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 언 : 갯장어, 개장어, 놋장어, 뱀장어, 녹장어, 갯붕장어, 이장어, 참장어, 노장
외국명 : (영) Silver eel, Silver conger, Pike eel, Sharp toothed eel, (일) Hamo

형 태 : 전장 1.3m 정도. 몸은 뱀장어와 비슷하게 생겼다. 몸빛은 등쪽이 호백색이고 배쪽은 은백색이며 등지느러미는 연한 검은빛을 띠고 있다. 주둥이는 길고 입은 크며, 양쪽 턱에는 2-3줄로 된 이빨이 있고, 그 전반부에 억세고 큰 송곳니가 있다. 서골치는 2-3줄로 중앙열은 큰 송곳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아래, 위 턱의 앞끝이 뾰죽하게 된 끝에서 구부러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배지느러미는 없고 몸에는 비늘이 전혀 없다. 등지느러미 기저 바로 위보다 전방에서 시작된다. 전장은 머리 길이의 8배, 머리 길이는 주둥이 길이의 4배, 눈지름의 9.8배이며, 최대 전장은 약 2m 정도에 까지 이른다.
설 명 : 평상시에는 20-50m 깊이의 모래진흙 바닥과 암초 사이의 근해에서 살고 있지만 때로는 깊은 바다로 이동해 가는 수도 있다. 낮에는 바위 틈에나 진흙 속에 파묻혀 숨어 있다가 밤에 출동하여 새우, 게, 어류, 오징어류, 문어류, 조개 따위를 잡아먹는다. 암컷은 55Cm, 수컷은 35Cm로 성숙하며, 산란기는 5-7월경이고 부화된 자어는 뱀장어와 같은 변태를 한다. 변태기는 8월 하순부터 10월 까지이며, 변태 전의 최대 길이는 약 10-11.5Cm 정도이고 변태 직후의 몸 길이는 7.4Cm 정도이다. 변태는 수온 20℃ 내외에서 약 15일 동안에 끝마친다. 저인망, 연승 등으로 어획하며, 양념구이, 튀김어묵, 냄비 찌게 등으로 이용한다. 일본의 관서지방에서는 귀하게 여기며, 京都의 祇園會, 大阪의 天神祭에서는 없어서는 안되는 어류라고 한다. 백색육 어류로 담백한 맛이 있지만 지질 함량은 12.7%로 의외로 높다. 국내에서도 한 때는 연제품의 원료로 사용할 만큼 자원이 많았으나 현재는 거의 고갈되어 지역 특산물 정도로 이용된다. 동남아 각지에서 연육으로 가공하여 수입되고 있다.
분 포 : 한국(서남부 연해), 일본(중부 이남 연해)에서 대만, 중국, 필리핀, Celebes, 수마트라, 자바, 호주, 보르네오 등지를 거쳐 동인도 제도, 인도양 및 홍해에 이르는 온대 및 열대 지방에 분포한다.
◎ 갯장어류 : Muraenesox sp.
외국명 : (영) Sea conger, Silvery conger, (일) Gotenanago, Ginanago
형 태 : 전장 60Cm 정도. 몸은 장어형으로 중간부의 뒤쪽이 조금 측편되어 있다. 몸빛은 등쪽이 회갈색이고 배쪽은 은백색이다.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의 언저리는 검다. 눈의 후연에는 아래위로 떨어진 2개의 짙은 갈색의 반점이 있다. 주둥이는 길고 아래턱보다 더 나와 있는 것같이 보이며 입이 크다. 양 턱의 이빨은 2-3줄로 앞쪽에는 억센 송곳니가 있다. 서골치는 2-3줄로 중앙에 큰 송곳니가 있다. 배지느러미는 없고 등지느러미는 가슴지느러미 기부에서 시작한다. 비늘은 전혀 없다.
설 명 : 낮에는 물 밑의 뻘 속에다 꼬리부터 처박고 들어가 머리만을 수중에 내놓고 움직이지 않고 있다. 전장 35Cm 성숙하며, 산란기는 6-7월경이고 유어형인 Leptocephalus에서 변태하여 성어가 된다. 멸치, 전갱이 등의 어류나 새우,게류, 오징어,문어류, 다모류 등을 먹는다. 저인망이나 연승으로 어획한다.
분 포 : 한국(남부해), 일본(혼슈우 중부, 류우큐우), 타이완, 동인도 제도 및 홍해에 이르는 온대와 열대 지방에 널리 분포한다.
◎ 붕장어 : Conger [Astroconger] myriaster (Brevoort)
방 언 : 붕어지, 꾀장어, 장관, 벵찬, 바다장어, 바다뱀장어, 참장어, 석천붕장어, 진질장어
외국명 : (영) Common conger, Sea eel, Conger eel, (일) Maanago
형 태 : 전장 90Cm 정도. 몸은 거의 원추형으로 생김새는 장어와 비슷하다. 몸빛은 등쪽이 다갈색이고 배쪽은 흰빛이다. 등지느러미, 뒷지느러미 및 꼬리지느러미의 가장자리는 아주 검다. 옆줄의 구멍은 뚜렷하며 이들은 현저한 흰 빛깔을 나타내고 있다. 옆줄 구멍 위로는 또 한 줄의 흰빛을 한 구멍이 규칙적으로 줄지어 있으나 이들의 수는 옆줄의 것보다 적다. 눈 뒤에도 흰 점이 산재해 있다. 어릴 적에는 아주 측편된 모양을 하고 있으나 커 감에 따라서 참장어 모양을 갖추게 된다.
설 명 : 저생 갑각류, 어류, 다모류 등을 먹고 4년만에 암컷은 56Cm, 수컷은 40Cm가 되어 성숙한다. 산란시기는 봄에서 여름이며 포란 수는 대략 11만-11,95만이다. 일본 남서 제도 근해가 주산란장이라고 한다. 본종의 유형인Leptocephalus는 겨울에서 이른 봄에 각 연안으로 접안하여 3-5월에는 9-10Cm 정도의 변태기의 것이 내만에 출현한다. 변태기는 4-6월경으로, 수온 15℃ 내외에서는 20일 간이면 변태를 끝마친다. 변태 초기의 전장은 12-13Cm이나 변태 직후는 일시에 6-8Cm로 축소된다. 변태 중기의, 몸빛이 아직 흰빛일 때부터 진흙 속에 파고들어가 산다. 해초가 무성한 모래, 진흙 바닥에 많고, 야간에 활동하며, 겨울에는 해심 100m의 깊은 곳으로 이동한다. 연승, 저인망, 통발 등으로 어획하며, 성어기는 10-4월로 전체 어획량의 90%가 이 시기에 어획된다. 튀김어묵, 철판구이, 횟감, 초밥용 등으로 이용한다.
분 포 : 한국(전 연해[목포, 제주도, 부산, 포항]), 일본(혹카이도 이남 연해)
○ 검붕장어 : Conger japonicus Bleeker - 검장어, 돌장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