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의 학자 박지함(朴至諴)의 시문집. 3권 1책. 필사본. 11대손 태근(泰根) 등이
1982년 영인, 간행하였다. 권두에 송조빈(宋朝彬)의 서문과 권말에 태근의 발문이 있다.
권1은 시 61수, 권2는 유묵서 7편, 숙인광주이씨유고(淑人廣州李氏遺稿)가 수록되어 있다.
이 〈숙인광주이씨유고〉에는 시 8수, 행장 1편이 수록되어 있다. 권3은 잡저로 계 (啓) 1편, 송(頌) 1편, 전(傳) 2편, 예애(泄哀)
1편, 기(記) 1편, 독서해(讀書解) 1편, 설(說) 3편, 변(辨) 2편, 의(議) 2편, 유서 2편, 훈서(訓書) 1편, 서(書) 7편,
소(疏) 3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이 중 시는 자연을 벗삼아 학문과 심성 닦기를 다짐하는 내용으로 저자의 청렴하고 고매한
기상이 나타나 있다. 서(書)는 아들들에게 보낸 서간으로, 병자호란의 실상을 엿볼 수 있는 자료이다.
기 중 〈풍토기 風土記〉는 맹자·순자·한자(韓子) 등의 성설(性說)을 비교, 논설한
내용이다. 호란 때 강릉에 유락(流落)하게 되어, 그곳의 풍속이 괴이하고 인심이 잔인하여 사람을 살해하는 것을 보고 맹자(孟子)의
성선설(性善說)보다 오히려 순자(荀子)의 성악설(性惡說)이 부합되지 않겠느냐고 암시하였다. 설 중 〈일월행도설 日月行度說〉은 태양을 중심으로
지구와 달이 주선(周旋)하는 역법(曆法)을 논술한 것이다.
서(書) 중 〈승중영전유서 承重永傳遺書〉는 제례 중 기제와 절사에 관해 논한 것이다. 모든
자손이 윤행(輪行)하여 제사를 지내도 의리에 해가 없다고 한 이황(李愰)과, 이황의 이론이 부당하다고 한 이이(李珥)에 대해 각자의 장단점 어
논설하였다.
〈상태학사서이공식 上太學士書李公植〉은 홍문관대제학 이식(李植)에게 보낸 서간이다. 태조와
태종이 불목(不睦)할 때 태조가 함길도에서 귀환할 때까지의 기록과 고려충신 길재(吉再)·김주(金澍)가 ≪고려사≫에 기록되지 않음이 부당하므로
지금이라도 초록할 것을 요망하는 내용이다.
소의 〈진시폐소 陳時弊疏〉는 국내정치에서 올바른 전제(田制)가 가장 중요하다는 의견을
역설하는 한편, 정치 전반의 맹점과 폐단에 대하여 시정책을 주장하고 있다. 아울러 이 소에서는 종친들의 토지점유가 과다하다고 불만을 토로하고
있어, 당시의 사회상과 그의 정치적 포부와 역량을 엿볼 수 있게 한다. 국민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첫댓글 홍문관대제학 이식(李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