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습제 충분히 발라주고 실내 건조하지 않게 자주 환기시켜줘야
찬바람이 불 때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신체부위를 꼽으라면 ‘피부’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유독 겨울에는 피부가 자주 트거나 마른 버짐이 많이 피어오르곤 한다.
이러한 증상의 ‘피부건조증’은 겨울에 부는 바람 자체가 차고 건조할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사람들이 춥다고 주로 실내에서 생활하기 때문에 그만큼 발생될 확률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
특히 기존에 아토피 피부염이나 지루성 피부염을 앓고 있던 환자들이라면 건조한 실내에서의 생활은 상태를 악화시키는 지름길이다.
세브란스병원 피부과 이광훈 교수는 “날씨가 추워지면서 땀과 유분으로 이뤄진 피지막이 얇아져 나타나거나 추운 날씨로 인해 피부의 혈액순환이 잘 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 예로 겨울철만 되면 비듬이 더 많아지고 얼굴이 붉어지는 것을 들 수 있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어떻게 피부건조증을 대처해야 할까? 우선 목욕을 자주 하면 그만큼 건조해지기 쉬우므로 목욕횟수를 줄이는 게 좋다. 목욕을 할 때는 뜨거운 물로 하는 욕조목욕보다는 미지근한 물로 하는 샤워하고 이때 비누를 사용하면 피부가 더 건조해질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을 피한다.
또한 목욕 및 샤워 후에는 바로 보습로션 등을 촉촉하게 발라 피부가 건조해지는 것을 예방한다. 보습로션은 피부타입에 따라 묽은 것과 짙은 것을 구별해 사용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
뿐만 아니라 잠을 잘 때도 높은 온도로 난방을 하기보다는 내복을 입어주는 게 좋다. 아울러 춥다고 문을 항상 닫고 생활하는 것보다 잠깐씩 자주 환기를 시켜줘 피부가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무엇보다 피부건조증은 부족한 습도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이므로 실내 습도를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실내에 빨래를 널어 말린다든지 가습기를 사용해 습도를 조절해야 한다.
이광훈 교수는 “기존에 아토피 피부염이나 지루성피부염을 앓고 있던 환자들이라면 실내온도를 높이거나 덥고 매운 음식을 즐기는 것은 피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