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명으로 풀어본 한국사
● 동작구 노량진동의 유래
- 백로가 노닐던 나루터 -
노량진동鷺梁津洞은 백로白鷺가 노닐던 나루터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 시대에 현재의 용산구 이촌의 동쪽에서 수원이나 인천 방면으로 가려면 '노들나루'를 이용하였으며 또한 도성을 방위하기 위하여 군사를 주둔시켜 노량진鎭을 설치하여 널리 알려졌다. 일제 초인 1914년 시흥군에 편입할 당시 마을 이름이 노량진리라 정착되었다.
노량진은 예부터 수양버들이 울창함으로 노들나루라고도 불리운 도선정으로 인하여 형성되기 시작한 도진渡津(나루) 촌락으로 상류의 한강진과 하류의 양화진과 더불어 서울로 통하는 한강 나루터 중에서도 경관이 수려하였다. 이에 일찍부터 시인과 묵객이 자주 살았고 주변에는 누정樓亭이 많았다. 그리고 노들나루 남측 언덕에는 노량원鷺梁院이라는 지금의 여관과 같은 숙박시설이 있어서
한양을 오가는 사람들이 쉬어 가기도 하였다.
여기서 노량진동의 자연 촌락을 몇 곳 소개하고자 한다.
▲ 지대 높은 곳에 암자가 있던 높은절이
높은 절이(고사리高寺里)는 현재 노량진동과 대방동, 상도동과의 경계가 되는 노량진동 산10번지의 지대가 높은 곳에 청련암淸漣菴이란 절이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고려 때 노 정승에게 왕이 내린 사패지賜牌地 거 이에 따라 고사리회高寺里會가 있었다고 한다.
▲ 마을의 이정표 역할을 한 장승이 있던 장승배기
옛날 이정표 역할을 했던 장승이 섰던 마을로 상도동과의 경계인 노량진파출소 앞에 위치한다. 장승배기라는 마을 이름은 이곳뿐만이 아니라 우리나라 전국 각지에 존재한다. 장승은 10~15리 단위로 세워 이정표의 역할을 한 것은 물론, 지역 경계를 표시하기도 했고 악귀를 막는 수호신으로서의 역할도 하였다. 동작구 민간단체에서 이곳에 장승과 안내판을 세웠는데 모 종교의 신도들에 의해 훼
손되는 수난을 당하기도 하였다.
이 마을 이름이 장승배기가 된 데는 사도思悼(장헌莊獻) 세자의 죽음으로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사도 세자가 부왕인 영조英祖에 의해 뒤주 속에 갇혀 비통하게 죽은 뒤 세손 형운(정조는 아버지 사도 세자를 한시도 잊지 못했다. 정조는 1777년 조선 제22대 왕위에 오른 뒤 화산(현 수원)에 있는 아버지의 묘소 현륭원顯隆園에 참배 다니는 것을 잊지 않았다. 당시 일대는 나무숲이 울창하게 우거져
낮에도 맹수가 나타날 정도였다. 이에 현륭원까지 가는 사이 정조의 어가는 쉬어가는 곳을 찾기가 마땅치 않았고, 비라도 부슬부슬 내리거나 우중충한 날이면 동행하는 사람들도 없어 등골이 오싹해질 정도로 한적했다.
이에 정조는
"이곳에 장승을 만들어 세우라. 장사 모양을 한 남상 장승을 세워 천하대장군이라 이름을 붙이고 또 하나는 여상을 한 지하여장군으로 하여라."
하고 어명을 내렸다. 이에 곧 두 개의 높다란 장승이 세워졌는데, 이는 왕이 안심하고 행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이때부터 이곳은 장승배기라는 지명을 갖게 되었고 정조는 아버지의 묘소를 참배하러 오가는 길에 이 장승 앞에서 어가를 멈추고 쉬었다고 한다.
▲ 관악산 줄기의 물로 아낙들이 빨래를 한 빨래골
현재 국제상사 창고(원풍산업 자리) 뒤편으로 관악산 줄기에서 졸졸 흘러내려오는 맑은 물을 이용해서 아낙네들이 빨래를 했다고 해서 빨래골이라 했다.
▲ 5천 평의 꽃밭이 있던 꽃말
노량진 1 동 50-54번 일대는 일제 때 일본인 후까이가 약 5천여 평의 꽃밭을 만들어 이곳에서 나는 꽃을 서울 시내 꽃 도매상들에게 판매하여 꽃말이라는 마을 이름이 생겼다고 한다. 특히 이 꽃밭에서는 꽃가지를 잘라 파는 것이 아니라 뿌리 채 판매하는 것이 특징이었다.
▲ 새말
지금의 노량진1동 232번지 현 명보한의원 부근의 마을 이름으로 신申씨네 4~5가구가 살았다.
▲ 옹기를 굽던 마을 독막
노량진 2동 45-46번지 일대로 지금이 동작구 청자리의 마을 이름이다. 옛날 옹기를 굽던 곳으로 가 또는 동이점골이라 하였다. 가마가 두 군데 있었다 하며 떡시루, 독 등을 제작하여 노량 나루를 이용해서 시내로 반입되었으며 지금의 강남 일대 주민들과 과천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였다고 한다. 1950년대 말까지 있었으나 그 이후 자취를 감추었다.
▲수백 년 된 소나무에 학들이 살던 송학대
송학대는 현재 삼거리 못미처 장승배기 길 좌우편, 노량진2동 311~315번지 일대를 일컫는다. 전일에는 수백 년 묵은 소나무가 많았고 이 소나무에 학이 서식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근래에도 몇 그루의 소나무가 남아 있었으며, 일제 때는 일본인 고관들이 이 지역의 경관에 반해 많이 살았으며 한국인의 출입을 철저 통제하였다. 현재 이 지명을 딴 송학대 교회가 부근에 있다.
▲ 소나무가 울창했던 솔모텡이
지금의 노량진 2동 301~302번지 일대에는 옛날 소나무가 울창하여 사람들의 출입이 곤란할 정도였다고 하는데 이곳 모퉁이에 위치했다 하여 마을 이름이 솔모텡이가 되었다. 이곳은 지금의 노량진 제2동사무소와 송학대교회가 위치한 지역을 말하며 옛날 이곳에 큰 엄나무가 있었다고 한다.
▲ 안굴
안굴은 노량진 2동 249번지 일대의 마을 이름으로 처음에는 10여 가구의 주민이 논과 밭농사를 하며 살았다고 한다. 일면 '안산'이라고도 불렀다
고사리(동작구 상도동 높은 곳에 청연암이 있어서 붙여진 이름)
장승배기
송학대 교회
첫댓글 잘 배우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