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기호(數學記號, mathematical symbol) 모음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
<>≤≥(이상,초과,미만,이하 나타낼때,..)
±(쁠,마)
같다(= : 등호),
≠(같지 않다;)
∞(무한대:셀수 없이 많음;)
∴,∵(그러므로, 왜냐하면)
∠(각)
⊥ (수직)
⌒(호)
√(루트)
∽ (도형비례)
∝ (비례- 과학에서 잘쓰임a)
∈∋(원소가 집합에 포함)
⊂⊃(부분집합이 집합에 포함)
∪∩(합집합, 교집합) -예전에 배운 드모르간이 -_-;;
≒(약, 대략)
≡(도형 합동-예전에 수학시간에 =와의 차이를 물어보았던것 같다. =는 도형에서 넓이가 같음을 의미)
다르다(≠) : a≠b a와 b는 같지 않다
<, >,≤,≥ : 부등호 ; a>b a가 b보다 크다, a≥b a가 b보다 크거나 같다,
도(˚:각도 온도),
루트(√),
파이(∏:3.14 ㅡ>원주율),
그러므로(∴),
왜냐하면(∵),
무한대(∞)
약: 대략(≒),
시그마(∑),
합동(≡),
각(∠),
퍼센트(%),
초(″),
분(′),
n승(ⁿ),
팩토리얼(!)
합집합(∪),
교집합(∩),
로그(log),
실수(R),
소수점(0.0xx),
인테그럴(∫)
연산기호의 기원
출처 : http://user.chollian.net/~kimig01/repot2/mark/mark.htm
+, -, ×, ÷ 는 어떻게 생겨났는가?
+ : 라틴어에서 '그리고', '또는'이라는 뜻으로 쓰이는 'et(에토)'에서 힌트를 얻어 '+'로 사용했다.
2 et 4 : 2 + 4 ( et →e →+ )
- : 포도주를 담아 파는 술통에 술이 줄어들면 그 분량 만큼 눈금으로 표시를 하는 걸 보고 쓰게 됐다
보헤미아 사람 비트만은 모든 상거래에서 '+, -' 기호를 사용했다.
비트만이 먼저 사용하기는 했지만(1489년) 일반인에게 널리 보급한 사람은 비에트(1591년)이다.
비에트(1540 - 1603) : 대수학의 체계화에 노력하고, <해석학 입문>이라는 책을 지었다.
비에트는 a×a를 a² , a×a×a를 a³으로 나타내는 특별한 기호법을 고안해 냈다.
---------------------------------------------------------------------------
× : 영국인 수학자 오트레드(1574 - 1660)는 곱셈기호(×)와 계산자를 발명했다.
1631년에 <수학의 열쇠>라는 책에서 곱셈기호 '×'를 처음으로 사용했다.
+와 -가 생긴 지 약 140년 정도 지난 후의 일이다.
십자모양을 비스듬히 뉘어서 만든 오트레드의 곱셈기호 '×'는 지금 쓰는 것 보다는 작았다고 한다.
사람들이 알파벳의 x와 혼동이 된다고 해서 지금의 모양처럼 바꾼 것이다.
문자식에서 문자와 문자 사이, 문자와 수 사이에는 곱셈기호 '×'를 생략한다.
독일에서 사용하는 곱셈기호 '·'는 18세기 초의 독일사람 볼프가 만든 것이다.
÷ : ×보다 30년 정도 늦은 1659년에 스위스의 하인리히 란에 의해 만들어졌는데,
10년이 지난 후 영국의 존 펠이 보급하면서 널리 사용하게 되었다.
이 기호는 전세계가 공통으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영국, 미국, 일본, 한국 등에서만 사용하고
프랑스와 같은 나라는 사용하지를 않는다.
분수를 이용하여 나눗셈을 나타내는 것이다.
----------------------------------------------------------------------------
=, <, >, ( )는 어떻게 생겨났는가?
= : 영국의 레코드(1510? - 1558)라는 수학자에 의해 사용돼었다.
원래는 두 평행선의 폭은 항상 똑같은 값이므로 평행인 두 선을 길게 그어서 기호로 사용했기 떄문에
지금의 등호보다는 길다.
세월이 흐르면서 점점 짧아져서 현재 우리가 쓰는 등호가 된 것이다.
'=' 기호를 '이퀄'이라고 읽는 것은 '에쿠아리스'라는 라틴어로부터 유래된 것이라고 한다.
<, > : 어느 한 쪽이 다른 쪽 보다 크다, 작다를 나타내는 기호를 부등호라고 한다.
1621년 영국의 수학자 토마스 해리엇이 만들었는데 그가 죽은 지 10년 째 되는 해에 발표되었다.
( ) : 1629년프랑스인 지라르에 의해 만들어졌으며 ( )는 복잡한 계산을 간단히 처리하도록 해준다.
(ex) 3×25+3×15-2×8-2×14 = 3×(25+15)-2×(8+14)
============================================================================
연산기호의 기원에 대한 사이트를 찾았는데요...
누가 언제 그런 기호를 사용했는지에 대한 정보만 있구요..
왜 그런 모양을 사용했는지에 대한 답은 없습니다.
제가 자주가는 사이트 중에 기호에 대한 기원이나 의미를 설명하는 곳이 있는데...
함 가보시고 둘러보세요..
주소는 http://www.symbols.com 이구요... 영어라서...
대충 정리하면...
+ : http://www.symbols.com/encyclopedia/09/091.html
- : http://www.symbols.com/encyclopedia/10/102.html
+- 기호는 원시인들이 살던 동굴이나 세계 여러곳의 대부분의 고대문명에서 흔히 발견되며,
16세기 이후부터 수학에서 연산기호나 극성(positive/negative)을 나타내는 기호로 사용되었다.
×: http://www.symbols.com/encyclopedia/09/0913.html
÷: http://www.symbols.com/encyclopedia/12/121.html
×기호도 원시인들의 동굴이나 고대 문명에서 쉽게 발견되며,
이집트 상형문자에서는 divide, count의 의미로 사용되었다.
÷와 함께 17세기부터 수학기호의 곱하기,나누기 기호로 사용됨.
결론적으로 '+',기호는 완성, 완벽의 의미를 '-' 기호는 분리의 의미를 나타내는 기호이고,
'×','÷'기호는 모두 분리, 분할, 나눔을 의미하는 기호이며,
수학적으로 이용된 시기는 16~17세기 부터이다.
루트(√)는 1525년 크리스토프 루돌프와, 미카엘 스티펠(독일)이
radix(근)의 첫글자 r를 변형하여 썼답니다
기호의 유래
기타 엄청나게 많은 기호들을 열람하시려면
http://www.tcaep.co.uk/ 로 가십시요.
Science와 Math 아래 메뉴들을 클릭해서 보시면 됩니다.
∞ 무한이 커지는 상태를 나타내며 무한대라고읽습니다.
∠ 각의 크기를 나타내는 기호이죠
⊥ 서로 직교를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 제곱근의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A ∈ B A는 B집합의 원소이다.
C ∋ A A는 집합C의 원소이다.
A ⊂ B A는 집합B의 부분집합이다.
C ⊃ A A는 집합C의 부분집합이다.
lim 리미트 또는 극한이라고 읽습니다~
Σ 시그마.. 합을 나타내는기호이죠
[x] 가우스기호. 가우스라고 읽죠 [x]는x를 넘지않는 최대정수.
·<- 내적. 벡터와 벡터의 합성에 쓰임니다-_-;
θ 일반적으로 각을 나타낼때는 "θ" 세타를 많이 사용하게되죠
e 자연 상수 lim (1+1/n)ⁿ "에"라고 많이 읽죠.^_^
n->∞
π 일반적으로 원의 둘레에 대한 지름의 비율을 나타내는 무리수죠^o^
∫ 인티그럴라고 읽고 함수의 적분을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log 로그함수의 기호로써 앞에 log를 붙이게 되면 매우크거나 작은 숫자들의
계산을 좀더 정확하고 빠르게 할수있게해주는 기호입니다.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 )
등호 (=) , 부등호 (<,>), 같지않음(≠)
플러스마이너스(±), 무한대 (∞), 각(angle...) (∠)
직교(수직) (⊥), 호 (⌒), 합동 (≡), 대략(약) (≒)
루트(근호) (√), 닮음 (∽), 따라서 (∴), 왜냐하면(∵)
적분(인테그랄) (∫) , 원소임을 표현 (∈,∋)
부분집합임을 표현(⊂,⊃), 합집합(∪), 교집합 (∩)
시그마(∑), 파이(중복순열) (∏)
절대값(|x|), 괄호(;)( ( , ) )
±: 플러스 마이너스
×: 곱셈
÷: 나눗셈
≠: 같지 않다
≤,≥: 부등호
∞: 무한대
∴: 그러므로
≒: 대략
√: 루트
∵: 왜냐하면
∫:인테그랄
∈,∋: 원소이다.
⊂,⊃: 포함한다. 부분집합
∪: 합집합
∩: 교집합
∧∨: 약속기호
∑: 시그마
‰:퍼밀
+: 더하기
<, >:부등호
|x|:절대값
( ): 괄호
=: 이퀄, 같다
-: 빼기
%: 퍼센트
∠:각
⊥:직교로 만난다
⌒:호
≡: 합동
∽: 닮음
∏:파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