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초기는 크게 동력원에 따라 분류를 할수 있고 작업하는 방식에 따라 분류를 할수도 있습니다.
1. 작업하는 방식에 따른 분류입니다.
1) 배부식 : 백팩처럼 등에 메고 작업하는 방식입니다. 무게가 무겁거나 장시간 작업하는 경우에 장점이 있지만
배부식의 특성상 엔진이나 모터부분에서 작업대와 연결해주는 플렉시블 샤프트를 써야하기 때문에 출력의 손실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26cc~50cc 배기량의 엔진식 예초기는 배부식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2) 견착식 : 한쪽 어깨에 메고 작업하는 방식입니다. 무게가 가볍거나 단시간 작업하는 경우에 많이 쓰이며 엔진이나 모터부의 구동축과
작업대가 일직선이라 출력의 손실이 적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중량이 많이 나가거나 장시간 작업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20cc~33cc 배기량의 엔진식 제품들은 견착식으로 나옵니다.

2. 동력원에 따른 분류 방식입니다.
전기를 사용하는 전기식과 화학연료를 사용하는 엔진식으로 구분할수 있습니다.
전기식은 다시 유선과 무선으로 나눌수 있고 엔진식은 가스식과 휘발유식으로 나누어지면
휘발유식은 다시 2행정과 4행정으로 나눌수 있습니다.
1) 전기식 : 전기를 사용하여 모터를 회전하는 방식으로 유선식과 무선식으로 분류할수 있습니다.
⑴ 유선식 : 비교적 간편하게 사용할수 있고 관리가 편합니다.
반면 전기가 없으면 사용이 불가능한 장소적 제약이 따르게 됩니다.
추천하는 예초기는 아니지만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만약 써야한다면 작은 정원용으로 추천해 드립니다.

⑵ 충전식 : 충전식의 경우 리튬-이온 배터리의 발전으로 현재 판매가 많은 제품입니다.
전기식과 같이 관리가 편하지만 장시간 작업이 불가능하며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반대로 장소제약이 없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사용량이 많지 않거나 다른 충전식 공구들을 소지하고 있는분들은
배터리 구입비용이 없거나 구입하더라도 호환이 되기 때문에 추천해 드립니다.

2) 엔진식 : 현재 점유율이 가장 높은 제품군입니다. 엔진식은 다시 가스식과 휘발유식으로 분류할수 있습니다.
⑴ 가스식 : LPG 부탄가스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예초기 입니다.
휘발유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관리가 편하며 카브레터에 의한 고장이 잘 없는 편입니다.
엔진식에 비해 출력은 상대적으로 약하고 가격은 비싸지만 사용후 관리가 편하기 때문에 현재 수요가 많은 제품입니다.
가스식 또한 엔진식의 일부이기 때문에 가스를 장착한 후에 2행정 오일을 오일통에 넣고 사용해야
고장없이 사용할수 있습니다. 또한 2행정 엔진식과 같은 방식으로 오일을 가스와 함께 연소시키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오일 보충을 해 줘야합니다. 시동성이 좋고 부피가 작아 휴대나 보관에 유리하기 때문에
일년에 벌초시진 정도만 사용하시는 분들에게 추천해 드립니다.

⑵ 휘발유식 : 휘발유식은 다시 2행정과 4행정으로 분류할수 있습니다.
① 2행정 엔진 : 2행정 엔진은 타 제품군의 동급 배기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출력이 가장 높고 구조가 단순하여 가격이 저렴하고
고장시 수리가 쉽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2행정 특성상 연료와 오일의 소모가 많고 매연과 소음이 심하며 내구성이 떨어지며
관리의 불편함, 연료를 휘발유와 2행정 오일을 혼합해야하는 등 단점도 있습니다. 일년에 사용량이 많은 분들에게 추천해 드립니다.

② 4행정 엔진 : 4행정 특성상 2행정에 비해 상대적으로 정숙하며 내구성이 좋고 연료의 소모도 적다는 장점이 있지만
상대적으로 출력이 떨어지며 고장시 수리비가 많이 들며 중량이 많이 나간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연료를 주입할때 휘발유만 넣으면 되기 때문에 많이 사용하는 제품군에 속합니다. 역시 일년에 작업량이 많은
분들에게 추천해 드립니다.


3. 작업대의 형태에 관해서 잠깐 설명을 드릴까 합니다.
1) 일체형 작업대 : 분리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일반 승용차에 적재하여 이동하기는 곤란하지만
작업대의 내구성은 분리형보다 상대적으로 좋습니다.

2) 분리형 작업대 : 내구성은 일체형에 비해 떨어지지만 분리하여 보관, 이동성이 좋습니다.

이런 특성에 따라 고려사항 몇가지를 알아보겠습니다.
1. 작업량이 많은 경우 : 2행정 엔진 → 4행정 엔진 → 가스식 엔진 → 전기식 → 충전식
2. 저렴한 가격을 원하는 경우 : 전기식 → 2행정 엔진 → 4행정 엔진 → 가스식 엔진 → 충전식(배터리 및 충전기 포함)
3. 가벼운 무게를 원하는 경우 : 전기식 → 충전식 → 가스식 엔진 → 2행정 엔진 → 4행정
4. 저소음을 원하는 경우 : 전기식 및 충전식 → 4행정 엔진 → 가스식 엔진 → 2행정 엔진
5. 저 매연을 원하는 경우 : 전기식 및 충전식 → 가스식 엔진 → 4행정 엔진 → 2행정 엔진
6. 편한 관리를 원하는 경우 : 충전식 → 전기식 → 가스식 엔진 → 4행정 엔진 → 2행정 엔진
엔진에 익숙하지 않아서 시동을 잘 못건다면 충전식이나 전기식을 추천해 드립니다.
자주 사용하지 않은 분들은 엔진식을 사용하는데 시동을 잘 못 거는 경우도 있습니다.
특히 계절성 사용 휘발유 엔진 공구들은 반드시 사용후에 잔여 휘발유를 제거해줘야
이듬해에 시동을 거는데 말썽이 없습니다. 이런 관리를 안하시는 분들은 예초기의 경우 벌초시즌 전,
엔진톱의 경우 벌초시즌 전이나 겨울철에 한번씩 수리센터에 다녀 오신분들이 많을겁니다.
예초기 브랜드에 관해 알아보겠습니다.
정확한 정보가 아닐수도 있으니 참고 정도만 하시면 됩니다.
1. 미쯔비시(MITSUBISHI) : 현재 시장에서 가장 점유율이 높은 브랜드입니다.
점유율이 높다는건 고장시 부품 수급의 용이성이 좋고 수리도 쉽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20cc~50cc 배기량의 2행정 엔진과 가스식 엔진 등 구매함에 있어 다양한 선택지가 있습니다.

2. 혼다(HONDA) : 4행정 엔진을 사용하여 휘발유와 4행정 엔진오일이 따로 들어가기 때문에
현재 많이 팔리는 브랜드입니다. 4행정 엔진만 있고 혼다에서 완제품을 만드는것이 아니라
엔진만 판매하여 각 브랜드사에서 카브레터(기화기)와 작업대, 기어뭉치 등을 조립하여 판매합니다.
3. 가와사키(Kawasaki) : 2행정 엔진을 사용하며 꾸준히 판매가 되는 브랜드입니다.

4. 제노아(ZENOAH) : 2행정 엔진을 사용하며 동급 대비 저중량으로 인기가 있어 많은 판매가 되는 브랜드입니다.

5. 에코(ECHO) : 2행정 엔진을 사용하며 중/저 배기량 제품이 잘 팔리는 브랜드입니다.

6. 신다이와(shindaiwa) : 2행정 예초기 부분에서 가장 좋은 제품이라 할수 있습니다.
동급 배기량 대비 저중량, 고출력으로 인기가 있는 제품이며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 때문에
쉽게 구매하지 못하는 브랜드입니다.

7. 마루야마(MARUYAMA) : 동급대비 저중량으로 인기있는 브랜드입니다.
8. 로빈(Robin) 스바루(SUBARU) 마끼다(makita) : 로빈-스바루는 4행정 엔진을 사용하여 판매가 꾸준히 높아지는 브랜드입니다.
마끼다는 엔진식 외에도 충전식 예초기 제품도 판매하고 있습니다.



9. 시바우라(SHIBAURA) : 엔진을 만드는 회사인지 아니면 엔진외 제품을 만들어 조립하여 판매하는 회사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일단 시바우라는 일본 완제품입니다.
10. 카즈(KAAZ) : 미쯔비시 엔진을 사용하며 그외의 부속은 카즈사에서 제조하여 판매가 되는 일본 완제품 브랜드입니다.
내구성도 국산이나 중국산에 비해 좋아 브랜드 이미지가 우수하여 현재는 주문자 상표부착(OEM) 방식으로 미쯔비시 엔진에
카즈 상표를 부착하여 판매를 하기도 합니다.

11. 부사(BUSA) : 카즈사와 마찬가지로 엔진은 만들지 않지만 그외의 제품을 제조 및 조립하여 판매하는 일본 완제품입니다.

12. 하야부사(HAYABUSA) : 엔진외 제품을 제조 및 판매하는 브랜드로 유명합니다. 하야부사 또한 일본 완제품입니다.

13. 미야자키(MIYAZAKI) : 엔진외 제품을 제조 및 판매하는 브랜드로 일본 완제품입니다.

14. 아사히 - 카세이(Asahi KASEI) : 아사히 - 카세이 브랜드 또한 엔진외 제품을 제조 및 판매하며
일본 완제품도 있고 핵심부품(엔진, 카브레터, 기어뭉치 등)외 중국부품도 있습니다.

15. 카와시마(Kawashima) : 역시 엔진외 부품을 제조 및 판매하는 브랜드입니다.
16. 카시와(KaSIwa) : 엔진은 만들지 않으며 그외 부품을 제조 및 판매하는 브랜드입니다.

17. 계양(KEYANG) : 국산 제품으로 독자 기술로 엔진을 만드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예전에는 OEM으로 판매가 된 적이 있습니다. 엔진식과 전기식 제품이 있습니다.
18. 스틸(STIHL) : 엔진톱계에서는 유명한데 예초기는 생소한 브랜드입니다.

19. 허스크바나(Husqvarna) : 역시 엔진톱은 유명하지만 예초기 부분에서는 생소한 브랜드입니다.
20. 디월트(DEWALT) : 블랙 엔 데커사의 프리미엄 브랜드인 디월트는 무선 충전식 예초기 제품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충전식 제품을 구매하신다며 유명 전동공구 브랜드에서 나오는 제품을 추천해 드립니다.

21. 보쉬(BOSCH) : 전기식인 유선 또는 무선 제품의 예초기가 판매되고 있습니다.
엔진식 예초기의 경우 엔진 및 카브레터 등 제저에서부터 완제품까지 하나의 회사가 만드는 경우는 별로 없습니다.
흔히 미쯔비시 예초기라 하더라도 작업대에 따라 부사, 하야부사, 아사히, 국내, 중국 등에서 만들어 판매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원산지를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즉 부사, 하야부사, 아사히 등에서 미쯔비시 엔진을 사용하여 만들면
일본 완제품으로 생각합니다. 반대로 엔진이나 카브레터, 기어뭉치 등 핵심적인 부품을 제외하고 중국에서 만들어진 제품도 있습니다.
물론 가격이 상이하기 때문에 구매에 앞서 핵심 부품외 부속들의 원산지를 보고 구매하셔야 합니다.
또 다른 예로 혼다의 예초기의 경우 혼다는 엔진만 생산하기 때문에 그외 부품이 중국산이며 20만대에 구매할수 있지만
카즈나 부사, 아사히, 하야부사에서 만들었다면 30만원대에 구매할수 있습니다.
정확한 정보는 아니기에 구매에 앞서 참고사항으로만 봐 주시고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첫댓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