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절기의 유래(기원)
경칩(驚蟄)은 24절기의 하나이며, 3월의 절기이다. 날씨가 따뜻하여 각종 초목의 싹이 트고 겨울잠을
자던 동물들이 땅위로 나오려고 꿈틀거린다고 하여 이런 이름이 생겨났다. 태양 황경이 345도가 될 때이다.
양력으로는 3월 5일 또는 3월 6일이다. 대한민국에서는 이 즈음인 3월 2일부터 한 학년을 시작한다.
ㆍ전통문화 : 그 나라에서 발생하여 전해 내려오는 그 나라 고유의 문화. ┈┈• ∼를 계승하다.
<봄의 절기>
1. 입춘(立春) : 봄으로 들어서다.
2. 우수(雨水) : 비가 내리기 시작하다.(눈이 아니고)
3. 경칩(驚蟄) : 벌레들이 놀라 깨어나다. 겨울잠을 자던 개구리가 나오는 계절
4. 춘분(春分) : 봄을 둘로 나누다. 즉 봄의 중심. 밤낮 길이가 같음.
5. 청명(淸明) : 날씨가 맑은 절기
6. 곡우(穀雨) : 곡식을 심을 만큼 촉촉한 비가 내리는 절기
<여름의 절기>
7. 입하(立夏) : 여름으로 들어서다.
8. 소만(小滿) : 조금씩 찬다. 즉, 식물의 푸르름이 대지를 덮기 시작한다.
9. 망종(茫種) : 씨(종자)를 뿌리는 절기
10. 하지(夏至) : 여름의 절정. 낮의 길이가 가장 긴 날
11. 소서(小署) : 작은 더위
12. 대서(大署) : 큰 더위
<가을의 절기>
13. 입추(立秋) : 가을로 들어서다.
14. 처서(處署) : 더위가 물러가다.
15. 백로(白露) : 흰 이슬이 맺히다. 일교차가 켜져 가는 것이지요.
16. 추분(秋分) : 가을을 나누다. 가을의 가운데, 밤 낮 길이가 같음.
17. 한로(寒露) : 찬 이슬이 맺히는 절기
18. 상강(霜降) : 서리가 내리는 절기
<겨울의 절기>
19. 입동(立冬) : 겨울로 들어서다.
20. 소설(小雪) : 작은 눈이 내리다.
21. 대설(大雪) : 큰 눈이 내리다.
22. 동지(冬至) : 겨울의 절정. 밤이 가장 깁니다.
23. 소한(小寒) : 작은 추위
24. 대한(大寒) : 큰 추위
■한 해의 시작 立春
입춘도 지나고 우수(雨水)도 지났다. 이제 경칩(驚蟄)만 지나면 완연한 봄의 기운을 느낄 수 있으리라.
양력의 2월은 달력에서 가장 짧은 달이지만, 음력으로 치면 새해의 시작인 정월에 해당하기 때문에
1년 열두 달 중 가장 중요한 달이기도 하다. 물론 24절기의 처음인 입춘도 2월에 들어있습니다.
봄을 상징하는 입춘은 24절기 중 첫째로 새로운 해의 시작을 의미한다.
예부터 입춘절기가 되면 농가에서는 농사 준비를 했는데, 부인네들은 겨우내 쌓였던 집안 구석구석의 먼지를
털어 내고 남정네들은 광에 넣어 둔 농기구를 꺼내 손질하며 한 해 농사에 대비했다.
일 년 농사의 시작이 이제부터이기 때문이다.
입춘 때는 재미난 풍속들이 많이 전해지는데, 속설에 의하면 이 날 내리는 비는 만물을 소생시키기 때문에 이때
받아 둔 빗물을 부부가 같이 마시고 동침하면 아들을 낳는다. 했다.
농사와 관련된 풍습으로는 보리 뿌리점(麥根占)이 있다. 보리 뿌리를 뽑아 보고 그 뿌리의 많고 적음에 따라
농사의 풍흉을 점치는 것인데, 여자가 흰옷을 입고 땅의 신에게 세 번 절을 한 후 보리 뿌리를 뽑아 세 가닥이면
풍년, 두 가닥이면 평년, 한 가닥이면 흉년이 든다고 믿었다.
또한 이날 오곡을 솥에 넣고 볶을 때 맨 먼저 솥 밖으로 튀어나온 곡식이 그 해에 풍작을 이룬다고도 믿었다.
제주도에서는 입춘에 큰굿을 하였는데, 이것을 일러 '입춘굿'이라고 했다.
입춘굿은 무당의 어른인 수신방(首神房)이 맡아서 했는데, 그만큼 중요한 절기였음을 뜻한다.
일반 여염집에서는 대문이나 집안 기둥에 '입춘대길(立春大吉)', '건양다경(建陽多慶)'같은
입춘첩(立春帖)을 써 붙였는데, 그 전통은 현대에도 이어져 우리 어머니나 할머니들이 매년 빼놓지 않고
시행하는 연례행사가 된지 오래다.
지금이야 집안일이나 자손들 잘되라는 뜻이 더 강해졌지만, 농사 짓던 옛날에는 한 해의 무사태평과 풍년을
기원하는 뜻이 더 강했으며, 춥고 지루했던 긴 겨울이 끝나고 봄이 시작되었음을 자축하는 뜻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