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 |
대손상각비 |
100,000 |
(대) |
대손충당금 |
100,000 |
2.02년 초 외상매출금 중 \20,000이 대손처리 되었다.
(차) |
대손충당금 |
20,000 |
(대) |
외상매출금 |
20,000 |
대손 발생한 월의 합계잔액시산표를 조회해서 대손충당금 잔액을 확인 한 후
대손충당금이 대손금액보다 많은 경우 대손충당금으로 상계하고
만일 대손충당금 잔액이 \10,000인 경우에는 대손충당금으로 부족한 금액은 당기의 대손상각비로 비용처리한다.
|
(차) |
대손충당금 |
10,000 |
(대) |
외상매출금 |
20,000 |
|
|
대손상각비 |
10,000 |
|
|
|
3.02년 말 외상매출금잔액은 \1,000,000이며 대손설정률이 10%인 경우 결산분개
기말 대손충당금 설정액 = 기말매출채권 잔액 × 대손설정률 - 기 설정 대손충당금 잔액
[합계잔액시산표]에서 확인 ↵ ↳ 문제에서 주어짐 ↳ [합계잔액시산표]에서 확인
대손추산액 = 1,000,000 × 10% = 100,000
충당금 설정액 = 100,000 - (100,000 - 20,000) = 20,000
(차) |
대손상각비 |
20,000 |
(대) |
대손충당금 |
20,000 |
4.03년 초 전기 대손처리하였던 \20,000이 현금으로 회수되었다.
1) 전기 대손처리시 분개 : |
(차) |
대손충당금 |
20,000 |
(대) |
외상매출금 |
20,000 |
2) 전기 대손처리시 분개 : |
(차) |
대손충당금 |
10,000 |
(대) |
외상매출금 |
20,000 |
|
|
대손상각비 |
10,000 |
|
|
|
1), 2) 전기 회계처리와 무관하게 전기에 대손처리된 채권 회수시 대손충당금 증가로 처리
(차) |
현 금 |
20,000 |
(대) |
대손충당금 |
20,000 |
이 분개는 다음의 두 분개를 순액으로 처리한 결과와 동일하다.
① 전기 대손처리시 하였던 분개를 취소하는 분개를 한다.
(차) |
외상매출금 |
20,000 |
(대) |
대손충당금 |
20,000 |
(차) |
외상매출금 |
20,000 |
(대) |
대손충당금 |
20,000 |
|
|
|
|
|
|
|
|
|
|
|
|
② 외상매출금 회수 분개를 한다.
(차) |
현 금 |
20,000 |
(대) |
외상매출금 |
20,000 |
(차) |
현 금 |
20,000 |
(대) |
외상매출금 |
20,000 |
§ 외화거래의 환산
1.환산방법
기업회계기준에서는 외화자산이나 외화부채를 화폐성 ‧ 비화폐성법에 따라 환산하고 있다.
화폐성 ‧비화폐성법은 화폐성 외화자산 ‧ 부채의 경우 결산일 현재의 적절한 환율(현행환율)로 환산한 가액을 대차대조표가액으로 하고, 비화폐성 외화자산 ‧ 부채는 원칙적으로 당해자산을 취득하거나 당해부채를 부담한 당시의 적절한 환율(역사적환율)로 환산한 가액을 대차대조표 가액으로 한다.
|
화폐성 항목 |
비화폐성 항목 |
정 의 |
기간이 경과하거나 화폐가치가 변동하더라도 항상 일정액의 화폐액으로 표시되는 항목 |
기간이 경과하거나 화폐가치가 변동함에 따라 화폐평가액이 변동하는 항목으로서 일정액의 화폐액으로 확정되어 있지 않은 것 |
분류항목 |
현금, 장단기대여금, 매출채권, 미수금, 미수수익, 대부분의 부채 |
재고자산, 유형자산, 무형자산, 선급금 선수금, 선수수익 등 |
2.회계처리
1) 거래발생일
외화거래가 발생한 날에는 외화거래금액에 거래발생일 현재의 환율을 적용하여 환산하므로 외환환산에 따른 손익이 발생하지 않는다.
2) 결산일 : 외화환산손익 발생
대차대조표일 현재 화폐성 외화자산 ‧ 부채는 대차대조표일 현재의 적절한 환율을 적용하여 환산한다. 이 때 적절한 환율이란 대차대조표일 현재의 환율을 말하며, 환산가액과 환산전 장부가액과의 차액은 외화환산손익의 과목으로 하여 당기손익에 반영하고 영업외손익으로 분류한다.
한편, 비화폐성 외화자산 ‧ 부채는 거래발생 당시의 환율을 적용하여 환산하므로 환산으로 인한 손익이 발생하지 않는다.
외화환산손익 = 외화표시금액 × 대차대조표일의 환율 - 환산전 장부가액 |
3) 회수일(결제일) : 외환차손익 발생
외화자산 ‧ 부채가 회수되거나 결제되는 경우 수수한 외화금액의 원화환산액과 외화자산 ‧ 부채의 장부가액의 차액은 외환차손익의 과목으로 하여 당기손익에 반영하고 영업외손익으로 분류한다.
3.화폐성 외화자산 ‧ 부채의 환율변동 손익
|
거래발생일 |
|
|
|
|
|
대차대조표일 |
|
|
|
|
|
회수일(결제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원화환산액 |
|
|
|
|
|
원화환산액 |
|
|
|
|
원화회수(결제)액 | |||||||||||
|
|
|
|
외화환산손익 |
|
|
외환차손익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대차대조표가액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예제
[세무2급 26-2] 결산일 현재 외상매출금 중에는 LCD 사에 2006년 12월 3일에 제품을 US $ 20,000로 매출한 금액이 포함되어 있고 이 금액은 2007년 1월 2일에 회수할 예정이다. 일자별로 적용할 환율은 다음과 같다.
- 2009년 12월 3일 적용환율 : US $1 = 1,050원 - 2009년 12월 31일 적용환율 : US $1 = 1,010원 - 2010년 1월 2일 적용환율 : US $1 = 1,000원 |
[답]
거래발생일(12/3) |
|
|
|
대차대조표일(12/31) |
|
|
|
|
회수일(1/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원화환산액 20,000 × 1,050 = 21,000,000 |
|
|
|
|
|
원화환산액 20,000 × 1,010 = 20,200,000 |
|
|
|
|
원화회수액 20,000 × 1,000 = 20,000,000 | |||||||||||
|
|
|
|
외화환산손실 800,000 |
|
|
외환차손 200,00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09.12.03 |
(차) 외상매출금 21,000,000 (대) 제품매출 21,000,000 |
2009.12.31 |
(차) 외화환산손실 800,000 (대) 외상매출금 800,000 (LCD사) |
2010.01.02 |
(차) 현 금 20,000,000 (대) 외상매출금 20,200,000 (LCD사) 외 환 차 손 200,000 |
첫댓글 우와~ 아주 상세하게...설명해주셨네요..^^ 감사함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