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장달수의 한국학 카페 원문보기 글쓴이: 樂民(장달수)
語源
갑골문과 초기 금문에서 ‘공(工)’자는 자루가 달린 날카로운 도끼의 형상이다. 도끼는 목수에게 매우 중요한 도구이고, 때문에 공(工)자의 본래 뜻은 공구를 의미했다. 이 의미가 확장되어 수공업에 종사하는 사람, 즉 장인을 지칭하게 된다. 장인은 세심하고 숙련된 기술을 통해 일을 하였고, ‘공(工)’자는 나아가 ‘세심한’,‘숙련된’의 뜻을 지니게 되었다.
文化
[전통적 해석]
[1] 사람이 도끼를 쥐고 있는 모습. 도끼는 장인에게 ‘중요한 도구’로서 이용됨.
[2] ‘공(工)’자는 목수가 일을 할 때 쓰이는 삼각자라고 보인다. 그러나 평소에 볼 수 있는 ‘자’의 모습이 아니었다.
[최근의 해석]
[3] ‘돌 절굿공이’ 해석 : 잘 이겨놓은 진흙을 길게 만들어 한 층, 한 층 쌓아 도기의 형태를 만든 뒤, 돌 절굿공이로 다졌던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마지막에는 장식으로 쓸 도안을 박아 고대의 성벽, 건물을 만들었다.[1] 수많은 ‘공’자의 자형 대부분이 육중한 밑바닥을 지니고 있다. 이것은 ‘공’자가 흙을 다질 때 사용했던 돌로 해석하는데 이유가 된다. 그 윗부분은 손잡이나 자루로 생각된다. 이러한 ‘돌 절굿공이’를 사용하는 건축방식이 ‘판축법’이다. 중국의 초기건축물은 흙을 기본재료로 삼았다. 당시 중국인들은 황토를 건축에 적합하게 이용했던 것이다. 그리고 흙을 제대로 다지기만하면, 건물을 황토고원에 형성된 산들과 같은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만들 수 있었다. 고대의 성벽은 바로 이런 측면에서 중요한 예가 되는데, 현재까지도 남아있는 ‘만리장성’이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4] ‘신을 섬기는 도구’ 해석 : 신을 섬기는 무당을 뜻하는 무(巫)에 대해 ‘설문해자’에서는 ‘여인이 춤을 추어서 신을 내리게 하는 것이다. 工과 같은 뜻이다’라고 풀이한다. 악사(樂師)나 악인(樂人) 등과 같이 신을 섬기는 사람을 공축(工祝)이라고 하므로, 공이 신을 섬기는 일과 관련된 말임을 추측할 수 있다. 무(巫) 글자의 복문에는 ‘공(工)’을 두 손으로 받들고 있는 모양이 있다.[2] 工은 손으로 드는 물건이며 또한 주술적인 도구라고 생각할 수 있다.
語源
갑골문과 초기 금문의 공(工)자는 손잡이가 있는 날카로운 도끼의 모양이다. 여기서 도끼는 사람이 일할 때 쓰는 도구이고, 그래서 공(工)자의 본래 의미는 ‘공구, 도구’이다. ;수공업에 종사하는 사람, 장인을 가리키는 것으로 확대되었다. 장인이 일을 할 때는 세심하고 정교한 것이 요구됐기 때문에, 공(工)자는 ‘세심한, 정교한’의 의미로 확대되었다.
文化
<工=주술도구>
좌(左) 우(右)는 손을 가리키는 상형문자 아래 각각 장인 공(工)과 입 구(口)가 결합한 회의 문자다. 그런데 왜 왼쪽에 工이 있고 오른쪽에 口가 있을까? 시라카와 시즈카는 이렇게 해석한다.
“工은 신을 부르는 주술도구이고 口는 축문을 봉납하는 그릇이다. 즉 왼손에는 주술도구를, 오른손에는 축문 그릇을 들라는 의례 용어인 것이다. 제사장이 사당 문(門) 앞에 축문 그릇을 놓고 신에게 아뢰는 것이 ‘물을 문(問)’이오, 신의 응답을 듣고자 애쓰는 것이 ‘숨을 암(闇)’이다.”
<工=돌절굿공이>
상나라 이전에 工자와 많이 닮은 도구가 존재하긴 했으나, 삼각자는 아니었다. 그중 하나가 도자기용 물레를 사용하기 전에 도기를 만드는 데 사용했던 작은 돌절굿공이였다. 즉 잘 이겨놓은 진흙을 길게 만들어 한 층 한 층 쌓아 도기의 형태를 만든 뒤, 돌절굿공이로 다졌던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에는 장식으로 쓸 도안을 박았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