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감꼭지 나방 |
|
|
가. 기주식물 : 감나무
나. 가해상태 감꼭지에 애벌레가 열매살을 먹고 들어가 낙과시킨다. 잎에서 깨어나온 애벌레는 처음에 꽃잎이나 잎을 갉아먹는다. 노숙애벌레는 열매꼭지를 통해 먹어 들어 가며, 열매꼭지와 과실 사이로 똥이 배출된다.
다. 형태 |
|
|
- 어른벌레 : 몸길이는 6~7㎜이고 머리는 금속광택이 나는 갈색이다. 가슴은 흑갈색이며, 배는 암회백색이다.
- 알 : 타원형의 백색이며, 길이는 0.5㎜, 넓이는 0.3㎜로서 표면에는 세로선으 로 가는 줄이 많고, 알 위쪽에는 둥근환상으로 가는 털이 나 있다.
- 애벌레 : 알에는 깨어난 애벌레의 몸길이는 0.9㎜ 정도이고, 머리부분은 적갈색이며, 몸통은 암갈색이다. 각 몸마디는 주름이 많고 흑색의 작은 돌기가 있으며, 흰털이 나 있다.
- 번데기 : 타원형이고 갈색으로 몸길이는 7~8㎜ 인데 암갈색의 고치속에 들어 있다. 고치는 나무 껍질에 붙어 있으며 고치속은 백색이다.
라. 생활사 연 2회 발생하며, 줄기나 가지사이 또는 거친 껍질밑에서 고치를 만들고, 그 속에서 애벌레로 겨울을 난다. 5월 상순경에 번데기가 되어 5월하순부터 어른벌레로 되어 1회 발생한다. 낮에는 앞뒷면에 붙어 있다가 밤이 되면 활동하면서 잎눈, 과실의 꼭지에 알을 낳는다. 알은 10~15일 후 깨어나 어린잎이 피해를 주다가 점점 자라 과실꼭지 부분으로 과실속으로 파고 들어가 피해를 준다. 1세대 애벌레 기간은 30일 정도이고, 성숙하면 번데기로 되었다가 10일 이내에 다시 어른벌레로 되어 알을 낳는다. 산란한 알은 1세대 보다 짧은 4~5일 만에 깨어나 애벌레가 된다. 2화기 애벌레는 3~4개 정도의 과실을 가해하고 성숙하여 월동준비에 들어간다. 남부지방에서 1화기 성충 발생 최성기는 6월상. 중순경에 해당하고 2화기는 8월 상순경이다.
마. 방제법 |
|
|
- 거친 껍질을 제거하고 기계유유제(20~25배)액을 살포한다.
- 1, 2화기 어른벌레 발생기에 1~2회에 트레본 1,000배, 스타터, 노몰트 2,000배액을 살포한다.
|
|
2. 잎말이 나방 우리나라의 감나무에 발생하는 잎말이나방류는 애모무늬 잎말이나방, 사과무늬 잎말이나방, 사과잎말이나방, 차잎말이나방 등이 있으나 그 피해정보는 지역에 따라 다르다. |
|
|
|
|
|
|
|
|
가. 가해상태 및 생활사 주요 잎말이 나방류의 형태, 가해상태 및 생활사는 다음과 같다. 표 1. 잎말이 나방류의 형태
종 류
|
어 른 벌 레
|
알
|
애 벌 레 |
애모무늬 잎말이나방
|
등황색의 둥그스름한 나방 몸길이 7~9㎜
|
엷은 황록색, 무더기로100개 정도를 고기비닐 처럼 과실표면에 낳음
|
엷은 황록색, 무더기로 100개 정도를 고기비닐 처럼 과실표면에 낳음 |
사과잎 말이나방
|
몸길이 8~9㎜ 앞날개는 황갈색이며 중아에 농갈색의 줄무늬, 뒷날개는 엷은 황갈색
|
납작한 원형이고 고기비늘모양으로 잎표면에 산란, 처음에는 유백색이지만 점차 엷은 황록색
|
몸길이 17~23㎜ 머리는 황갈색, 잎은 암갈색, 배의 각마디에 작은 반점이 있고 암갈색의 자모가있다 |
사과무늬 잎말이나방
|
앞날개 전면에 반달형 반문, 몸길이 8~10㎜
|
납작하고 담녹색~녹색 주로 잎뒷면에 고기 비늘처럼 무더기에 산란
|
몸길이 20~26㎜ 머리는 적색 또는 갈색 몸은 엷은 황록색~담녹색 |
표 2. 잎말이나방류의 가해상태 및 생활사
종 류
|
가 해 상 태
|
생 활 사 |
애모무늬 잎말이나방
|
꽃봉오리, 잎, 과실가해, 잎을 세로로 말고 그속에서 가해 애벌레가 놀라면 후퇴운동을 하는데 실을 토하면서 도망간다
|
년 3~4회 발생 어린애벌레로 가지 틈에서 겨울을 난다 |
사과 잎말이나방
|
주로 잎, 과실가해, 눈, 꽃봉오리도 가해잎을 말고 그속에서 잎살을 갉아 먹으며 엽맥만 남긴다. 과실의 표면도 갉아먹는다
|
년 3회 발생 애벌레가 나무껍질 속에서 겨울을 난다.
|
사과무늬 잎말이나방
|
눈, 꽃, 잎, 과실가해, 앞에서 깨어난 애벌레는 잎뒷면의 잎맥을 따라 실을 토하고 집을 만들면서 잎살을 먹고 겉껍질만 남긴다. 과실을 반점모양으로 갉아먹는 것이 애모무 늬잎말이나방과 다르다.
|
년 2~3회 발생 거친껍질속에서 애벌레로 겨울을 난다. |
나. 방제법 |
|
|
- 봄철 거친 껍질을 제거하고 기계유유제 25배액을 살포한다.
- 애벌레 발생초기에 유기인제 계통의 약제를 살포한다.
|
|
3. 깍지벌레류 감나무에 발생하는 깍지벌레는 거북밀깍지벌레, 긴솜깍지벌레, 가루깍지벌레, 뽕나무깍지벌레, 주머니깍지벌레가 있는데 그 지역에 따라 발생되는 종류가 다르며, 피해를 주는 정도도 다르다. |
|
|
|
|
|
|
|
|
가. 깍지벌레의 가해상태 및 형태
구 분 |
뽕나무 깍지벌레 |
가루깍지벌레 |
긴솜깍지벌레 |
뿔밀깍지벌레 |
거북밀 깍지벌레 |
기주식물 |
복숭아,매실, 살구,앵두, 벗나무,사과, 감나무,포도 배나무,호두 |
배,사과,감, 감귤,복숭아, 자두,살구, 매실,무화과, 포도,호두 |
사과,배, 감나무, 자두, 무화과 |
감나무 |
밀감,사과, 감나무,배, 복숭아,벗 나무,매실 |
가해상태 |
잎과 가지에 기생하여 즙액 을 빨아 먹음 |
가지사이에서 즙액을 빨아 먹음, 그을음 병 유발 |
가지사이, 잎에 붙어 즙액을 빨아먹음 |
가지에 다수 기생하여 즙액을 빨아 먹음, 그을 음병을 유발 시킴 |
가지에 기생하여 즙액을 빨아먹음 |
구 분 |
뽕나무 깍지벌레
|
가루 깍지벌레
|
긴솜깍지벌레
|
뿔밀깍지벌레
|
거북밀 깍지벌레 |
성 충
|
몸길이 1.1㎜, 원형에 가까운 타원형, 몸빛깔 은 등황색
|
3.0~4.5㎜인 타원형, 황갈색 수컷의 날개는 2~3㎜
|
납작한 타원 형 자갈색 몸길이3㎜ 수컷은 엷은 회황색
|
수컷의 깍지는작고 모양이 별같이 생김. 암컷 직경 6~9㎜
|
암컷의 깍지는 모자 모양의 납 질을 쓰고 직경약4㎜ 담홍색, 수컷의 깍 지는 별모 양에 길이 1㎜, 부화 약층은 납 작하고타원 형이며 적갈색이다 |
약충
|
넓은 타원형 이고 납질이며, 회갈색
|
납작한 타원 형, 연노랑색 더듬이는6마디
|
번데기
|
몸길이0.75㎜ 가량이며, 등황색이고, 긴타원형
|
연노랑색으로 통통하여 더듬이와 다리가 명백 하다
|
알
|
0.2×0.1㎜ 타원형 백색의 알 수컷, 등황 색은 암컷
|
황색이고 넓은 타원형, 길이는 0.4㎜
|
연노랑색 타원형,백색의 긴 알주머니 속에 들어있다.
|
긴 타원형 엷은 빛깔에서 적자 색이 된다.
|
발 생
|
1년 3회
|
1년 3회
|
1년 1회
|
1년 1회
|
1년 1회 |
나. 방제법 |
|
|
- 봄철에(2월 상순까지)기계유유제 20~25배액을 살포한다.
- 발아후에는 석회유황합제 0.3도액을 살포한다(살포농도 및 많이 뿌리면 약해를 받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 알에서 깨어나오는 시기 및 애벌레활동기에 유기인제계통의 살충제를 살포한다(수프라싸이드 1,000배액, 모폭스 700배액, 파마치온 800배액 등).
|
|
|
 그림 1. 가루깍지벌레 피해과실
|
|
|
|
|
|
|
|
4. 노린재류 노린재가 감에 피해를 주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으나 1984년 남부지역에서 성숙기에 들어간 과실에 많은 피해를 주었으며, 또한 1992년도 8월부터 성숙기까지 많은 피해를 주어서 창원군 농업기술센터에서 현지조사한 결과 5가지 피해를 주는 노린재를 채집하여 감정의뢰 하였으나 상기와 같이 3가지 노린재(썩등나무 노린재, 갈색날개노린재, 톱다리 허리노린재)만 판명되었으며, 금후 단감에 피해를 주는 노린재의 종류와 생태를 파악하고 방제효과 있는 농약을 개발하여 품목고시 해야 할 것이며, 피해만 보고 있는 재배농가의 실적은 빨리 해결되어야 한다. |
|
|
|
|
|
|
|
|
가. 피해 어린과실에서부터 성숙된 과실에 이르기까지 성충이 과즙을 흡수하므로 과면에 흑색~갈색의 반점이 생기고, 피해 부위는 스폰지모양이 되어 착색이 불량하고 심할 경우 기형과가 되어 상품가치가 없는 과실이 되고 낙과되기도 한다. 노린재는 산에서는 주로 칡녕쿨같은 두과작물에 발생되고, 논, 밭근처에서는 콩밭참깨, 땅콩받에서 발생하여 성충기에 과수원에 날아와 피해를 입히며 해충로서의 특징은 흡수나방류와 비슷하다.
나. 생태 연 1 회 발생하고 성충으로 월동하며, 성충은 5~6월에 감나무에 날아와 어린과실을 가해하고 그곳에 산란하기도 한다. 성충 수명이 길어 산란을 거듭하며 숙기가 다른 여러가지 과실을 찾아다니는 습성이 있다. 알에서 부화된 어린충은 집단생활을 하며 7~8월에 성충이 되어 과실을 수확할 때까지 피해를 준다. 성충은 10~11월에 월동장소로 이동한다.
다. 방제 발생원이 광범위하고 과실생육 전기간에 걸쳐 가해하므로 방제하기 어려우나 진료성이 긴 피레스로이드계 농약인 데시스, 주렁, 파마치온 등을 살포한다.
|
|
|
|
|
|
|
|
5. 쐐기나방류 우리나라의 감나무에 피해를 주는 쐐기나방류는 노랑쐐기나방, 파랑쐐기나방, 배나무쐐기나방, 중국파랑쐐기나방 및 주홍쐐기나방 등이 있다. |
|
|
|
|
|
|
|
|
가. 주요 쐐기나방류의 형태 및 가해상태
구 분 |
노 랑 쐐 기 나 방
|
파 랑 쐐 기 나 방 |
성 충 알 애벌레 번데기 |
몸길이 16㎜ 황색 배면은 약간 갈색 길이 1㎜, 납작한 타원형 담갈색 몸이 퉁퉁하고 황록색배면에 1쌍의 검은점이 있고 가슴에서 배에 걸쳐 갈색반문 타원형, 몸길이 13㎜ 백색~갈색의 고치속에 있다. |
몸길이 15㎜, 앞날개 녹색날개 바깥쪽에는 황갈색무늬가 있다. 길이 1.5㎜, 납작한 타원형 유백색 황록색 몸길이 22㎜ 각 마디에 반원형 육질돌기 4개 강모 타원형, 몸길이 13㎜ 타원형이고 암회색인 검은 줄무늬 고치속에 있다. | 표 3. 쐐기나방류의 가해상태 및 생활사
구 분
|
노 랑 쐐 기 나 방
|
파 랑 쐐 기 나 방 |
기주식물
가해상태
발생회수
생 활 사
|
감나무, 과수류
애벌레가 잎을 갉아 먹음
1년 1회
애벌레로 고치속에서 겨울을 난후 5월에 번데기, 6월에 어른벌레가 된다
|
배, 감, 사과, 감귤
애벌레가 집단으로 모여 잎을 갉아 먹는데 표피만 남긴다.
1년 1회
애벌레는 고치속에서 겨울을 난후 6월 중.하순에 나온다 | |
|
|
|
|
|
|
|
|
나. 방제법 |
|
|
- 전정시 고치를 제거한다.
- 애벌레 발생초기에 유기인제의 살충제를 살포한다(감꼭지나방 및 잎말이나방 등 방제시 동시 방제가 되므로 큰 피해는 나타나지 않는다).
|
|
참 고 문 헌
감재배(표준영농교본). 농촌진흥청. 과수전서요약. 사단법인 농산어촌문화협회. 1992 농약사용지침서. 농약공업협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