈릴리 유대인을 경멸했다.
<1>히브리어(HEBREW)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고 읽는다.
<2>히브리어에는 홀소리(모음)가 없는데 네 개의 닿소리 (요드) י (바브)ו (헤)ה (알렙)א가 마치 홀소리처럼 쓰이기도 한다.
<3>히브리말 알파벹은 22자 인데 ש을 שׂ(신)과 שׁ (쉰)으로 나누어 구별해 23자로 보기도 한다.
비슷하게 생긴 자음들 : |
레쉬(ר), 달렛(ד) |
자인(ז), 바브(ו) |
차데(צ), 아인(ע) |
카프(כ), 베트(ב) |
타우(ת), 헤트(ח), 헤(ה) |
사멕(ס), 테트(ט), 멤(מ) |
비슷하게 소리나는 자음들 : |
v | ו (바브) | ב (베트) |
ch | כ (카프) | ח (헤트) |
t | ת (타우) | ט (테트) |
k | ק (코프) | כ (카프) |
s | שׂ (신) | ס (사멕) |
<4>알파벹 가운데 차데/페/눈/멤/카프 (기본형) כ מ נ פ צ 들은 끝에 올 때 (꼬리형) ך ם ן ף ץ 꼴로 바꿔서 적는다.
기본형 | 꼬리형 |
כ(카프) | ך |
מ(멤) | ם |
נ(눈) | ן |
פ(페) | ף |
צ(차데) | ץ |
<5> ב(베트), ג(기멜), ד(달렛), כ(카프), פ(페), ת(타우)의 여섯 글자들을 '브가드크파트' 라고 하는데 점(다게쉬)이 있으면 뚜렷하게, 없으면 흐릿하게 소리를 낸다. 단어 첫 머리에 오거나 음절 첫 머리에 올 때 항상 점을 가지게 된다.
※이를 경음점(Daghes Lene)이라고 하는데 마찰음을 내는 글자들의 발음을 부드럽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연한 소리 | 강한 소리 |
ב(베트,v) | ב(b) |
ג(기멜,gh) | גּ(g) |
ד(달렛,th) | דּ(d) |
כ(카프,ch) | כּ (k) |
פ(페,f) | פ(p) |
ת(타우,th) | ת(t) |
ב (ㅂ 소리, 영어 best, boy의 b), ב( v 소리로 영어 vest, vine의 v),
גּ (ㄱ 소리, 영어 God, give의 g), ג (ㄱ보다 약한 소리로 gh (현대 히브리어는 구별하지 않는다.)
דּ (ㄷ 소리, 영어 day의 d), ד (ㄷ보다 약한 소리(dh)로 영어 father의 th (현대 히브리어는 구별하지 않는다.)
כּ (ㅋ 소리, 영어 key, king의 k) , כ( ㅋ보다 약하지만 ㅎ보다는 강한 독일어 ch에 가깝다. 강한 숨소리를 동반하는 ㅎ 소리)
פּ (ㅍ 소리, 영어 pastor, pay의 p), פ (ㆄ 소리로 영어 alphabet의 ph, face의 f ),
ת (ㅌ 소리, 영어 try, toy의 t), ת( ㅼ 소리로 영어 thin의 th (현대 히브리어는 구별하지 않는다.)
<6> ו는 ㅸ 소리로 독일어의 w, 영어의 v.영어의 W[더블 유] 가 아닌 독일어의 W[ㅸㅔ]
<7> ז은 ㅿ 소리로 영어의 z 소리ㅈ보다 훨씬 부드럽게 전기가 흐르는 소리 [지지직]이나 손전화 진동소리 [징~~]를 생각하면 될 것이다.
<8> ח는 우리말의 ㆅ, 독일어의 ch.ㅎ보다 쎄게, 목 안쪽에서 거칠게 내는 소리로 가래 뱉을 때 내는 소리나 손 시릴 때 입김 부는 소리를 생각하면 된다.
<9> ט는 ח가 ㅎ+ㅎ이라면 ט는 ㅌ+ㅌ이라고 볼 수 있다. 일종의 된소리로 구분해서 나는 ㄸ으로 소리낸다. 왜냐하면 낱말을 외울 때 ת와 헷갈리지 않기 위해서다. 현대 히브리어에서는 ㅌ소리와 구별하지 않고 똑같이 내는 경향이 있다.
<10> ס는 원래 שׂ과 소리가 달랐지만 나중에는 그렇지 않고 서로 섞어 쓰기도 했다. 이것도 일종의 된소리로서 ס와 שׂ의 관계를 ט와 ת의 관계로 생각하면 된다. ㅆ 로 소리 내면 된다.
<11> ע은 א와 마찬가지로 자체 소리는 없다. 둘 다 히브리 사람이 아닌 다음에야 구별하기 힘든 소리다. 실제로도 아랍계 랍비가 아니면 소리내기 어려워 묵음화하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아랍계통 언어에서는 이 두 발음의 구분이 확실하다고 한다. ע은 좀 더 목 뒤쪽에서 내는 강한 ㅇ소리, ㅇ와 구별하기 위해 되도록 ㆆ로 표기하겠다.
<12> צ도 일종의 된소리로 영어 boots의 ts. 짜디는 현대 히브리어 이름, 고대 히브리어 이름은 짜데이(또는 짜데).ㅉ로 소리 낸다. 영어식으로는 ㅊ소리가 나겠지만 ㅉ소리를 못 내기 때문에 그런 것이다. 히브리 알파벳이라고 녹음된 소리파일에도 간혹 ㅊ로 소리낼 때가 있는데 미국계 히브리인이 ㅉ 발음을 못 하기 때문에 ㅊ로 소리내서 녹음한 것이다.
<13> ק도 일종의 된소리다. 영어로는 q인데 כ보다 강하고 목 안쪽에서 나는 두꺼운 소리다.이걸 k소리랑 똑같이 내는게 보통이지만 난 구별되게 ㄲ으로 소리낸다. 그 편이 단어 외울 때 상당히 유리하기 때문이다.
<14> ר는 원래 목구멍 소리(후음)는 아니다. 그러나 히브리 사람들은 후음처럼 목구멍에서 나오는 소리를 같이 낸다.그래서 목구멍 소리와 같은 성질을 가진다. 축구선수 Ronaldo를 호날두로 읽는 것과 같은 원리다.
<15> שׁ은 슈로 소리낸다. 영어 ship의 sh소리샤 / 슈ㅣ / 슈 / 슈ㅔ / 쇼 낱말 끝에 오는 שׁ은 슈(쉬)로 소리나고, 낱말 끝에 오는 שׂ은 스로 소리난다.
<16> 낱말 끝에 오는 ה는 소리내지 않지만, 점(다게쉬)이 찍힌 הּ는 '흐'로 소리 낸다.
※ 이 때 찍는 다게쉬를 마픽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