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근(Piriformis Muscle)관리
<이상근 Check Point>
-천골의 틀어짐
-대둔근과 상호 연관
-성기능 장애
-다리를 꼬고 앉는 습관
-이상근 증후근
-대퇴를 반대편 대퇴에 걸치기가 힘듬(다리를 꼬고 앉을 수 없다)
-한 자세로 오래 앉아있지 못하고 자주 뒤척거리고 자세를 바꾼다.
-하지 직거상 시(누워서 다리를 들어 올릴 때) 들어올리기 힘들다.
-업드린 자세에서 발의 내측 복숭아뼈가 닿는다.
-신체의 비대칭
-짝 궁둥이
-팔자다리
-다리길이 차이
이상근(piriformis)은 중둔근과 소둔근의 심부에 위치하는 근육으로 하지로 내려가는 좌골 신경을 외회전근(상하쌍자근, 내외폐쇄근, 대퇴방형근)과 사이에 끼고 있으며, 기능적으로 대둔근(Gluteus Maximus Muscle)과 함께 관리하여야 효과를 기대 할 수 있는 근육이다.
이상근의 외측 부착지점은 소둔근 부착지점의 바로 아래쪽 대전자 윗면의 내측면에 부착하며, 내측 부착지점은 천골의 안쪽면에 부착하므로 천골의 움직임 및 변화에 영향을 직접적으로 주는 근육이다.<그림1>

이상근의 부착지점인 천골은 장골 및 위로는 요추5번과 관절면에 의해 연결되어 구조적으로 신체의 지지대 역할을 한다. 이상근의 긴장성 단축은 천골을 반대측 사선 방향으로 회전 시키고 요추와 천추의 각을 변화 시켜 척주(spine)에 비정상작인 “커브”를 만들며 측만증, 내장기 질환, 요추 질환, 안면과 후경부의 문제, 접형골의 틀어짐 등 다양한 질환들을 만들어 낼 수 있다.
대전자에서 천장관절 방향으로 향하는 이상근은 하퇴를 고정하지 않는 자세에서는 대둔근과 같이 대퇴를 외회전시키며, 엉덩이관절을 90도 구부린 자세에서는 외전 시킨다. 그러나 엉덩이 관절을 완전히 구부린 자세에서는 이상근의 주행방향이 엉덩이 관절 축을 넘어서므로 내회전에 작용을 한다. 엉덩이 관절의 구부러진 각도에 따라 다양하게 작용을 함으로 상담 및 관리 시 이점을 유의하여야 한다.
하퇴를 고정한 자세에서의 이상근은 천골을 사선축으로 반대측 회전 시킨다. 즉, 골반 전체를 볼 때 골반을 반대쪽으로 약간 회전 한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천골을 고정한 상태에서 양쪽 이상근은 엉덩이 관절을 외회전 시켜 팔자다리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상근은 내측에 있는 치골근에 문제를 초래하므로 이상근에 의한 팔자다리 관리 시에는 치골근을 함께 관리해야 한다.
양쪽 이상근의 단축은 바로누운자세에서는 외측복사뼈가 바닥에 닿으며 엎드려 누운 자세에서는 안쪽 복사뼈가 방바닥에 닿는다.(정상인은 외측 복사뼈가 닿음)
이상근의 통증유발점은 천장관절 인접한 곳과 천장관절과 대전자의 1/2 지점에 위치하며 천장관절부, 둔부전체, 고관절 후부에 통증이 있고 간혹 대퇴후부로 연장되기도 한다.<그림2>
신경압박 시에는 대퇴후면 전체와 장딴지, 발가락까지 통증이 내려가기도 하므로 이상근 통증유발점에 의한 통증을 좌골신경통으로 느낄 수 있으니 구분하여 관리하여야 한다.

▣ 변강쇠 근육 ▣
이상근은 성행위 동작과 같이 엉덩이 관절 및 무릎을 90도 정도 구부리고 골반을 전후방향으로 움직일 때 대둔근과 함께 강력하게 작용하는 근육이다. 대둔근이 천층근육으로 강한 힘을 발휘 한다면 이상근은 심층 근육으로서 초기 후방경사 시 요천각(요추와 천골의 각)을 감소시켜주어 대둔근이 원활하게 작용 할 수 있도록 초기 방아쇠 역할을 한다. 대둔근과 이상근은 항상 함께 관리하야 하며 이상근의 문제를 해결 해결함으로서 대둔근이 강력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한다.
▣ 팔자걸음 ▣
이상근의 단축은 엉덩이 관절을 외회전 시킨다.
엉덩이 관절의 외회전은 내전근 중 장내전근, 단내전근, 치골근을 이완성 단축시키지만 그 중 특히 가장 짧은 근육인 치골근에 영향을 제일 많이 준다.
또한 이상근의 단축은 외회전근육인 장골근을 이완성 단축시킨다.
따라서 팔자걸음 교정시에는 이상근과 대둔근을 잘 풀어서 이완시키고 내전근 그룹과 장요근을 강화하여야 한다. 이러한 관절과 부착지점을 고려한 근육의 기능과 방향성에 따른 상관관계를 잘 이해해야 만이 관리 시 좋은 결과를 얻게 된다.
▣ 이상근 증후근(Piriformis syndrome) ▣
요부, 서혜부, 회음부, 둔부, 고관절, 대퇴후부, 하퇴, 발의 통증 등 특정 지을 수 없는 다양한 패턴의 증상 등 이상감각증이 일어난다.
배변 시에는 직장 통증이 있으며, 여성에게는 성교 시 불쾌증이, 남성에게는 발기부전 등 성기능장애를 일으킬 수 있으며, 앉아있다거나 장시간 동안 고관절 굴곡, 내전, 내회전등의 자세에서 더욱 심해질 수 있다.
이상근증후근의 원인은 “ 이상근 통증유발점에 의한 원인”, “이상근에 의한 대좌골공에서의 신경과 혈관의 폐색“, ”천장관절의 기능적, 구조적인 장애“이다.
<이상근에 악영향을 미치는 요인>
-양 무릎을 벌려 무거운 물건을 바닥에 놓으려하는 동작
-체중을 한 쪽 다리에 지지하고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하며 물건 옮기는 행동
-축구선수의 페인팅 동작과 같이 갑작스레 고관절 회전에 대한 무리한 힘이 가해질 때
-출산, 성교 시와 같이 양 무릎을 장기간 벌리고 고관절을 굴곡 시키는 자세
-엉덩이 구타 등과 같이 외상, 타격에 의한 타박상
-발을 오랜 시간 꼬고 앉아 있을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