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기자의 효능과 재배법◆
성질은 평하고 맛은 달고 간과 신장을 윤택하게 하고 정기를 보하며 근골을 튼튼하게 하며 소갈 병에 효과가 있고 폐를 윤택하게 하며 눈을 밝게 하고 노화를 방지하는 효능이 있다.
간과 신장의 음허로 허리와 무릎이 시리고 힘이 없으며 머리가 어지럽고 눈앞이 아른거리고 야맹증이 있거나 눈물이 마르고 백내장에 효과가 있으며 이명 이농 자에게 적합하고 암으로 인해 내열이 있거나 방사선치료 후에 적합하며 고혈압,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만성간염, 지방간에 효과가 있으며 중년인 사람이 오래 먹으면 노화를 예방한다.
구기자 잎에는 베타인, 콜린 성분이 들어있어 간, 신장 기능회복, 고혈압, 동맥경화증 예방, 뼈와 살을 튼튼하게 해 주며 빈혈을 예방해 준다.
또한 루틴성분이 많이 들어 있어 혈당과 혈청에 들어 있는 지방 및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주고 지질대사 기능을 조절해 주고 항산화 기능을 강화시켜주고 성질은 시원하고 달다.
구기자뿌리(지골피)는 고혈압 강화효과, 신체활력, 수분대사 촉진, 콜레스테롤억제, 류마티스(류마티스는 자기 피가 자기 뼈를 공격하는 것이다.) 또 정력 강화에 효과가 있다.
구기자는 현대의학에서 혈 지방을 낮추며 동맥경화를 예방하고 간장을 보하며 지방간을 억제시키며 세포재생을 촉진하며 면역기능을 강하게 하고 각종 암을 예방한다.
혈당이 높아지면 신체기능이 항진되는데 구기자는 혈당을 낮추는 기능이 있고 따라서 간화청간(降火淸肝)의 원인이 된다.
☆주의 : 평소 비장이 허약하여 변이 묽은 사람이나 오래 설사를 하는 사람은 좋지 않다.
[배합의 기] 1. 구기자와 돼지 간을 배합하면 그 작용이 더 강해진다. 2. 구기자와 대추를 배합하면 보혈작용이 더 강해진다. 3. 구기자와 레몬을 배합하면 인체의 신진대사를 강하게 한다. 4. 앵두와 구기자를 배합하면 혈액이 약하여 발생하는 어지럼증(신장이 약하면 오는 병이다.) 이명, 요통 등에 효과가 있다. 5. 구기자와 딸기를 배합하면 보기, 보혈 작용이 강해진다.
[약선 응용] 1. 구기백숙 - 구기자15g, 닭1마리, 생강, 대파, 후추, 소금을 넣고 닭백숙을 끓여 먹는다. 2. 구기주 - 구기자60g(말린 것), 술500g, 으로 술을 담아 일주일 후에 먹는다. 음허양항으로 인한 어지럼증, 건망증, 갈증, 조루증에 효과가 있다. 3. 구기육사 - 구기자100g, 돼지고기500g, 아스파라거스100g, 식용유. 돼지고기를 채 썰어 야채와 구기자를 넣고 볶는다. 체력이 떨어져 기력이 부족하거나 신장이 허약하여 눈앞이 어지럽고 물체가 겹쳐 보이는 증상에 효과가 있다. (연근조림에 구기자를 넣으면 약선 요리가 된다.)
♣구기자 잎 식초담기 재료: 구기자 잎5kg, 레몬5kg, 설탕5kg, + 뽕잎, 상지 만들기: 구기자 잎 한 켜, 설탕 한 켜, 순으로 항아리에 담고 3~4일 후 재료들을 잘 저어주고 일주일정도 계속한 다음 40일 후 건지를 건지고 액만 2차 발효하여 1년 후 먹는다.
★면역증진효과:경희대한의과대학은 구기자에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보고에서 세포성 면역반응을 증강시킨다고함. ★콜레스테롤저하:토끼에게75일동안 구기자가루를 사료와함께섭취하게한 후 혈액분석결과 체중증가율이 낮아져 다이어트에 효과가있고 콜레스테롤이 57%감소됨. ★혈당량감소:구기자를 꾸준히 먹으면 혈당량이 높은사람은 크게 감소됨. ★성인병:혈액이 깨긋해지고 고지혈단백질 형성을 억제하는 효능이있어서 콜레스테롤중성지방이 감소되어 혈액순환이 좋아져 성인병 예방과 치료에 효과가있음. ★당뇨:베타인과루틴성분은 당뇨를 예방하고 혈당을내려주어 당뇨에 효과가 있음. ★정력보강:남자가 생산하는 정자수는 정해져있는데 나이가 들며 어쩔수없이 떨어지는 정력을 보강하는 효능이있어 40대 이상인분들에게 인기있음.★지방간:간세포 내의 지방침착을 억제해주어 지방간 치료 및 예방에 좋으며 간세포의 신생을 촉진해 주는 효과가있음. ★빈혈:특히 여성의 경우 생리로 인해 어지럼증이 잦은데 빈혈을 안정시켜줌. ★피부미용:창자에 달라붙어 숙변을 제거해줘서 속이 편안해지고 얼굴의 주근깨,여드름,기미 등을 없애주는 효과가있음.
구기자 재배법1. 재배적지의 선택가. 기후내한성이 극히 강하여 우리나라 전지역에서 재배가 가능하며 낮과 밤의 기온교차가 큰 중산간지대가 적지이다. 나. 토질구기자 재배지의 입지조건별 분포는 선상지가 가장 좋으며 산록경사지>곡간지>구릉지 순이며, 토성은 양토>사양토>식토 순이며 배수양호>배수 매우양호>배수 불량 순이다. 비옥도가 중정도의 땅으로 통풍과 햇빛이 잘 쬐이는 곳이 좋으며 논에서 구기자를 재배하려면 특히 배수에 각별한 주의를 하여 한다. 다. 밭의 경사밭의 경사도는 경사7~15%의 선상지가 입지 조건이 가장 좋으며, 경사 7~15%의 고간지·산록경사지, 경사 7%이하의 선상지, 곡간지, 산록경사지 순이며 경사 15%이상의 경사지와 구릉지에서는 일조관계로 수량이 떨어지게 된다.
2. 구기자 재배현황
가. 주산단지 충남(청양, 보령, 공주, 홍성, 예산), 전남(진도, 해남) 등이다. 3. 재배기술가. 번식방법구기자의 번식은 종자번식, 휘묻이법, 포기나누기법 등이 있으나 삽목번식이 가장 좋다. (1) 삽목(揷木)(가) 시기는 이른봄 3~4월경이다. (2) 휘묻이법(取木)(가) 시기는 7~8월 장마기이다. (3) 포기나누기법(分株法)(가) 시기는 10~11월경이다. (4) 종자번식(種子繁殖)(가) 시기는 연중이다. 나. 시비방법밑거름은 땅이 풀린 직후에, 웃거름은 2~3회 나누어 사용한다. 표 3. 시비량 (성분량)
2) 기비시용시 후라단입제를 2~4kg/10a로 뿌려 초기 혹응애를 방지하는 것이 좋다. 다. 식재방법(1) 삽수의 준비구기자의 삽수는 2월경 줄기를 제거하기 전에 준비하는 것이 좋으며 삽수의 굵기는 1㎝정도의 되도록 굵고 줄기 밑 둥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2) 심기구기자는 삽목방법이 주로 쓰이며 심는 방법은 길이 15㎝정도의 삽수를 재식거리 120×40㎝로 심는 것이 구기자가 가장 많이 생산된다. ![]() ![]() 그림 2. 식재 그림 3. 재식거리별 수량 (3) 순솎아주기시기는 이른봄 새순이 나올 때가 적당하며 1포기당 가장 충실한 가지 5본만 남기고 모두 제거해 준다. (4) 적심방법5월 상순, 6월 상순, 7월 상순이 적기이며 5월 상순경 35~40㎝가량 자란 줄기 밑둥으로부터 30㎝만을 남기고 잘라주며, 새로 자란 순을 다시 6월 상순과 7월 상순에 20~30cm가량 남기고 잘라준다. (5) 유인방법튼튼한 지주대를 5m간격으로 2열로 설치하고 바인더끈 등과 같이 단단한 끈으로 1, 2, 3단으로 설치하여 구기줄기가 늘어짐을 방지한다. ![]() 그림 4. 유인방법 (6) 제초작업골사이 제초작업은 파라코액제(그라목손)를 물 20ℓ에 약제 50㎖를 기준하여 살포하면 잡초가 고사된다.
|
출처: 맑은산의 흔적 원문보기 글쓴이: 맑은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