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보 도 자 료 2012.11.12 | ||
매수 |
참고자료 |
사 진 |
담당부서 : 도로계획과 자전거도로팀 |
4 |
○ |
○ |
담 당 : 김흥재 사무관(전화 : 031-8030-3911) |
보도일시 : 배포 즉시 가능 | |||
|
경기도 방방곡곡 자전거도로망 연결
|
<주요 내용> |
○ 경기도 지역간 자전거도로 단절구간 연결 추진 ○ 2013년 경기도 자전거도로 네트워크 14.4km 조성 ○ 2016년까지 총 561억원 투입 총 21개 노선 자전거도로 네트워크 구축 |
|
경기도가 자전거 이용자들이 자전거를 이용해 지역간 이동이 가능하도록 ‘경기도 자전거도로
네트워크’를 조성한다.
경기도(도지사 김문수)는 2013년부터 수원 등 7개 지역에 14.4km의 지역간 연계노선 조성을
시작으로 2016년까지 561억을 투입해 총 21개 노선 자전거도로 네트워크를 구축할
계획이라고 12일 밝혔다.
경기도 자전거도로 네트워크 조성사업은 올해 도가 전국 도(道)단위 광역자치단체 최초로
자전거이용활성화 5개년 계획을 수립함에 따라 지역간 자전거도로 연결망을 구축하기 위해
마련됐다.
경기도 자전거 이용활성화 5개년 계획 시 도내 자전거도로망 특성을 분석한 결과, 기존의
자전거도로는 시․군 내부의 도시구역을 중심으로 형성돼 시․군 간을 연계하는 지역간 도로는
단절구간이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도에서는 시․군 간의 자전거 통행을 활성화하고, 인접 생활권의 자전거를 이용한 소통을
위해 경기도 자전거도로 네트워크 조성사업을 계획했다.
경기도 홍지선 도로계획과장은 “경기도 자전거도로 네트워크 조성사업이 완료되면 인접 시․군간
자전거도로가 단절돼 자전거 이용이 불편했던 노선이 개선돼 경기도 자전거 이용이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경기도는 2013년에 경기도 자전거도로 네트워크 조성사업 외에도 국가 자전거도로 2개
노선 9.9km를 화성시에 구축하고, 구리에서 남양주까지 경춘선 자전거도로 24.5km를 구축하는
등 안전하고 쾌적한 자전거 이용환경 조성을 위해 다양한 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다.
[참고자료 1]
2013년 경기도 자전거도로 네트워크 구축사업
□ 사업계획
○ 사업목적 : 시·군간 단절된 자전거도로 연결, 자전거도로망 구축
○ 사업규모 : 7개시·군, 5개노선 14.4km
○ 사업시기 : 2013년 1월 ~ 12월
○ 사 업 비 : 6,900백만원(道 2,483, 市 4,417)
○ 사업대상
시․군명 |
사업 구간 |
규모 (km) |
소요예산(백만원) |
비고 |
합계 |
|
14.4 |
6,900 |
|
김포 |
김포 소양교~김포 대벽입구사거리 |
0.8 |
590 |
|
의왕 |
의왕 고천삼거리~수원 시계 |
2.6 |
790 |
|
수원 |
수원 지지대교차로~의왕 시계 |
1.1 |
720 |
|
안산 |
군포 반월호수 ~ 안산 용담주유소 |
2.9 |
1,930 |
|
용인 |
용인 상현교차로~ 용인 청평사거리 |
0.8 |
300 |
|
양주 |
양주 공릉교 ~ 고양시계 |
3.2 |
1,270 |
|
고양 |
고양 벽제교 ~ 양주시계 |
3.0 |
1,300 |
|
□ 기대효과
○ 자전거 이용이 편리하고 쾌적한 교통환경조성으로 자전거이용의 활성화 도모
○ 단절된 지역간 자전거도로를 연결하여 인접 생활권의 생활형 자전거이용 환경 조성
□ 사업구간 현황[전체]
구분 |
구 간 |
연장 (㎞) |
노선명 | |
시 점 |
종 점 | |||
① |
의정부시 녹양동 실내빙상경기장앞 |
양주시 어둔동 시경계 |
1.0 |
버들로 |
② |
의정부시 금오동 부용천 |
포천시 소홀읍 하송우사거리 |
12.2 |
국도43호선(8.1km) |
자일천 및 구국도(4.1km) | ||||
③ |
의정부시 산곡동 시경계 |
남양주시 별내면 별내택지지구 |
4.7 |
국도43호선(0.3km) |
구국도 및 용암천(4.4km) | ||||
(4) |
양주시 장흥면 공릉교(북단) |
고양시 덕양구 대자동 벽제교 |
6.2 |
공릉천 제방도로 |
⑤ |
고양시 성사1동 원당역 |
고양시 흥도동 창릉교앞교차로 |
3.3 |
서오릉로 |
⑥ |
김포시 양촌읍 소양교 |
김포시 양촌읍 대벽입구사거리 |
0.8 |
지방도355호선 |
⑦ |
부천시 소사동 전화국사거리 |
시흥시 대야동 시경계 |
4.0 |
국도39호선 |
⑧ |
『시흥광명보금자리주택』 지구경계 |
광명시 노온사동 다목적운동장 입구 |
0.9 |
범안로 |
(9) |
시흥시 매화동 매화파출소입구 |
광명시 일직동 시경계 |
6.8 |
수인로,박달로 |
⑩ |
서울시 서초구 방배동 남태령 |
과천시 과천동 관문사거리 |
1.5 |
과천대로 |
⑪ |
의왕시 청계동 청계육교 |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 운중천 |
3.8 |
(구)국지도57호선 |
⑫ |
군포시 둔대동 반월호수 |
안산시 팔곡2동 용담주유소앞 |
2.9 |
반월천북길, 능앞길 |
|
의왕시 고천동 고천삼거리 |
수원시 장안구 이목동 지지대교차로 |
3.7 |
국도1호선 |
⑭ |
용인시 수지구 상현1동 상현교차로 |
용인시 풍덕천동 정평사거리 |
1.9 |
구국도43호선 |
⑮ |
용인시 기흥구 영덕동 외환은행연수원 |
용인시 기흥구 영덕동 하갈교 |
0.7 |
지방도315호선 |
⑯ |
하남시 천현동 어진마을입구 |
광주시 송정동 대주육교 |
8.8 |
국도43호선 |
⑰ |
광주시 곤지암 공영주차장 |
이천시 경계(동원대학 앞) |
5.8 |
국도3호선 |
|
용인시 양지면 추계교 |
이천시 호법면 동산교 |
11.4 |
국도42호선(0.3km) |
구국도, 복하천 천변(11.1km) | ||||
⑲ |
수원시 권선구 세류동 비행장삼거리 |
화성시 진안동 병점지하차도 |
3.8 |
국도1호선 |
⑳ |
화성시 진안동 병점지하차도 |
오산시 세마동 세교주유소 부근 |
2.3 |
국도1호선, 태안로 |
|
화성시 매송면 어천교차로 |
수원시 권선구 오목천동 고색사거리 |
6.7 |
지방도 313,화성로,매송고색로 |
총 합 계 |
93.2 |
- |
자전거도로 위치도, 경기도 자전거도로 네트워크 구축사업, 경기도 방방곡곡 자전거도로망 연결, 경기도 지역간 자전거도로 단절구간 연결 추진,
2013년 경기도 자전거도로 네트워크 14.4km 조성, 2016년까지 총 561억원 투입 총 21개 노선 자전거도로 네트워크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