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부터 '감사합니다'가 더 격식을 갖춘 말이어서 윗사람한텐 '고맙습니다'보다 '감사합니다'를 써야 한다는 억측이 있었는데 이 둘은 높임의 차이가 없습니다. 아마도 한자어가 더 격식적인 말이 아닐까 하는 데서 이끌린 착각 하나와 '감사하다'에 비해 '고맙다'가 '고맙습니다' 말고도 '고마워', '고마워요' 등 낮은 등급에 고루 쓰여서 그런 것 같지만 어느 걸 쓰는 게 더 나은지를 굳이 따지자면 차라리 고유어인 '고맙습니다'를 더 쓰는 게 낫습니다. 아래에 국립국어원의 글을 옮깁니다.
질문)
언젠가 어느 TV 프로그램에서 "감사합니다" 보다는 "고맙습니다" 가 더 좋은 표현 이라고 하는걸 본적이 있는데요...맞는 말인가요? 맞다면 왜 그런가요?
국어원 답변)
특별히 어떤 인사말이 더 좋은 표현이라는 규정은 없습니다. 고맙습니다가 더 좋다는 방송 내용을 보셨다면 아마도 이 말이 고유어이기 때문에 그런 말을 한 것 같습니다. 이왕이면 고유어를 쓰는 것이 더 좋겠죠.
질문)
한국에는 이러한 감사표현안에 [고맙습니다]와 [감사합니다]의 두가지 표현이 있는데, 이 두 가지 표현의 차이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일반적으로[고맙습니다]는 순수 우리말이고, [감사합니다]는 한자어로 알고 있는데 , 이 두가지 표현중에서 어느것이 더 정중한 표현인지 궁금합니다
답변)
'감사합니다'와 '고맙습니다' 사이에는 높임의 차이가 없습니다. 상대의 배려에 대해 인사말로 어느 표현을 써도 괜찮습니다.
질문)
감사합니다가 일본식 한자가 아닌지요?
답변)
‘감사(感謝)’는 중국어에서도 쓰이고 있고, 비록 17세기의 원본이 전하지는 않지만 우암 송시열 선생의 ‘계녀서’에도 등장하므로 일본에서 만들어진 말이라는 것은 좀 더 확인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감사’는 이미 우리말에서 확고한 위치를 가지고 널리 사용되고 있으므로 우리말로 간주하여도 별다른 문제가 없다고 판단됩니다.
‘감사하다’는 동사로서 주로 ‘~에게 ~을 감사하다’ 혹은 ‘~에 감사하다’, ‘~에 대하여 감사하다’ 등의 구문으로 사용됩니다. 그러나 ‘감사하다’는 ‘고마운 마음이 있다’ 정도의 의미를 지니는 형용사로도 사용됩니다. 따라서 동사로 사용된 ‘감사하다’는 ‘고맙다’로 단순히 바꾸기 어렵지만 형용사로 사용된 ‘감사하다’는 ‘고맙다’로 바꿀 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형용사 ‘고맙다’를 ‘고마움을 표하다/표시하다’와 같이 동사적 표현으로 바꾸면 동사 ‘감사하다’를 대신할 수도 있습니다.
결국 ‘고맙다’와 ‘감사하다’ 가운데 어떤 것을 쓰는 것이 좋을지는 문맥이나 상황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문제라고 하겠습니다.
첫댓글 방송에서나 일상에서 '감사드리다'라는 표현도 종종 쓰는데 이것도 잘못된 표현이라고 하더군요...^^
글쎄요? 저도 '감사드리다', '축하드리다'가 잘못된 표현으로 알고 있다가 언젠가 박선배께 질문을 했는데 아니라는 답변을 받은 것 같은 기억(현재 치매 3기 정도 와 있거든요.)이 납니다. 이번 기회에 여기에서 이야기하면 주인장께서 명쾌한 답변을 해주시리라 믿고 또 한번 시비를 걸어봅니다. 아울러 '전화올리다'까지 해서 무정명사에 존경보조어간('드리-'가 존경보조어간 맞습니까?)을 사용할 수 있습니까? (맞든 틀리든 궁금한 것은 일단 물어봐야지.)
올리다 §「2」윗사람에게 공손하게 말, 인사, 절 따위를 하다. ¶어서 숙부님께 절을 올려라./아버지는 슬픔을 겨우 참아 내며 엄숙한 자세로 할아버지 영정에 절을 올렸다./제자들이 새해 초에는 퇴임하신 선생님께 인사를 올리러 가기로 하였다. '올리다'가 접미사가 아니니 '전화 올리다'는 한 단어로 쓸 수도 없고 '전화하다'의 존칭으로 부적절해 보입니다. 표준화법에 제시된 말도 아니고요.
나도 본거 같아요. 감사드리다는 올바르지 못한 표현이라고.. 감사합니다. 축하합니다. 고맙습니다.. 이 표현이 맞는다고.. 전화는 그냥 하다가 낫겠네요. ..^^ 인사드려라..^^ 에궁 정말 어렵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