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동양이란 무엇인가
고대 그리스의 동쪽지방을 일컫는 오리엔트(Orient)를 번역한 동양이라는 말은 본래 유라시아대륙의 동쪽에 위치한 나라-오늘날 서아시아의 몇몇 나라-를 뜻하였다. 그러나 그 말은 우랄산맥과 카스피해 동쪽으로부터 태평양 연안에 이르는 유라시아대륙의 중부와 동부의 전대륙을 포괄하게 되었다. 현재 옥시덴트(Occident) 곧, 서양의 대칭어로 사용되는 동양은 아시아의 전대륙을 의미하게 되었으므로, 동양음악은 따라서 아시아대륙의 음악문화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아시아 대륙은 자연과 인문을 고려, 크게 여섯지역으로 구분된다.
① 북아시아
: 북쪽의 북극해. 남쪽의 키르기즈와 몽고초원, 동쪽의 태평양연안, 서쪽의 우랄산맥에 이르는 지역. 이른바 시베리아 지역
② 동아시아
: 북쪽은 시베리아, 남쪽은 남지나해, 동쪽은 태평양, 서쪽은 중앙아시아에 인접한 지역으로 중국, 한국, 일본, 자유중국이 포함
③ 열대성 기후의 동남아시아
: 인도차이나반도와 말레이제도-버마,태국,캄푸치아,라오스,베트남,말레이지아,인도네시아,싱가포르,필리핀
④ 남아시아
: 북쪽은 히말라야 산맥과 파미르 고원, 서쪽은 술레이만 산맥, 남쪽은 인도양, 동쪽은 인도차이나반도에 인접한 지역으로 인도, 파키스탄, 네팔, 부탄, 방글라데시, 스리랑카 포함
⑤ 서아시아
: 서쪽은 지중해, 남쪽은 홍해와 아라비아해, 동쪽은 파키스탄, 북쪽은 소련과 인접한 중동지역으로 이란, 이라크, 사우디아라비아, 레바논, 시리아,요르단, 이스라엘, 터키등
⑥ 내륙아시아
: 소련의 투르크멘, 우즈베크, 타지크, 키르기스, 카자흐의 다섯 공화국과 몽고 중국의 신강성. 티베트가 여기에 든다. 보통 북아시아는 중앙아시아와 함께 논의된다.
2. 동양음악의 포괄적인 이해
① 동아시아의 음악문화
- 중국을 중심. 중국, 한국, 일본의 음악으로 대표됨. 중국의 야웨, 곧 아악은 역사적으로 한국의 아악과 관련되었고, 중국과 한국의 연향악이 일본의 가가쿠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있음. 삼분손익법에 의한 음악이론이나 대나무의 관악기와 오동나무의 현악기 등이 서로 공통적. 그러나 민족마다 서로 개성있는 특유의 음악문화를 지니고 있음.
② 동남아시아의 음악문화
- 인도네시아와 태국으로 대표됨. 놋쇠로 만든 공(gong)류의 유율타악기 및 등거리(equidistant) 음정의 독특한 음계에 의한 음악이라는 점에서 특징적임. 인도네시아 음악의 슬렌드로(slendro)는 등거리5음계이고, 펠로그(pelog)는 등거리7음음계인데,이 음계에 의한 음악은 동남아시아의 음악문화를 특징적으로 만들어줌. 자바의 가멜란(gamelan)합주에서 감방 카유, 감방 강사, 보낭, 사론 등이 인도네시아의 대표적인 유율타악기이고, 태국의 피 파트(pi phat)합주에서는 콩 돔, 라나트, 콩 웡 등이 대표적인 유율타악기들이다. 또한 이 지역의 음악은 무용이나 연극과 뗄 수 없는 특징을 지님
③ 남아시아의 음악문화
- 인도 중심. 라가(raga)와 탈라(tala)라는 음악이론에 의해서 특징지울 수 잇다. 선율의 구조적 특징을 결정짓는 수많은 라가는 모두 한 옥타브를 22개의 스루티(sruti)로 잘게 쪼갠 음정을 합쳐서 만든 스바라(svara)로 구성된다. 인도음악의 리듬과 관련된 이론이 탈라로 설명되는데, 8박(4+2+2박)또는 7박(3+2+2박)처럼 복합박자로 구성된 점에서 탈라의 특징을 찾을 수 있다. 인도의 현악기가 지속음을 내는 드로운(drone)을 지닌 점, 그리고 라가의 선율이 가마카(gamaka)라는 미분음의 장식에 의해서 꾸며지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남인도음악(남부지방에서 발달)-카르나틱(Carnatic)음악. 북부지방의 인도 음악- 힌두스타니(Hindustani)음악.
④ 서아시아
- 이슬람문화권. 이란, 터키, 사우디아라비아의 전통음악이 대표적인 서아시아의 음악문화이다. 서아시아의 음악이론은 10세기경 알 파라비(Al-Farabi)의 음악책에 의해서 정립되었다.(Kitabal-mu-siqi al-kabir) 이 당시에 음정, 음계, 선법, 리듬, 악기에 대한 이론이 정립됨. 한 옥타브안에 17율을 정함. 인도의 라가에 해당하는 아랍의 마캄(maqam)과 이란의 다스트가(dastgah) 이론이 우주와 관련하여 설명됨. 반음의 4분의 1음정인 소리(sori)와 4분의 3 음정인 코론(koron)에 의한 선율의 특징 및 테트라코드(tetrachord)에 의한 7음음계이론 등이 페르시아 음악의 특징을 만들어 준다. 아랍과 이란의 이카아트(iqaat)와 터키의 우술(usul)은 모두 서아시아음악의 리듬이론인데, 8박을 4+4박으로 보지 않고 3+3+2박의 복합박자로 구성하는 점에서 인도의 탈라처럼 특징적임.
⑤ 중앙아시아
- 크게 보아서 중국에 속한 동부 중앙아시아와 구소련의 서부 중앙아시아로 구분될 수 있다. 중앙아시아의 음악문화는 북아시아=시베리아 지방의 샤머니즘, 서아시아의 이슬람문화, 인도의 불교문화의 영향 아래서 복합적으로 형성된 점이 특징적. 동부 중앙아시아는 인도의 불교 음악과 샤머니즘의 복합적으로 형성된 티베트와 몽고의 라마교의 음악문화로 대표되고, 서부 중앙아시아는 이슬람의 음악문화를 전승한 점에서 특징적이다. 서사시를 낭송조로 읊어가는 서사노래(epic song)가 전문적인 가수에 의해서 현악기의 반주로 불리는 것이 이 지역의 음악적 특징. 라마교 의식에서 연조되는 긴 나발인 둥(dung)이 대표적인 관악기의 하나로 꼽힌다. 동양음악은 서양음악에 비하여 선율, 리듬, 연주, 형식, 악기 기타로 나누어 다음과 같은 점에서 특징적임
가. 동양음악의 선율은 모노포니(monophony), 곧 단선율이다. 서양음악은 다선율(폴리포니, 호모포니 등). 동양음악의 단선율은 인도음악의 가마카나 한국의 농현처럼 미분음의 장식과 이란의 소리나 코론 처럼 미세한 음정, 또 인도네시아 음악의 슬렌드로나 펠로그 같은 등거리음계 등에 의해서 신비한 미적 경험을 갖게 만든다.
나. 동양음악의 리듬은 2박자와 3박자의 복합박자로 구성된다. (서양음악은 3박자나 4박자의 리듬으로 시종됨) 예-북인도 음악의 잡탈(japtal), 서아시아의 이카아트나 우술, 한국의 엇모리장단 등. 인도의 잡탈은 2+3+2+3박으로 구성된 10박자의 탈라. 서아시아의 8박자의 우술 또는 이카아트는 3+3+2박으로 구성, 엇모리장단은 2+3박으로 구성된다. 동양음악의 템포 곧, 빠르기는 대체로 느림, 보통, 빠름의 세 가지로 구분되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인도 음악의 라야(laya)곧 빠르기는 느린 빌람비타, 보통의 마드야. 빠른 드루타로 구분. 일본음악의 조-하-큐도 빠르기의 삼분법에 든다. 그리고 기악연주의 경우에 느린 곡에서 시작하여 차츰 빠른 곡으 로 진행되다가 끝나는 점도 서로 공통적. 인도의 라가연주, 한국의 산조연주, 아랍의 마캄연주, 이란의 다스트가연주, 인도네시아의 가멜란 연주 등.
라. 동양음악의 현존 연주곡목 중에서 대체로 성악곡이 기악곡보다 압도적으로 많다는 점에서 공통적. 서양과 마찬가지로 동양음악의 기악공은 현대에 이르러 점점 발전. 기악곡의 발달이 기존의 성악곡을 각 악기의 이디옴(idiom)에 알맞게 발전시킨 결과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공통적임.
마. 동양음악의 전승이 대개 악보에 의해서가 아니라 구전된다는 점에서 서로 공통적임. 구비전승에 의한 동양음악에서 작곡가와 연주자가 구분되지 않는 점. 즉흥연주에 의한 창작활동이라는 점이 서양과 대조적. 인도의 라가연주, 한국의 산조연주, 아랍의 마캄연주가 즉흥연주에 의한 대표적 예. 서양음악의 작곡자가 일정한 악곡형식에 맞추어 의도적으로 설계하여 악상을 전개하는데 비해, 동양음악의 연주자는 기존곡의 오랜 경험의 바탕위에 즉흥연주에 의해서 새로운 곡을 연주해 내는 작곡자의 구실을 담당하고 있음.
바. 동양음악에서 사용된 전통악기가 지역마다 매우 다양하고 독특한 음색을 지닌 점에서 특징적. 기악합주의 경우 헤테로포니 또는 멀티포니가 생기는 것도 인상적이다. 동양의 전통악기가 구조상으로 세련되지는 않아서 잘 공명되지 않지만, 각 악기의 개성있는 음색과 많은 종류가 서양악기보다 뛰어남. 동양악기의 여러 가지가 역사적으로 많은 서양악기의 모체였음/ 동아시아의 생황- 파이프 오르간, 서아시아의 산투르- 하프시코드와 클라비코드의 전신, 아시아의 주르나 또는 수르나 또는 태평소- 오보에의 모체, 서아시아의 우드-서양중세 악기 류트, 동남아시아의 라나트나 감방 카유- 실로폰의 전신.
3. 동양음악의 과제와 전망
세계음악의 보편성을 찾는 일에 매진. 음악지성들이 전통음악에 대한 이해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야 함. 자국의 음악문화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평가작업이 필수적. 자국의 전통음악을 스스로 재조명하여 창조적으로 계승하고, 그 바탕위에서 외래음악을 자주적으로 수용. 그리하여 세계 음악사의 발전에 공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