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1년간 기업 202개 유치, 1조 6603억원 투자
- 일자리 1만 1149명 일자리 창출 … 부자도시 건설 시동 -
○ 대전시는 민선5기 들어 지난 1년간 기업 202개 유치로 1조 6603억원의 투자를 이끌어내 1만 1149명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등 부자도시 대전건설의 가시적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
○ 시에 따르면 올해 들어서만 제조업 40개 및 사업지원 및 정보서비스업 22개, 연구개발 관련 16개, 콜센터 3개, 기타 2개 기업 등 총 83개 기업을 유치해 신증설 투자 등에 탄력을 받고 있다고 15일 밝혔다.
○ 지난 2월 5개 IT기업과‘IT 융복합클러스터 조성 및 증설투자 협약’체결을 시작으로 한국타이어(주)와‘중앙연구소 확장건립 및 지원협약’체결, 대덕특구와 연계한 기술혁신을 선도할 3개 기업과‘INNOBIZ 기업 이전 및 투자지원 협약’을 체결했다.
○ 또 항공우주 관련 전자통신장비의 제품개발 및 서비스업을 주력으로 하고 있는 미국계 기업인 e-RAP KOREA가 대전에 R&D 센터 및 생산공장을 건립하는 업무협약도 체결했다.
○ 특히, 지난해 세종시 입주예정이었던 웅진에너지, 한화를 비롯해 첨단의료기기 제조업체인 비전과학, 사이버메드, 디아메스코, 중견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인 중원정밀, 한국발전기술종합연수타운 등을 유치한바 있다.
○ 이에 따라 대덕특구 1단계인 죽동지구에 LIG넥스원, 한국타이어 중앙연구소 등 19개 기업, 방현지구에 두산중공업, 한화 등 10개 기업, 신성지구에 인소팩, 사이버메드 등 23개 기업 등 총 52개 기업에 대해 산업용지 분양을 마무리했다.
○ 이와 같은 성과를 거둘 수 있었던 것은 염홍철 시장이 취임하자마자 세종시 입주예정 기업의 대표자를 직접만나 대전시로의 이전을 설득하는 등 적극적인 행보가 결정적인 것으로 보인다.
○ 또 염홍철 시장은 삼성, 웅진, 한화 등의 대기업을 직접 찾아가 최상의 입지환경을 홍보하고 전폭적인 지원을 약속하는 등 파격적인 행보를 이어왔다.
○ 시는 지난 5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지구가 신동, 둔곡지구가 확정되자 기업들이 대전지역 투자에 관심을 갖고 활발하게 상담이 진행 중에 있으며 이르면 8월에는 투자규모가 가시화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한편 대전시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와 세종시 건설 등 여건에 따라 기업유치의 호기임을 인식하고 대덕특구 2단계 산업용지 개발지역을 둔곡, 신동지역에서 대동 금탄지구와 용산 전민지구까지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관련출처 : 대전광역시 보도자료 입니다.
* 시장의 공약, 기업의 유치 , 산업용지 개발등 다각적으로 시장을 분석하면
투자의 판단에 중요한 역활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