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 |
날짜 |
강 의 및 강 사 |
비고 |
1 주 차 |
월 일 |
괴산군의 지속 가능한 생태문화·역사·지리자원의 활성화 방안 및 괴산군의 생태농업 관광자원개발 방향과 랜드마크화 전략(임 각수 괴산군 군수님 특별초청 특강) |
개강특강 |
월 일 |
입 학 식 오리엔테이션 및 향후 일정 소개(괴산 유기농 예술원) |
귀농 교육 | |
2 주 차
|
월 일 |
즐기는 문화·농업의 실현과 ‘메디치 효과’ 더하기의 아방가르드 전략(국립 농산물 품질관리원장 하 영호 농경제학 박사<조지아 주립대학교>) |
실전이론
|
월 일 |
한국·자생 버섯재배학 개론 및 경제적 가치창출 방안(장 현유 교수<한국농수산 대학교 특용작물(버섯)학과>) | ||
월 일 |
버섯 종균접종 방법 및 재배 관리법(도봉동소재 버섯아카데미 장바울 박사 & 목사님, 서이석 원장 외 2인 실전강사) |
현장 실습1 | |
3 주 차 |
월 일 |
안티-에이징 기능성 작물재배단지 개발 및 식물공장의 바람 영향(건국대학교 최 무웅 명예교수) - 땅물빛바람연구소 소장 |
실전이론 |
월 일 |
괴산군의 Farm투어와 생태농업 관광자원개발 프로젝트화 사례 및 개발·발전방안<스토리텔링 등>(괴산군 및 괴산농업기술센터 추천강사) | ||
4 주차 |
월 일 |
'물질순환 및 에너지자립의 생태마을 만들기'와 관광 상품화 전략(가톨릭대학교 생명환경공학부 김 영준 교수<유기성 자원학회 회장>) |
실전이론 |
월 일 |
캡스톤디자인-인공지능-정밀농법 실현과 퍼지활용의 관광·농자원·상품화 개발 방안(상지대학교 컴퓨터정보공학부 홍 유식 교수) | ||
월 일 |
상수허브랜드 및 청원·괴산도레미버섯공장 현장실습 방문과 괴산유기농예술원 개발부지 답사(경희대학교 원예학과 김경숙 교수) - '버스투어' |
현장실습2(버스) | |
5주차
5 주차
|
월 일
월 일 |
괴산 디지로그 유기농 예술원의 녹색성장과 지속가능한 한-스타일적 상품화 전략(<재>녹색재단 이사장 이 순영 박사 / 전, 성균관 재단이사장, 한중대학교 총장, 서울시 교육위원회 부의장)
지렁이 농법소개 및 생태 체험장 만들기(대진대학교 생명과학과 배 윤환 교수) |
실전이론
실전이론 |
6 주 차
|
월 일 |
괴산유기농예술원의 환경심리연출연계와 5감테라피의 에코월드 인포-그라피 구성연출 방안(동방대학원 대학교 이 지양 교수) |
실전이론 |
월 일 |
버섯 및 생약을 활용한 유비쿼터스와 증강현실의 복잡계 구성방법론 제시 및 미래주도 사업전략(아시아미래·인재 연구소 소장 최 윤식 박사, ‘부의 미래지도’ 등 인기서적 다수 저자) | ||
월 일 |
조직배양 기술과 다육식물 선인장 연구소 현장실습 및 도시개발 계획 디자인 연습 (경희대학교 원예학과 김 경숙 교수, 명지대학교 환경설계연구원 박 찬무 대표교수) |
현장 실습3 | |
7 주차 |
월 일 |
괴산 디지로그 유기농 예술원의 Eco-healing과 Eco-coaching을 위한 공간디자인 설계기획(경희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 환경조경디자인학과 김 신원 교수) |
실전이론 |
월 일 |
미세조류(Algae)농장의 바이오 연료생산과 화장품 및 영양식품개발 원리 및 방안제시(박 신호 박사, 보은미세조류농장 영농법인 대표이사) |
실전이론 | |
8 주 차 |
월 일 |
식물<버섯>공장의 Eco-world기획과 생태경제학적 가치창출 방안 및 식용·자원식물 개발化(전, 상지대학교 학장 김 병우 교수) |
실전이론 |
월 일 |
색채·환경 디자인과 버섯 오브제를 활용한 공간디자인 연출기획(경희대학교, 단국대학교 겸임교수 김 옥경 박사 / Noblesse & Design 대표) |
실전이론 | |
월 일 |
함양 '인산가(의료관광)' 관광농산업현장 답사 및 약초마을 개발현장 견학(상명대학교 부동산대학원 정 재홍교수, <사>대한미만협회 강승규 회장) * 또는 - 괴산농업기술센터 현장대체강의(괴산방문) 가능 |
현장실습4 (버스) | |
9
9주차 |
월 일
월 일 |
한-스타일적 디자인요소의 괴산 디지로그 유기농 예술원에 퓨전디자인 기획과 컬-덕트 상품화전략(서울대학교 미술관 관장 권 영걸 교수 / 전, 서울시 부시장, 서울대학교 예술대학 학장)
노루궁뎅이 버섯재배와 소득증대 방안 및 임산물 가공과 컬비스화 전략(산림조합 중앙회 고 한규 박사) |
실전이론
실전이론 |
10 주차
|
월 일 |
분자농업과 작물유전육종에 대한 미래 농산업 방향 및 선도방안<식물공장용 작물품종개량 및 종묘유전육종>(강원대학교 의생명과학대학 임 학태 교수 / 컬러감자 개발자 - 대통령상 수상) |
실전이론 |
월 일 |
토양관리 및 정밀농법, 작물재배의 영양학적 함수관계(횡성농업기술센터 연구원 곽 기웅 박사) |
실전이론 | |
11 주 차
|
월 일 |
작물재배의 환경적 요인이 식물<버섯>공장의 사업성패에 미치는 결정적 영향 및 대응책(인천대학교 생물학과 박 병훈 교수) |
실전이론 |
월 일 |
한-스타일적 에코 & 푸드테라피와 약용식물의 Eco-tainment 사업화 전략(호서대학교 식품공학과 이 기영 교수 / 전, 호서대학교 교육대학원장) |
실전이론 | |
월 일 |
농촌진흥청 '식물공장' 견학 및 이론실습(노엘성광사 대표 김 승용 박사) - 실내용 작물재배기술특허 보유(에어 펌프) // '하희연 플라워' 현장견학 및 실습과 원적외선 면상발열체와 '에너지 증폭장치가 달린 농사용/가축용 정수기'의 활용 실습(상보에코<주> 대표이사 하중호 박사) * 또는 - 괴산농업기술센터 현장대체강의(괴산방문) 가능 |
현장실험실습5 | |
12 주 차 |
월 일 |
Gene Theraphy와 인간유전자 지도(게놈)의 이해 및 배수체 작물의 유전육종(GMO변이체)과 로컬푸드(고려대학교 생명공학과 이 병철 교수) |
실전이론 |
월 일 |
'괴산 디지로그 유기농 예술원(안티에이징 의료관광 창조마을)'의 개발가치 증대를 위한 5감 만족형의 5감 테라피와 Eco-tourism 디자인기획 및 자산 가치 향상 방안(에셋디자인코리아 이 민정 소장 ) |
실전이론 | |
월 일 |
‘아방가르드와 카타르시스의 만남 공간’<그린카페테리아형 식물공장> 및 한국호텔관광학교 푸드테라피 현장 탐방) 견학실습(가천대학교 전자공학과 이 원재 교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윤 정모 명예교수) |
현장실험 실습6 | |
13 주차
13 주차 |
월 일
월 일 |
식물<버섯>공장 재배작물의 바이오 제약 가공사업 육성 및 분자생물공정 융합기술에 대한 소개 및 사업화(카이스트 생명과학과 김 정회 교수)
- 한국미생물학회 회장, 카이스트 바이오 사업 단장 |
실전이론
실전이론 |
월 일 |
식물<버섯>공장의 작물재배 관리를 통한, 세포치료의 분자농업 활성화<푸드테라피> 전략과 바이오닉스 관광·상품 자원화 전략(한국버나큘러 디자인연구소 고 윤권 소장 / 에버피아<주>대표이사) | ||
실전이론 | |||
14 주차 |
월 일 |
식물<버섯>공장 생산작물<무농약, 무항생제>의 로컬푸드<신토불이>를 활용하여 세포치료<Cell theraphy>를 위한, 의료용 약용작물 개발 방향에 관한 재배 사업화 방안(고려대학교 안암병원 기획실장 조 태형 교수) - 세포치료 연구소 소장 |
실전이론
|
월 일 |
의료관광 활성화 방안 및 한국전통 음식의 세계화 전략 및 K-Culduct & K-Culvice(한국호텔관광학교 이사장, 육 광심 박사) | ||
월 일 |
수 료 식 및 종 강 파 티 |
| |
* 화요일 실전이론수업 : 총42시간<총14주> - 1일 3시간 X 14주 = 40시간 (매주 오후 7시~10시 : 아이코리아 평생교육원)
* 토요일 현장체험실습 및 현장탐방 실험실습강의 : 총 60시간 (오전8시부터 오후6시까지 1일 10교시 수업) - 총6회 x 10시간(1일) = 60시간) - '버스투어'의 현장탐방 실험실습은 장거리인 경우에만 해당하고 즉 2회만 실시하고, 4회는 각자본인들이 실험실습 현장으로 집결함(수도권지역 이므로 전철 등 대중교통 이용 가능한 지역임)
* 전체 강의 구성 : 실전이론(40시간) + 현장체험 및 실습(60시간) = 총100시간
* 귀농교육 주관기관 : 괴산군(농업기술센터) - KBS(한국어진흥원)와 MOU체결
* 교육대상자 : 괴산유기농예술원 조합원 귀농자(80명)
* 귀농위탁교육(MOU) 대행 예정기관 및 장소 : 아이코리아평생교육원(송파구 장지동 장지역 부근), 에버피아(주) 교육기획 :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세포치료연구소의 의료상품런칭 운영(KBS외국인 대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