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경찬의 불교문화 한 토막]
매주 목요일 불교문화에 대한 짧은 글을 올립니다.
45. (12) 미래불 미륵부처님, 미륵보살
<충북 보은 속리산 법주사 미륵부처님>
미륵부처님은 미래에 오실 부처님입니다.
미륵부처님은 지금 도솔천에 계신 미륵보살을 말합니다.
미륵보살은 석가모니 부처님으로부터 미래에 성불하리라는 수기(授記)를 받은 뒤 도솔천에 올라가 지금도 설법하고 있습니다.
아직 부처님이 되기 이전의 단계이기 때문에 보살이라고 부릅니다.
미륵부처님
< 경남 양산 통도사 용화전 >
제화갈라보살 석가모니불 미륵보살
< 경북 안동 봉정사 영산암 >
미륵전(용화전)에는 미륵부처님(또는 미륵보살)을 중심으로 불보살님을 모십니다.
영산전, 응진전 등에는 석가모니불 좌측 또는 우측 협시보살로 미륵보살을 모십니다.
<국보 제78호 금동반가사유상>
보통 반가사유상을 미륵보살로 보지만, 명확하지 않습니다. 석가모니부처님이 출가하기 전 왕자였을 때인 싯달타태자로도 봅니다. 관세음보살로도 봅니다.
< 전북 김제 금산사 미륵전 >
미륵부처님을 모신 금산사 법당 현판에는 미륵전, 용화지회, 대자보전 등의 현판이 있습니다.
미륵이란 범어로 ‘마이트레야(Maitreya)’라고 합니다.
이 말은 자비‧우정을 뜻하는 것으로 ‘자(慈)’로 번역합니다.
그러므로 미륵보살을 자씨보살이라고도 합니다.
미륵보살은 석가모니 부처님의 뒤를 이어 56억 년 후에 세상에 출현하여 중생을 구제할 ‘미래의 부처님’입니다.
이 땅 남섬부주의 용화수(龍華樹) 아래에서 득도하여 미륵불이 되신 뒤, 3회의 설법[용화삼회(龍華三會)]을 거처 각각 96억‧94억‧92억 중생을 제도합니다.
< 전남 해남 대흥사 북미륵암 미륵부처님 >
여기서 56억이라는 말은 도솔천의 수명을 인간 세계의 시간으로 계산 것인데, 경전마다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미륵보살은 도솔천의 수명이 다한 뒤 이곳 사바세계에 오시게 됩니다.
< 서울 봉은사 미륵부처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