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합격자 여러분 축하드립니다.
특히나 NESO에서 많은 합격자가 나와서 기쁩니다.
합격 이후 하실 일들이 많을 것입니다.
몇가지 요약했습니다. 참고하세요.
여기에 나와있지 않은 많은 정보가 행안부 국외훈련센터의 훈련경험담에 있으니 참고하세요.
--------------------------------------<합격 후 할 일>------------------------------------------------------------
<출국 전>
o 훈련기관 섭외
- 합격 후 제일 먼저 할 일은 '기관(또는 학교) 섭외'하여 초청장을 받아야 함.
훈련기관이 정해져야 거주 지역이 정해지고 자녀 국제학교나 집을 구할 수 있음.
- 행정안전부 파견자 교육이전이라도 기관 섭외를 빨리 시작하는 게 좋음. 기관섭외가 생각보다 오래 걸리기때문에 빨리 시작하는 게 좋음.
전년도 국외훈련 안내책자를 구해서(부내 국외훈련 담당자 소지) 참고하고 기존에 파견자들 기관섭외 편지나 준비서류를 참고하면 도움이 됨.
안내 책자에 기관섭외와 관련하여 applicaition letter 및 invitation letter(초청장)에 명시될 내용 등이 예제와 더불어 자세히 나와있음.
- 특히 직무훈련인 경우는 현지 연구소에서 답을 안하는 경우가 허다하고, 답장을 받더라도 접수되었다는 정도의 기계적인 답변이고
그 이후의 진행이 안되는 경우가 많거나 거절되는 경우가 많음.
또 전문연구원을 찾는 경우가 많아 전공자나 경력자를 찾는다거나 신청 조건이 까다롭거나 그렇지 않으면 훈련비(bench fee)를 많이 요구하여
전문연구원도 아니고 기관훈련비도 연간 9천불로 제한되어 있는 행정부 공무원의 특성상 기관섭외가 쉽지는 않음.
대개 경력을 갖춘 전문연구원이 와서 연구에 기여하기를 원하고 그렇지 않으면 훈련을 시켜야 한다는 명목으로 훈련비를 많이 요구하는데
연 9천불을 훨씬 초과하는 액수임. 1인당 국민소득 4만불이상인 선진국에서는 연 9천불은 우리나라의 연 5백만원에 해당한다 추정해볼 수 있음.
- 직무훈련인 경우 현재까지는 행안부에서 대학부설연구소는 불인정하기때문에 반드시 독립연구소를 알아봐야 함.
대학연구소보다 숫적으로도 훨씬 소수인 독립연구소 섭외가 어려워 파견자들이 많은 애로를 토로해왔기때문에 앞으로 규정이 변경될 가능성도 있다고 하니
당해년도 규정을 꼭 행안부에 문의해보기 바람.
2012년도에는 과장급은 대학부설연구소가 허용되었으나, 5급 이하는 현재까지 불허하고 있음.
- 일면식도 없고 전문성도 없는 외국 공무원을 받아보지 않은 전문연구소인 경우는 특히 객원연구원으로 초빙하는 것이 쉽지는 않음.
따라서 지인을 통해서 추천을 받거나 도움을 받는 것이 가장 현실적이고 최선의 방법임.
네덜란드 대사관(한국직원)에 해당분야와 관련있는 국내 인사나 현지에 계신 인사를 소개받아서 도움을 요청함.
본인의 경우도 다수의 기관과 진행이 안되었으나 지인의 추천으로 급진전되었음.
- 통상 출국 3개월전까지는 기관에서 초정장을 받아야 그 이후 비자신청, 애들국제학교 신청, 집구하기 등이 가능함.
- 학위과정은 네덜란드 대학의 경우 거의 모든 대학이 영어 성적을 요구하기때문에 영어성적 확보가 우선되어야 함. 유럽은 대개 6개월 전에 입학신청을 해야한다고 함.
o 항공권 예약
- 가급적 빨리 항공권을 예약하고 변경 가능, 단 출국일이 촉박해서는 변경 불가
- 대한항공(751-7813 양윤정 과장)
gtr.kalmate.com->신규예약->서울->행정안전부->예약 노->여행정보 입력
* 인천 -> 암스텔담 직항(KE925) : 화, 목, 일
* 수하물 : 일반은 1인당 23kg 1개이나 GTR은 1인당 32kg 1개(3면합 158cm내)에다 특별히 사정하여 23kg 2개 보너스 추가
* 휴대품 : 1인당 12kg(3면합 115cm내, 개수 무제한)
- 아시아나(2100-4712 김종철 과장) : gtr.flyasiana.com->예약요청->행정안전부->예약 노->여행정보 입력
* 직항 없음. 매일 인천 -> 경유 -> 암스텔담
* 수하물 40kg/인, 경유시 추가 20kg은 무비용 보장 못함
o 비자 신청
- 훈련기관에서 비자(MVV)승인 신청을 해주는 경우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으니, 문의해보고 진행한다.
- 비자는 2개월이 소요되니 출국일정을 감안해서 초청장이 나오면 바로 비자신청을 한다.
- 기관에서 비자신청시 필요한 서류를 요구하므로 이에 따라 준비하면 됨.
- 준비서류는 본인(기본증명서, 가족관계증명서, 혼인증명서), 부인(기본증명서, 가족관계증명서), 자녀(기본증명서)를 동사무소에서 발급받아 영문번역(인터넷 샘플보고 직접 번역)후
법률사무소에서 공증받아서 외교부에서 아포스티유를 받아서 스캔하여 보내고 원본은 현지 도착후 훈련기관에 제출
각 1부를 추가로 준비하여 시청 거주등록시 제출(등록승인후 원본은 돌려받음)
- 절차는 기관에서 이민국(IND)에 비자승인 신청 --> IND에서 비자승인이 나면 훈련기관과 주한네덜란드대사관에 통보 --> 훈련기관과 주한네덜란드대사관에서 본인에게
비자신청하라고 알려옴 --> 주한네덜란드대사관에서 직접 방문하여 비자발급 신청 및 1주일내 발급, 방문 수령
- 한국에서 비자를 받고 가면 현지 도착이후 거주등록 및 체류허가 승인기간이 단축되며 첨부서류 미비시 한국에서 보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그러나 비자승인이 난 후 비자를 받지 않고 나가면 네덜란드에서 입국이 거부되는 점을 주의해야 함. 출국일이 촉박하면 곤란해짐.
본인의 경우는 연구소에서 비자신청을 해주어서 한국에서 6개월짜리 MVV를 받고 갔음. 이때 가족 모두 승인신청하였으나 본인 비자승인만 나와서 발급받음.
- 우리나라는 네덜란드와 협정에 따라서 무비자 3개월 체류가 가능하므로 비자없이 출국하여 현지에서 거주등록 및 체류허가 신청을 해도 됨.
다만 서류를 다 갖춰와야 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한국에 가족에게 부탁하여 서류를 받아야 하고 본인이 직접 IND(이민국)에 체류허가(residence permit)를 신청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음.
※ 참고사항
- 1970.6.1부로 발효된 사증면제 협정에 따라 네덜란드에 3개월 미만의 기간동안 체류하고자 하는 대한민국 국민은
주재국에 무비자로 입국 및 체류가 가능함.
- 또한, 2007.6.1부터 네덜란드 정부가 3개월 이상 네덜란드에 체류하고자 하는 대한민국 국민에 대한 임시체류허가
(MVV : Machtinging Voorlopig Verblijf, 통칭 長期 Visa) 면제를 시행함에 따라, 우리 국민이 학업, 근로 및 가족동반 등의
목적으로 주재국에 3개월 이상 체류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90일 이하 체류 예정자와 같이 무비자(임시 체류 허가 불요)로
주재국에 입국하여 체류할 수 있게 됨.
단, 90일 이상 장기 체류 예정자는 주재국 입국직후 종전대로 주재국 이민국(IND)에 체류허가(Residence permit)를
신청하여야 함.
- 주한네덜란드대사관 비자 담당직원 류현희(02-311-8600, seo-ca@minbuza.nl)
- 비자발급신청 준비물
* 여권, 여권용 증명사진 1장
* 번역공증 및 아포스티유 받은 서류 : 기본증명서, 가족관계증명서, 혼인관계증명서
o 자녀 국제학교 등록
- 자녀가 있는 경우, 훈련기관이 정해지면 바로 자녀 국제학교를 알아본다. 물론 훈련기관은 자녀 국제학교가 있는 곳을 감안해서 정했을 경우이다.
- http://www.sio.nl에서 네덜란드 전체 국제학교 검색 가능, 주요 도시에는 국제학교가 있음.
- 대도시인 경우에는 국제학교가 독립적인 건물로 있으나, 중도시인 경우에는 일반학교 부설로 되어 있음. 아른헴의 경우가 그런 경우로서 국제학교 전교생이 150명 정도임.
- 또한 대도시는 입학 대기자가 많아서 6개월 이상 대기하는 경우도 있다고 하나 중도시인 경우 바로 입학 가능함.
- 대기가 걸릴 수도 있으니 가급적 빨리 학교 싸이트에 있는 이메일로 입학 신청을 한다.
o 집 구하기
- 거주지역이 정해지면 인터넷 부동산 사이트를 통해서 아이들 국제학교 근처로 해서 미리 집을 알아본다.
- EHR(www.ehr.nl) --> 영어로도 서비스되며, 외국인 상대 영업, furnished 집이 꽤 있으며 메일 답장 신속한 편이며, 인터넷으로 최종계약 가능함.
가급적 furnished 집을 권함. 그렇지 않은 경우 현지에서 가구 등 구비하는데 많은 고생이 따름. 인터넷에 게재되어 있지 않은 내외부 사진이 필요한 경우 요구하면 보내줌.
통상 중개수수료는 한달치 월세(연간 집세의 1/12)이나 EHR은 연간 집세의 1/10을 받으며 이것은 타협이 안됨.
또 보증금은 대개 한달치 월세이나 furnished인 경우 2개월치 월세를 요구함. 본인의 경우는 다른 사이트에서는 모두 1개월치 보증금을 받는다고 설명하고 협상을 통해
1개월치 월세로 하였음. 보증금은 나갈 때 돌려 받는 돈이나, 이래 저래 집의 손상을 핑계로 돌려주지 않는 경우가 허다하다고 하니 가급적 낮게 주는 것이 좋음.
어떤 이의 경우에는 가구에 난 스크래치당 100유로를 공제당했다고 함. 그렇지 않으려면 입주시 사진을 다 찍어서 나중에 증빙을 해야 함.
집은 시간을 두고 계약 협상을 해야 하며 시간이 촉박하게 집을 구하는 경우 중개인이나 상대방은 그것을 알고 협상이 되지 않음.
다른 선택이 가능하다는 것, 즉, 계약을 포기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지시켜야 협상이 가능함.
물론 구두 계약도 유효하다고 하나 이것을 신의의 원칙에 입각한 것을 말하며 협상과정에서 요구사항이 충족되지 않아 상대방도 인지한 상태에서 최종계약을 하지 않은 경우는
문제 없음. 물론 최종서명한 계약체결 후에는 번복 불가능하며 계약하겠다고 하고서 최종 계약을 하지 않은 경우 이 법적 문제로 갈 수 있으니 정당상 사유가 되는 이메일 등
증빙을 잘 보관해야함.
중개인이나 집주인도 보통 깎을 것을 대비하여 가격을 게시한다고 하니 100유로 정도는 깎을 목표로 하고 일단 200유로를 깎아달라고 요구함.
해당 사이트는 모든 도시의 매물을 취급하는 것은 아님. 본인의 이 사이트를 이용하였으며, 미리 몇개의 후보를 봐두었다가 출국 2개월에 후보들을 현지에 계신 분께
부탁하여 직접 방문한 최종 후보를 결정하고 협상을 시작하였으며 이 과정은 한달이상 걸렸으며 이 과정에서 다른 사이트를 비교 검색하여 이를 적절히 활영하여 최종적으로 100유로를 깎음.
유럽의 경제위기로 네덜란드도 부동산 시장 가격이 약세인 것 같음.
- Rots-vast(www.rotsvast.nl) --> 우선 홈페이지 회원등록비(1년치 40유로)를 내야 알선, 여기로 메일을 보내보시면 아마 소개를 해주기 전에
먼저 등록부터 하라고 할 것이며, 이 사이트에서 메일을 보내면 됨.
- www.funda.nl --> 매물은 많으나 네덜란드어로만 서비스, 이메일 답변도 없거나 매우 늦음. 현지인 상대 사이트인 것 같음. 특히 furnished(=gemuebileerd) 매물이 적음.
- 모든 행정신청은 거주지가 있어야 하며, 만약 집을 구하지 못한 경우는 훈련기관에 문의하여 훈련기관을 주소로 하여 거주등록을 할 수도 있음.
o 해외송금 계좌 개설
- 파견명령 공문을 들고 은행에 가서 기존 통장에 해외송금 기능 개설, 사람당 1개만 개설 가능
- 해외송금 한도 설정
- 체크카드가 없으면 발급받는다. 잔고가 있을 때만 결제되므로 신용카드 보다 안전
- 현금은 2,000유로 정도 가지고 가서 초기 정착에 쓰고 이후 현금인출기 등을 파악하여 현지에서 찾아 쓰면 됨.
o 기타
- 짐(큰 짐 6개, 작은 짐 12개)이 많은 관계로 인천공항으로 이동시 콜밴 이용(이름 : 편리한 콜밴, 연락처 : 1566-6273, 010-9255-3199, 광명->인천, 카니발 6만5천원)
<출국 후>
o 암스테르담(스키폴)공항에서 임시 숙소로 이동
- 대한항공 암스테르담 직항이 12:30에 출발하여 현지시간 17:50에 도착, 구해 놓은 집이 체크인이 안되어 임시 숙소로 이동
* http://www.schiphol.nl/index_en.html에서 예약, http://www.schipholtraveltaxi.nl에서 위치 검색, 비용 : 스키폴->아른헴(175 EURO)
- 유스호스텔 해외예약 사이트(www.hihostel.com)에서 예약
* 다른 임시 숙소 : Brinkhouse hotel wageningen(http://www.hofvanwageningen.nl, E : info@hofvanwageningen.nl)
o 시청 거주등록(GBA)
- 도착 후 바로 관할 시청을 방문하여 거주등록 신청함. 오전(9:00~12:00)에는 예약없이 방문하여 reception desk에 가서 GBA신청하러 왔다고 말하면 해당 데스크를 안내해줌.
그냥 대기번호표를 뽑고 기다리면 내국인 코너로 가게되어 낭패를 당하니 주의. 내국인, 외국인 데스크 구분되어 있음.
* 도착 후 인터넷을 사용하지 못하므로 국내에서 현지 시청 위치를 구글에서 파악(인쇄)하고 시청 홈피에서 전화번호를 알아가면 도움이 됨.
훈련기관에서 인터넷을 사용하여 할 수도 있음.
- 거주등록신청 접수증을 받아서 체류허가신청 첨부서류로 제출함.
* 거주등록은 지역 및 계절에 따라 다르나 최소 4주 이상 소요(휴가철은 더 소요)
- 아는 분은 비자를 일찍 받아서 훈련기관에서 훈련기관을 주소로 하여 훈련기관 관할 시청에 거주등록을 해주었고, 도착하자마자 거주등록을 되어 BSN(주민번호)를 받아 계좌를 만들 수 있었음.
이후 집 주소로 이전하였음. 이 경우 현지 정착이 매우 빠르게 진행됨.
* 전반적으로 모든 행정은 상상을 초월하게 느림.
o 이민국(IND)에 체류허가(residence permit) 신청
- 본인의 경우는 거주등록신청 접수증을 받아서 훈련기관에 제출, 훈련기관에서 이민국에 체류허가 신청을 대행해줌.
* 이민국에 체류허가 상황을 문의할 수는 있으나 예의바르게 해야함. 이민국은 특히 관료적이어서 잘못하면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고 함.
o 계좌개설
- BSN이 있어야 개설 가능, 거주등록후 개설
* BSN이 없으면 지로로 내야 하는데 건당 수수료 8유로로 매우 비쌈.
* 계좌가 있어야 동네 슈퍼 등 작은 가게에서 결제 가능, 신용카드는 호텔, 역, 큰 매장 등에서만 사용 가능
단, 현지 계좌가 없어도 국내 신용(체크)카드로 곳곳에 있는 은행 현금인출기에서 현금을 인출하여 사용 가능하므로 현금을 많이 가져갈 필요는 없음.
o 대중교통 정보
- www.google.com --> 맵상에서 노선 및 시간 제공
- 9292.nl/en --> 버스 노선 및 시간 정확
- ns.nl/en/travellers/home --> 기차 정보
* 거주등록 전이라도 기차역이나, 대형슈퍼에서 익명의 OVchipkaart를 구매하면 거리에 비례하여 요금 지불 가능, 현금으로 내면 무지 비쌈.
거주등록 후에는 본인 명의 교통카드(OVchipkaart) 구매
o 어학원
- 네덜란드 전체 네덜란드어 어학코스가 있는 대학 목록
http://www.nuffic.nl/international-students/study-options/study-programmes-in-dutch/dutch-language-courses-for-international-students
- Volksuniversiteit
http://www5.volksuniversiteit.nl/
- Elycio Talen
administratie@elyciotalen.nl
o 기타
- 이외 필요한 정보는 국외훈련사이트 참조
------------------------------------------------------------------------------------
|
첫댓글 감사합니다. 항상 건강하고 좋은 날 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