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과 보건 그리고 생산목표 간의 적절한 균형 정책과 체계 지원 32 아무리 크거나 또는 작을지라도 상지부 근골격계질환의 관리를
위한 명확한 정책은 조직의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고 또한 전 조직내의 모든 이에게 상지부 근골격계질환의 예방이 주요문제로
매일매일 행해지는 작업이거나 장기적인 것이거나 간에 경영계획의 모든 단계에서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의미 있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33 그림의 구조도와 다음 장에서 언급되는 지침내용은 목표를 실제화 하는 것이고 또한 이러한 목표를 관리
감독하게 하는 수단이다. 4. 조직환경의 조성 근로자들의 참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평가되는가? 안전관련 대표가
참여하는가? 모든 부서가 각 부서에서 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 인지하고 있는가? 권한이 주어졌는가? 책임의무를
부여하였는가? 34 상지부 근골격계질환의 효과적인 관리는 상급관리자의 서약을 필요로 한다. 그 외에도, 공유되고 내부적으로 결속된
신뢰감, 유해요인의 관리를 효과적으로 진행하게 하는 태도와 행동을 기반으로 하는 조직의 존재가 요구된다. 이러한 요소들은 안전보건문화
또는 안전보건에 대한 풍토라고 언급되어져 온 조직기반을 만들어왔다. 상지부 근골격계질환을 다루기 위한 긍정적인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없어서는 안될 주요 특징들은 다음과 같다. 참가와 관여 의사소통 권한 책임의무
부여 4.1. 참가와 관여 35 계획과 조직적인 진행과정에서의 관리자의 관여는 유해요인 제어전략의 성공 가능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중요한 요인일 수 있다. 근로자들은 그들이 행하고 있는 작업에 관한 어떤 특징에 대하여서는 직접적인 지식 뿐 아니라 거의 다시없는
이해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근로자들에 대해 유해요인 평가와 제어라는 과정에의 충분한 기여를 기대하려면 상지부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교육과 훈련을 먼저 실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주요 역할을 할 사람들은 안전관련 대표들로서 이들은 그들이 대표하는 작업자들과의 효과적인
대화 통로로써의 역할을 하고 또한 제안된 개선방안이 실제 잘 적용이 되는지의 여부를 실제로 점검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안전보건규정(근로자와의 협의)1996, 안전관련대표자 및 안전위원회규정 1996 등은 작업장 근로자들의 안전과 보건에
관하여 당사자인 근로자들과 협의를 하도록 되어있다. 이것은 사업주가 근로자측과 협의해야 할 실행범위를 상지부 근골격계질환과
관련된 것에 대하여서까지도 협의를 할 수 있도록 확장 시킨 것이다. 더 상세한 근로자 참가 및 관여 등에 관한
내용은“Development of a framework for participatory ergonomics”이나 또는“Handle with
care assessing musculoskeletal risks in the chemical industry”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36 지원하고 협력하는 회사 문화와 개방성은 상지부 근골격계질환이 관리자에게 쉽게 전달이 되게 하는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작업관련 통증이나 증상을 조,반장 또는 관리감독자에게 빨리 보고할 수 있도록 권장하는 것과, (자체적으로 가능한 경우)
보건관리를 제공하는 것은 근로자와 회사 모두에게 큰 이점이 있다. 근로자에게 있어서의 증상의 보고를 꺼려 하는 가장 큰 이유는 수입에
대한 불안 때문이다. 즉, 작업에 맞지 않는다는 판단을 받게 되는 경우이다. 이것이 개방형의 긍정적인 문화가 중요한 이유이다.
근로자들은 통증이나 증상의 초기 단계에 보고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하는 느낌을 가지게 해주어야 하는 것이다. 4.2.
의사소통 37 대화와 정보의 교류는 회사 내 각 부서에 근무하는 관리자들이 상지부 근골격계질환의 문제점과 또 그것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자신들이 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에 대한 인식을 확실하게 하는 방법이다. 제품을 설계하는 부서에서는 생산공정에 대한
세부적인 사항에 영향을 줄 것이며 판매부서에서의 논의를 통해 어떠한 포장특성이 요구되는 지가 결정될 것이다.
구매부서에서는 사용되어지는 장비 및 설비의 원천적인 통제를 하게 되고 관리부서를 통해서는 작업 일정등에 대한 조건이나 기간 등이 결정
지워질 것이다. 어떤 경우에는 원거리에 있는 모 기업으로부터 이러한 사항들이 통제되어 지기도 한다.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각
부서에 있는 모든 이가 그들의 역할에 대해 인지하고 또 통지를 받아 다른 근로자들과 회사의 상지부 근골격계질환 예방관리
프로그램에 관계하여 영향을 주도록 하여야 한다. 방법론적으로는 세미나, 회의, 포스터, 자체 발행하는 사보 등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인터넷은 또한 유용한 관련 웹사이트를 알려주는데 몇몇 사이트에 대한 정보는 “추가정보” 장에서 다루어 질 것이다. 38
열려진 대화의 장이란 근로자들은 정보를 제공받는 기회이기도 하고 또한 제공받은 정보에 대한 느낌이나 의견들을 개진하는 등의
표현이 가능해야만 한다. 이것은 상급자에 대해 허물 없이 보고하는 약식의 것일 수도 있고 또는 정기적인 조사를 통한 것과 같은 어떤
구조적인 형식을 갖춘 것이 될 수도 있다. 근골격계와 관련한 불평 등이 나타난다면 반드시 조사되어야만 할 것이다. 4.3.
권한 39 해당되는 기술적 범위 내에서의 상지부 근골격계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 권한을 가지고 책임을 다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근골격계질환의 유해요인과 어떻게 이러한 것들은 피할 수 있는지에 대한 세심한 주의를 기하도록 하는 안전보건훈련 역시
중요하다. 몇몇의 관리자들은 인간공학적 원리의 적용, 작업장 변화에 대한 평가 또는 상지부 근골격계 증상의 인지 등에 대한 전문화된
교육이 필요할 수도 있다. 40 사람을 채용하거나, 공정에 배치할 때, 또는 작업내용이 바뀌거나 기술적 변화가 있을 경우 등의
변화에 대한 분야에까지 어떠한 훈련이 필요한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이러한 권한은 확장된다. 관리자 개발체계를 통하여 개개인이 그들
각자에게 필요한 교육훈련을 득하도록 하여야 하며, 그들의 활동이 예방 프로그램 효과측정 부분에 있어 정기적인 검검 항목이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4.4. 책임의무 부여 41 많은 사람들이 상지부 근골격계질환을 예방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안에서 역할을
가지게 되는 만큼, 기능 및 직무에 따라 누가 책임을 가지게 되는 지를 분명하게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유해요인을 이해하는
관리감독자가 그것을 통제 및 제어하는 것을 돕거나 문제 발생시 보고를 할 수 있도록 권고 하는 활동적인 역할을 수행하도록 한다.
사업주는 발생 할 수 있는 문제를 다루기 위한 체계를 만들어 이러한 것들에 대해 조기에 조치를 취할 수 있어야 한다. 42 조직 내에
분명한 역할과 책임을 명시한 어떤 목표를 설정 함으로서 올바른 궤도를 유지 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또한 점검 과정 중에 부서간
또는 이웃회사를 통해 기준을 비교 할 수도 있다. 5. 작업장에서의 상지부 근골격계질환 유해 위험요인의 평가 간단한 점검을
통해서 상지부 근골격계질환 위험이 파악되는가? 상지부 근골격계질환과 관련이 있는 유해요인이 존재하는가? 반복, 작업자세,
힘, 작업시간, 작업환경, 심리사회적 요소, 개인별 특성 등 43 상지부 근골격계질환과 연관이 있는 유해요인의 평가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주요 단계를 포함한다. 문제가 되는 작업의 파악 그리고, 유해요인 평가 44 위의 두 가지 단계를 추진하기 위한
예시의 하나가 부록 2에 수록되어 있다. 45 유해요인조사 과정으로부터 최대한의 것을 얻기 위해서 사업주와 근로자는 상지부
근골격계질환의 유해요인을 파악하고, 평가하고 그리고 제어하기 위해 협력하여 일할 필요가 있다. 이 과정은 또한 인간공학적인 접근과
작업자의 참여를 포함하여야만 한다. 5.1. 인간공학적 접근이란 무엇인가? 46 인간공학(Human factor)은 작업을 사람에
맞게 그들의 육체적 능력이나 한계에 맞게끔 설계하는 것에 주로 관계된다. 주 목적은 건강과 안전 그리고 생산성을 적정화 하는 것이기도
하다. 인간공학적 접근은 상지부 근골격계질환 문제를 다루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여겨지는데 이는 작업 체계의 모든 연관된 분야가
고려되도록 해야만 하며 또한 작업자의 참여가 요구되기 때문이다. 5.2. 문제가 되는 작업의 파악 47 작업장에 문제가 있는
경우 이를 파악할 수 있는 두 가지 주요한 접근법이 있다. 첫번째는 관리자와 근로자가 현장 근로자들 중에서 문제의 징후나 증상을
가지고 있는지를 찾는 것이고 두 번째는 작업 그 자체를 관찰 함으로써 상지부 근골격계질환의 유해요인 들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보는
것이다. 부록 2에 수록된 유해요인필터(Risk Filter)와 같은 간단한 초기 조사표를 사용하여 문제의 여부를 파악할 수 있으며
또는 전문가의 조언, 각종 사업장 관련한 기준이나 법률적 기준 또한 정보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경고를 주는
징후 48 경고성 징후는 상지부 근골격계질환과 관련된 위험의 존재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현존하는 상지부 근골격계질환 문제의
징후 들을 다음과 같은 것들을 포함한다<내용출처 : 본인작성>
첫댓글 자료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