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 관절증과
ω-3 지방산
골관절증(변형성
관절증)이란 관절연골의 마모나 손상에 기인하는 무균성 활막염(滑膜炎)이며, 관절 주위 조직이 만성화되면 관절포(關節包=활액낭[滑液囊])나 인대의 부착부위에 골극(骨棘)이
형성되어 관절의 구조가 서서히 변형되어 가는 질환이다.
※ 골극(骨棘) : 골막(骨膜)의 내층(内層)에서
골 조직이 새로 만들어져 가시 모양의 형태를 보이는 것
그림5. 연골 세포의 대사
관절연골의 세포외기질이 관리되는 구조(이미지)
나이가 듦에 따라 마모나 물리적인 손상에 의해 관절연골이 상처(damage)를 입으면 파손된
관절연골의 단편(斷片)을 처리하기 위해서 활막(滑膜, 움직이는 관절의 뼈 끝을 싸서 연결시키는 막)에서 매트릭스 분해효소(MMP)가
분비된다. 분비된 MMP는 목표가 되는 단편뿐만 아니라 관절
전체의 연골을 파괴시켜버리는 작용을 초래하여 결과적으로는 한층 더 관절연골의 파괴를 유도한다.
골관절증의 치료 및 관리상 관절 주위 조직의 염증 완화가 중요하며, NSAIDs 등의 소염진통제가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만 ω-3지방산의 급이에 의해 관절 주위 조직의 염증이 완화되는 것과 연골의 파괴가
억제되는 것 등이 확인되고 있다.
ω-3지방산은 연골세포의 세포막에서 받아들여지는 것으로 아라키돈산캐스케이드(arachidonic acid cascade)※3를
저해하여 염증 반응이 억제된다(그림6). 그 밖에도 MMP의
분비를 억제하는 작용이나 염증성 메디에이터(mediator, 염증을 일으키는 중개물질)※4의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 등이 확인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근년의 관절질환용 치료식에는 EPA(개), DHA(고양이)를 원료로 사용한 제품이 많이 개발되어, 골관절증의 악순환을 억제 및 개선하는 작용을 나타낸다(그림7).
※3 아라키돈산캐스케이드(arachidonic
acid cascade) : 세포막을 구성하는 인지질 유래의 아라키돈산을 원료로 프로스타글라딘(prostagladin)이나
트롬복산(thromboxane)류, 로이코트리엔(leukotriene)류 등을 합성하는 대사 경로
※4 염증성 메디에이터(mediator) : 손상을 받은 조직이나 염증 부위에 침투한 백혈구 등에서 방출되는 생리활성물질로 혈관 투과성
항진, 혈관 확장, 백혈구의 이동 및 침투(浸潤), 조직 파괴 등의 염증 반응을 일으킨다.
그림6. 아라키돈산캐스캐이드
그림7. 골관절증의 악순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