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고대의 인도 1) 인도 문명의 탄생 2) 인도의 전설 3) 베다문명과 브라마니즘 2. 힌두이즘과 요가 1) 힌두이즘의 변천과정 2) 요가철학과 힌두이즘 3. 요가의 중심 사상 1) 우파니샤드 사상 2) 인생의 네가지 목적 3) 인생의 4 주기
1. 고대의 인도
1) 인도 문명의 탄생
인류 문명의 4대 발상지로 유프라테스와 티그리스강 사이의 메소포타미아, 인도의 인더스강과 간지스강 유역, 에집트의 나일강 유역, 중국의 황하 유역을 꼽고 있다. 이들 유역에서 출토된 유적들에서 나타나는 공통적인 흔적들은 그림이나 문자. 생활물품과 주거지. 통치자의 유적. 무덤과 사원 등 신앙적 유적 등 다양하다. 인도 문명의유적은 BC 3000년 경 것으로 인더스강 하류 부근에서 계획도시 형태로 대량으로 발견되어 세계를 흔분시킨 적이 있다. 현재 파키스탄의 모헨조다로. 하라파. 쿠에타. 암리. 날. 쿨리. 조브. 주카르 등지와 이외의 지역에서도 고고학적 문화탐구 작업은 계속되고 있다. 인도문명이 다른 지역과 크게 다른 점은 신앙과 사상의 풍요성에서 찾을 수가 있으며 특히 인도문화의 원류라는 힌두이즘과 요가는 인간 생명과 신앙의 본질을 우주에서 찾으려는 노력이라는 점에서 인도문화의 풍요성을 뒷받침하여 준다.
2) 인도의 전설 인도 고대문화는 신화의 풍요로움에서 그 특징이 나타나고 있으며 신화가 그 나라 사람들의 꿈과 삶의 표현이라는 점에서 인도 문화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인도의 신화는 리그베다에 나오는 신만 33명이 되는데 그 대상은 자연신으로 자연 현상을 신격화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신이 탄생, 성장, 쇠퇴, 사멸하는 운명을 지닌다는 점에서 교체신이다.
신화의 특징 - 유일한 절대 권력자가 없고, 다원적이고 서로 견제하고 균형 관계 유지. 일사분란하지 못하고, 요동치고, 변화한다. 생성-유지-쇠퇴-소멸 우주와 자연계에 법칙이 존재하고 신들도 법측을 따름. 우주의 설계자 - 다트라 명령자 - 비다트리 창조주 - 비슈느, 카르만 창조주 아버지 - 프라자파티 우주법칙 유지, 정의의 신 - 바루나 추상적인 신 - 믿음(슈라다신) 노여움(만유) 요가의 신 - 시바 (코끼리. 호랑이. 코뿔소. 물소에 둘러 싸여 요가 수행 자세, 인장) 비슈느 (요가를 처음 전파하였다는 전설) 어머니 신 (18개의 팔, 힘과 정력) 인류 창조의 신화 - 아트만 - 혼자 무섭고 외로워 자신을 둘로 나눔. 마누 - 브라흐마로부터 스스로 태어나 남, 여 양성 으로 분리.
3) 베다 문명과 브라흐마니즘
veda 문헌으로 인도의 역사, 문화를 이해 베다 문명은 BC 2000 아리아인 침공(철제 무기와 기마병) 선주민과 아리아인이 융합. 창조한 문화
베다 문헌(신의 계시에 의하여 쓰여졌다고 함)
리그(Rig)베다 - 신들에 대한 찬가- 제사에 나타나도록 청하는 승려 노래 10권 2028 노래로 구성. 사마(Sama)베다 - 리그베다 찬가 중 선율을 부친 노래 모음. 야주르(Yajur)베다 - 희생제 의식 내용. 아타르바(Atharva) - 주문과 마법 내용. . . 우파니샤드 - 철학적 사상, 인간의 궁극적 목적인 해탈과 깨달음
브라흐마니즘 - 정통사상- 제식주의. 카스트. 희생제 비정통(슈라마니즘)- 카르마. 윤회- 자기노력 해탈 (불교, 자이나교) 브라흐마 신이 카스트를 창조함 운명적으로 태어남(업, 카르마) 자신의 머리 - 브라흐만(사제계급) 가슴 - 크샤트라(무사계급) 배 - 바이샤(상인계급) 다리 - 수드라
2. 힌두이즘과 요가
1) 힌두이즘의 변천 과정
힌두이즘은 넓게 인도인의 문화 전체를 의미하며, 좁게는 인도인이 믿는 종교와 사상을 뜻함.
힌두교의 특징 - 자연 현상을 신격화 (물. 불. 바람. 나무 등) 신과 인간의 교류 생물. 우주만물의 신성화 다양성, 포용성 다신. 교체신. 윤회의 고통을 벗어나 해탈함이 인생의 목적.
선주민들의 토속 사상을 아리아인들이 브라마니즘에 융화시켰으며 카스트제도나 윤회사상이 브라만의 사회적 통제에 적합함. 불교와 자이나교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브라마니즘의 위기의식에서 전통 적인 각 지방의 신앙이나 불교 및 자이나교의 교리도 허용하여 시대에 적응하는 포용성을 갖는 힌두이즘으로 변천
3) 요가의 기원과 힌두이즘
요가 기원의 정설은 아직 없음 비슈느 전파. 시바의 요가 수행으로 추측 가능. 성적 에너지 강화, 쾌락의 절제. 인생의 고통을 벗어나기 위한 해탈의 길을 찾기 위한 방법. 힌두이즘의 중심사상이 해탈이며, 요가는 해탈을 이르기 위한 수행 방법. 요가를 수행하면 해탈에 이를 수 있고 해탈은 우주의 영원한 생명으로 귀의.
3. 요가의 중심 사상
요가의 중심사상은 인생관으로 요약된다. 요가 수행을 통하여 삶의 진리를 깨닫고 실천하며 현세의 고통에서 벗어나 해탈의 경지에 도달하여 우주의 영원한 생명을 얻을 수 있다.
1)우파니샤드 사상 베다 문헌의 우파니샤드는 철학적 지식에 속하는 것으로 200여종에 이른다. 우파니샤드의 공헌은 우주의 본질인 브라흐만과 인간의 본질인 아트만이 동질이라고 주장하여 인간을 신의 지위까지 끌어 올렸다. 인간은 지속적인 요가수행을 통한 해탈에 의해 아트만을 실현하여 윤회에서 벗어나 고통으로부터 완전히 해방될 수 있다는 사상
2) 인생의 네 가지 목적 욕망의 길 - ① 까마 - 감각적 쾌락과 성적 향락(기본적 도덕률 속에서) ② 아르타 - 부와 권력을 추구함, 사회적 성공.
버림의 길 - ③ 다르마 - 도덕률의 실천. 진실. 정직. 성실. 의리. 자비. (구원의 길) 사랑. 협조. ④ 목샤 - 해탈의 길. 모든 인간적 고통으로부터 해방되어 완전한 자유와 완전성을 얻음.
3) 인생의 4 주기 (베다 문명의 인생관) 학생기 - 스승에게 베다를 학습 (20세 까지) 가주기 - 가정을 갖고, 자녀를 낳고, 제사를 지내고 사회적 활동을 한다. 임주기 - 집을 떠나 숲에서 은거하면서, 세속을 버린 수행으로 고통속에서 자비와 나눔의 청정한 마음을 닦는다. 편력기 - 세상의 모든 집착과 미련을 끊고 성지를 편력하며 신앙생활 속에서 해탈을 준비하는 시기
참 고 문 헌
문을식, 인도의 사상과 문화, 여래, 2001. 김형준, 인도사, 청아, 1998. Stsnley Wolpert, 이창식. 신형승 옮김, India, 가람, 2001. 정태혁 역해, 요가 우파니샤드, 정신세계사, 2003. 이정훈외 3인, 요가총론, 길,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