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등산용어 정리
아마츄어 산악인들이 사용하는 등산용어가 각자 달라 간혹 오인하여 실수 할 수 있고 자신이 전하고자 하는 내용을 쉽게 전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어 인터넷 검색해서 기본으로 첨부하고 제가 알고있는 용어 몇개 사족으로 달았습니다
< 등산종류 관련용어 >
● 산행(山行): 산에 감 또는 산길을 걸어감. 하이킹, 트레킹, 등산 등 산에서 하는 일체의 행위을 위해 산에 가는 것을 칭하는 범용적인 말.
● 하이킹(Hiking): 야외에서의 나들이나 걷기, 가벼운 등산을 통칭하는 말로 비교적 평탄하고 잘 닦여진 길을 따라 걷는 것을 말함.
통상 트레킹 보다는 짧은 거리의 비교적 쉬운 걷기, 산행을 통칭한다. 국내에서는 통상 가벼운 걷기/산행의 의미로 사용한다.
● 트레킹(Trekking): 하이킹의 유럽식 표현이나 보다 넓은 범위를 포함한다. 통상 50km이상의 수일이 걸리는 장거리 걷기 또는 하이킹 보다 난이도가 높은 걷기를 뜻하며 하이킹과 등산을 포괄한다. 단순히 정상 등정을 목적으로 하지 않고 큰 산, 험한 산악길 등 산의 주변 걷기 의미로 많이 쓰인다. 히말라야 트레킹, 알프스 트레킹처럼 험산 산악길을 따라 걷는 것을 말한다. 국내에서는 통상 하이킹 보다 긴 거리의 산행/둘레길 걷기의 의미로 사용한다.
● 워킹(Warking): 단순히는 짧은 거리를 걷기를 뜻하나, 범용적으로는 하이킹과 트레킹 등 모든 걷는 행위 일체를 통칭한다.
● 등산(登山): 어떤 산을 목표로 걷고 오르는 것.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산행의 통칭이다. Hiking, Trekking, Climbing을 통칭한다.
● 등반(登攀 Climbing): 암벽, 빙벽, 설벽 등을 손까지 사용하여 오르는 것. 등산기술을 요하는 고난이도의 등산.
● 등정(登頂 Reaching the summit): 산의 정상에 오르는 것. 등산의 형태를 뜻하는 것이 아니라 정상에 오르는 행위 자체를 뜻함. 일반적으로 고산의 정상을 정복하는 의미로 많이 사용한다. 예) 설악산 등정=설악산 정상(대청봉)에 오름, K2등정 성공=K2봉 정상정복에 성공함.
● 백패킹(BackPacking): 야영장비를 갖추고 목적지까지 걸어가 1박 이상의 야영 및 야외활동을 하는 것으로, 트레킹과 캠핑이 복합된 것. 등산은 장기산행을 목적 하에 그 수단으로 야영을 하나, 백패킹은 야영이 주목적임.
● 비박(Biwak): 독일어 Bi(주변)+Wache(감시하다)의 합성어로 군용어에서 유래되었으나 등산분야에 적용되면서 산에서 텐트를 사용하지 않고 침낭 등을 이용하여 야영하는 것을 뜻함. 산에서의 노숙. 쉽게 텐트 사용 여부에 따라 백패킹과 비박을 구분을 하며, 장기산행을 목적으로 한다.
< 산행종류 관련용어 >
● 왕복산행: 들머리와 날머리를 같이하여 올랐던 길로 그대로 다시 하산하는 가장 기본적인 산행. 원점회귀 산행의 하나.
● 원점회귀(原點回歸)산행: 들머리와 날머리 같이하는 산행의 통칭으로, 오르내리는 코스를 다르게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코스 동일한 경우 왕복산행이라 한다.
● 종주(從走)산행: 산의 능선을 따라 긴 거리를 걸어 많은 산봉우리를 넘어가는 산행.
● 횡단산행: 산행기점에서 산의 정상이나 능선을 거쳐 산의 반대쪽으로 하산하는 산행, 즉 산을 넘어가는 방식.
● 집중산행: 각기 다른 코스를 이용하여 일제히 정상을 목표로 오르는 산행. 주로 연구나 기념등산 등에 실시한다.
● 방사상산행: 하나의 산을 여러 조로 나뉘어 각기 다르게 등산하는 방식으로, 바퀴살처럼 퍼진 여러 코스로 오르는 데서 유래한 것이다. 집중산행은 같은 목표에 도달하는 것이 목적인데 반해, 방사상산행은 각각의 목표을 위해 서로 다른 코스로 오르고 내리는 것이 일반적이다. 기념등산 및 집단훈련, 조사, 수색 등을 목적으로 실시한다.
● 파상산행: 한 팀을 여러 조로 나누어 각기 다른 임무를 가지고 일정한 간격을 두고 등산하는 방법. 각 팀별로 선등, 개척, 운반, 조사, 정리확인 등 다른 임무가 주어진다.
< 산행 관련용어 >
● 개척산행 : 보통 지름길을 찾아 지도에 나오지 않은 숲길을 통행하여 목적지에 빠르게 이르는 산행으로 잘못하면 알바하게됨
● 알바: 계획한 등산로를 찾지 못해 다른 방향 길로 진행하여 헤메는 거나 목적지로 가기 위해 등산로를 찾아 헤메는 일. 아르바이트의 준말로 산꾼들 사이에서 비공용으로 통용되는 말.
● 막산: 길을 잘못들어 길이 없는 산비탈을 개척하여 치고 오르내리는 일. 산꾼들 사이에서 비공용으로 통용되는 말로, 통상 알바와 함께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 산지형 관련용어 >
● 육산(肉山): 흙과 나무가 많은 산. 흙산이라고 함. 예) 덕유산.
● 골산(骨山): 바위나 돌이 많은 산. 돌산이라고 함. 예) 설악산, 북한산, 관악산 등.
● 누적고도: 오르내리는 산행중 오름구간 높이의 합
● 비고(比高): 최저 높이와 최고 높이의 차. 예를 들어 북한산 인수봉의 표고(해발)는 810m, 비고는 약 200m.
● 들머리: 등산로 또는 산행의 시작 지점 기점 이라고도 함.
● 날머리: 등산로 또는 산행의 끝 지점.
● 기점(起點): 등산로가 시작되는 지점. 들머리 또는 날머리로 순화하는 것이 옳다.
● 봉(峰=峯): 산(山)보다 낮은 개념이며 산은 몇개의 봉을 거느리고 있는 경우가 있다. 예) 지리산 / 천황봉,반야봉,토끼봉..
● 대(臺): 경치를 관망하기 좋은 곳에 있는 너른 바위 또는 너른 정상. 예) 신선대, 백운대, 문장대.
● 능선(稜線): 산등성이를 따라 죽 이어진 선. 산등성이로 순화해서 부르는 것이 옳다. 능선의 높은 부분을 봉우리, 낮은 부분을 안부라고 한다.
● 안부(鞍部): 산의 능선이 말안장 모양으로 움푹 들어간 부분. 능선의 낮은 부분. 고개너미길, 갈림길 들이 주로 이 곳에 위치한다.
● 마루: 봉우리. 산정상이나 등성이를 이루는 지붕. 산마루.
● 마루금: = 능선. 산등성이. 능선을 이어 그려지는 선.
● 등날: 산줄기에서 가장 높은 부분으로 이어진 선.
● 암릉(岩稜): 바위로 이루어진 능선. 예)암릉구간: 바위로 이어져 있는 능선 구간.
● 연봉(連峰): 연달아 늘어선 봉우리.
● 암부(岩部): 바위가 드러난 부분.
● 전위봉(前衛峰 gendarme(장다름)): 주봉을 호위하듯 주봉 옆에 솟아있는 봉우리. 즉 주봉 앞에 서 있는 봉우리를 말한다. 장다름은 불어로 '호위병/근위병'을 뜻한다.
● 골: 골짜기. 산줄기와 산줄기 사이의 골이 진 곳으로 일반적으로 물이 흐른다. 골의 하류로 자연스레 취락이 형성되므로 OO골과 같은 마을이름으로도 쓰인다.
● 임도(林道): 임산도로의 준말. 임산물 운반 및 산림 생산관리를 위해 설치한 도로. 일반적으로 잘 닦인 포장도로를 뜻함.
● 군도(軍道): 군용도로의 준말. 군사적 목적으로 만들었거나 그 목적으로 이용하는 도로. 임도로 통칭해서 쓰나 군용임을 명시하기 위해 씀.
● 산판길: 벌채하기 위해서 널찍하게 낸 길. 임도의 하나.
● 방화선(防火線): 불이 번지는 것을 막기위해 탈 만한 것을 없애고 어느 정도 너비로 둔 빈 지대. 산불저지선. 산불이 많이 나는 산의 능선 좌우의 초목을 제거하고 길을 넓게 두는 경우가 일반적인데 방화선길이라고 한다. 산불이 너머로 번지는 것을 막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너덜: 돌/바위들이 많이 흩어져 덮힌 곳. 통상 산비탈을 따라 흘려내려 덮힌 지역을 말한다.너덜겅의 준말로 순우리말이다. ex) 너덜돌길, 너덜길
● 너럭바위 : 넓고 평평한 큰 바위로 산행중 휴식하기 좋은장소임.
● 돌강/암괴류: 너덜 중에서도 골짜기를 따라 길게 돌들이 강처럼 흘러내린 지역을 말한다. 너덜과 구분하여 너덜겅으로 명확히 부르기도 한다.
● 너설: 너덜의 일종으로 널린 돌/바위들이 삐쭉삐쭉 솟아있는 지역을 말한다.
● 서덜: 너덜과는 조금 다르게 작은 돌들이 넓게 깔린 지역을 말한다. 주로 물가에 많이 분포한다.
● 된비알(=된비탈): 몹시 험한 비탈.
● 산허리: 산 둘레의 중턱. 보통 봉우리나 능선을 우회하는 산허리길이 위치한다.
● 산기슭: 산의 비탈이 끝나는 아랫 부분. 일반적으로 산의 하부를 넓게 이르는 말.
● 산자락: 밋밋하게 비탈져 나간 산의 밑 부분. 산기슭 중에서도 산이 끝나는 자락을 말한다(옷자락 등...)
● 산모퉁이: 산기슭의 쑥 내민 귀퉁이. 산자락의 툭 튀어나온 곳.
● 산모롱이: 산모퉁이의 휘어 들어간 곳. 산자락의 움푹 들어간곳.
※ 산자락길은 산모퉁이(튀어나온 곳)와 산모롱이(들어간 곳)가 반복적으로 이어지며 산자락을 휘돌아 나있다.
● 모듬: 약초꾼들이 묵던 산중 움막집. 대게 골짜기 상류부에 있다.
● 슬랩(slap): 표면에 요철이 없고 매끄러운 경사를 이룬 넓은 바위. 바위능선(릿지)구간에서 넓적한 슬랩을 자주 볼 수 있다. 규모가 큰 슬랩은 대슬랩이라 한다.
● 릿지(ridge): 아레뜨(arete: 프), 그라트(grat: 독)와 동의어로 산등성이를 뜻하나 대게 바위능선을 뜻한다. '릿지산행'이라는 말로 많이 쓰는데, 이 경우 경사진 바위능선구간을 손과 발 또는 암벽등반기구를 써가며 오르는 것을 말한다.
● 홀드(hold): 바위에서 손이나 발로 잡거나 딛을 수 있게 홈이 파진 부분을 말한다. 릿지산행 시 홀드를 확보하며 진행한다.
● 크랙(crack): 바위의 길게 갈라진 틈새. 암벽등반 시에는 그 크랙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기술을 사용하여 등반한다.
● 사방댐 (沙防-): 산골짜기 계곡에 설치하는 작은 규모의 댐. 갑자기 흙이나 바위가 쏟아지거나 물이 불어나는 것을 막기위해 설치한다.
< 못 관련용어 >
물이 고여있는 형태에 따라 지(池), 소(沼), 탕(湯), 담(潭), 연(淵), 호(湖), 택(澤)이 있다.
각각 그 크기와 목적, 형태에 따라 구분하여 부르던 명칭이었으나 현재는 일부가 혼용되거나 의미가 변형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이는 본래의 형태에서 변경되었거나, 다른 명칭으로 대체되기도 하고, 상징적인 의미 혹인 명소의 이름을 빌어쓰는 경우 등에 따라 시대가 지나며 혼용되어 나타난다.
굳이 그 크기로만 구분하자면 의미상 나열된 순서로 보면되지만, 이에 대한 특별한 기준은 없다.
● 지(池): 본래는 땅을 파서 물이 통하게 만든 것(穿地通水)을 뜻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못 혹은 연못을 일컷는 명칭이다.
크게는 산정부의 큰 호수를 칭하기도 하며, 통상 작은 물웅덩이나 연못부터 저수지까지를 통칭한다.
인공적으로 잘 조성한 연못은 별도로 당(塘)이라 칭하기도 하며, 저수지를 달리는 제(堤: 제방/방죽)라고도 부른다.
- 연지(蓮池: 연못), 소류지(沼溜池: 방죽), 청천지(淸川池), 신라 월지(月池), 백두산 천지(天池) / 개암제(開巖堤) / 도산서원 정우당(淨友塘)
● 소(沼): 본래는 늪을 지칭하는 말로 강물이 구비져 소용돌이치는 곳(曲池)을 뜻하였으나, 현재는 대체로 천이나 계곡의 비교적 작게 물이 고여있는 곳을 지칭한다.
- 용소(龍沼), 검룡소(儉龍沼)
● 탕(湯): 지나 소 보다는 크고 담 보다는 얕은 형태의 못을 지칭하는 것으로, 특정 크기보다는 사람이 몸을 담그기 좋은 못을 지칭한다.
- 선녀탕, 옥녀탕
● 담(潭): 본래는 천이나 강의 깊은 못을 지칭하는 명칭이나, 소 보다는 비교적 깊이가 깊은 못을 지칭한다.
- 상팔담(上八潭), 낙화담(落花潭),
● 연(淵): 본래는 깊고 넓은 물을 일컷는 명칭으로, 일반적인 저수지 보다는 크고 호수 보다는 작은 것을 지칭한다. 현재는 호수로 통용된다.
- 용연(龍淵)
● 호(湖): 일반적으로 호수를 지칭하는 명칭으로, 아주 큰 규모의 물을 지칭한다. 대체로 큰 강의 일부에 너른 규모로 물이 고여있으며 댐이 있는 곳이 많다.
- 충주호, 소양호
● 택(澤): 본래는 물과 풀이 섞여있는 너른 지대, 늪지 또는 그런 큰 물을 칭하는 명칭이나 현재는 쓰이지 않는다.
- 대택(大澤): 백두산 천지의 옛이름
< 자연환경 관련용어 >
● 눈꽃: 설화(雪花). 나뭇가지 따위에 꽃이 핀 것처럼 얹힌 눈. 눈이 가지에 쌓인 것을 말한다.
● 상고대(rime): 수빙(樹氷)·수상(樹霜). 서리의 일종으로 나무나 풀에 내린 서리가 얼어 눈꽃처럼 된 것. 순우리말.
● 얼음꽃: 빙화(氷花). 상고대가 녹았다 얼었다를 반복하여 얼음처럼 된 것. 얼음처럼 투명한 것이 특징이다.
※ 눈꽃은 눈이 내려 쌓인 것이고, 상고대는 공기 중의 수중기가 얼어붙어 눈꽃처럼 보이는 것이다. 이와는 달리 얼음꽃(빙화)은 눈꽃이나 상고대가 녹았다가 다시 얼어붙은 것으로 얼음처럼 투명하다.
※ 유리창에 내린 서리는 자세히 보면 결정모양이 꽃처럼 생긴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를 서리꽃[상화: 霜花]이라 한다.
● 연무(煙霧): 연기와 안개를 아울러 이르는 말. 습도가 비교적 낮을 때 연기나 먼지 같은 미세입자가 떠있어 공기가 뿌옇게 보이는 현상이다. 매연·미세먼지·황사 등으로 공기가 뿌옇게 보이는 것이 대표적인 경우이다. 통상 대기질이 나쁜 것이 특징이다.
● 박무(薄霧): 엷은 안개. 대기중의 수증기 입자가 공기중에 떠있는 현상으로, 시정거리가 1km이상인 때를 말한다. 습하거나 차갑게 느껴지지 않고 시야도 안개보다는 좋다.
< 기타 >
● 시산제(始山祭): 산악인들이 매년 연초에 지내는 산신제의 하나.
● 족탕: 산행 중 계곡에서 발을 담그고 족욕하는 것. 산꾼들 사이에서 비공용으로 통용되는 말.
● 알탕: 산행 중 계곡에서 옷을 다벗고 목욕하는 것. 산꾼들 사이에서 비공용으로 통용되는 말.
● 반탕: 상반신만 씻는것. 예)등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