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지리 오룔골입구에 있는 탑신당입니다.
잡석을 쌓아올려서 시멘트로 고정하였으며 탑신당 위에는 선돌개념의 자연석이 있습니다.

흔히 탑·돌탑이라고 부르지만, 경상도와 전라도 지방에서는 조산(造山), 조산탑 또는 조탑(造塔)이라고 부른다. 제주도에서는 ‘방사용탑’, ‘거욱’, ‘가마귀동산’이라고 한다. 이밖에 충북에서는 ‘수살막이’, 전북에서는 ‘도탐’, 경상도에서는 ‘밥무’이라고 각각 칭하기도 하지만 일반적이지는 않다.
돌탑은 마을로 들어오는 액이나 질병, 살(煞), 호환(虎患), 화기(火氣) 등을 막기 위해 쌓은 신앙 대상물이다. 하지만 마을 앞의 허한 방위를 막기 위해서나 특정한 모양의 지형을 보완하기 위해 쌓은 단순 비보물(裨補物)이기도 하다. 다른 신앙 대상물에 비해 풍수적인 비보(裨補)신앙의 모습을 가장 강하게 지니고 있다. 그러나 고갯마루나 사찰입구에 지나가는 길손이 마구잡이로 던져 놓은 잡석의 서낭당이나 개인이 신을 향한 구도의 마음으로 쌓은 돌탑과는 구별된다. 주민들의 소망과 정성이 모아진 비교적 정교한 마을신앙 대상물이기 때문이다.
돌탑은 돌이 지닌 영구불변성이라는 가장 원초적인 종교 원리를 이용한 신앙 대상물이다. 돌이 지닌 주술성을 토대로 주민들이 하나씩 정성껏 쌓아 올린다. 개인의 창작물이 아니라 주민공동체의 발원 속에서 만들어진 원초적 신앙의 산물이다. 돌탑은 원뿔형, 원추형, 원통형, 반원형 등으로 정성스레 쌓는다. 마을을 지키는 수호신인 돌탑은 주민들의 정성으로 정교하게 탄생한다. 이 가운데 원뿔대형이 가장 많다.
돌탑은 기단부, 몸체, 머릿돌, 탑 안의 내장물의 네 개 구조로 되어 있다. 탑의 몸체에 감실을 만들기도 하지만 흔하지는 않다. 이는 탑이 불탑(佛塔)과 같다는 관념에서이다. 탑의 머릿돌로는 뾰족하거나 둥글게 생긴 돌을 각각 얹는다. 할아버지탑에는 뾰족한 남성형 돌, 할머니탑에는 둥근 여성형 돌을 얹는다. 탑을 의인화할 때 탑윗돌이 그 표식이 된다. 사람에게 머리가 있듯이 머릿돌은 마을의 수호신인 탑할머니, 탑할아버지의 머리가 된다.
제사를 지낼 때에는 이 머릿돌에 흰종이나 고깔을 씌운다. 이를 ‘옷 입힌다’고 하며 탑을 의인화하는 작업이다. 탑윗돌은 액운의 증표가 되기도 한다. 제주도에서는 탑 위에 사람 형상의 돌이나 까마귀 또는 그저 ‘지키는 거’로 불리는 새를 얹는다. 이것은 사람이나 까마귀나 벽사(辟邪) 성격이 강해 ‘보초서는 것’, ‘지키는 것’이고 불린다.
탑 안에는 주민의 소망에 따라 복을 끌어들이는 쇠스랑, 풍농을 기원하는 오곡(五穀), 액을 막는 부적, 수마(水魔)를 막는 숯이나 소금단지, 돼지·무쇠솥·볏 등 풍수상의 허점을 막기 위한 주구(呪具), 탑을 만든 날짜와 탑을 쌓은 사람의 명단 등이 들어간다. 주민들의 소망을 담은 주구들은 마을 사람 이외에는 알 수가 없다.
마을에 산제당이 별도로 있는 경우 돌탑은 하당신으로 마을 어귀에 모셔지지만 산제당이 별도로 없는 경우에는 돌탑이 산제당이 되기도 한다. 마을 어귀에 있는 돌탑에 제사를 지낼 때 이를 흔히 ‘거리제’ 또는 ‘탑제’, ‘돌탑제’, ‘조탑제’라고 일컫는다. 지역에 따라 음력 정월 초순이나 보름, 시월에 주민들이 합심하여 제사를 지낸다.
탑은 다른 신앙 대상물과 함께 모셔지기도 한다. 가장 보편적인 것은 신목(神木)이나 마을숲이다. 그 이외에 장승이나 솟대, 선돌 등과 함께 모셔지기도 하지만 드문 일이다. 다른 신앙 대상물보다 특히 풍수(風水)와 관련하여 봉안되는 사례가 많은 것과 무관하지 않다.
돌탑은 보통 마을 어귀에 한 개나 두 개를 세운다. ‘할머니탑’, ‘할아버지탑’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가장 보편적이다. 이러한 명칭은 탑이 지닌 성격을 잘 드러낸다. 가정에서 부모가 아이들을 돌보는 든든한 울타리인 것처럼 마을 어귀의 탑할머니, 탑할아버지 내외는 마을을 수호하는 신령이 된다. 탑제를 지낼 때에는 탑에 금줄을 두르고 머릿돌에 종이를 씌우며 이를 통해 돌탑은 의인화(擬人化)된다. 이로써 곧 일 년 동안 마을을 보호할 할아버지신령, 할머니신령이 된다.
돌탑 (한국민속신앙사전: 마을신앙 편, 2009. 11. 12., 국립민속박물관)




첫댓글 순박한 우리조상들의 마음을 봅니다.
분명 재앙을 막아주고 어려울때 돌봐 주실거라는 믿음으로 의지하며 열심히 살았겠지요. ^^
힘없는 민초들의 마음을 아우르는 자신들의 신앙이지요.
믿는 마음의 결정체가 저리 탑을 쌓는것 같습니다.
얼마전 북한산 둘레길 걷다가 국신당이라는 곳에 들렸습니다.
제법 많은 사람들이 모여 연수 중이였습니다.
그런곳만 신당인줄 알았는데...
이런 신당도 있었네요
크기가 다를뿐이지요
어디서든 작은 바램일망정 저리 탑의 모양을 갖추는 거지요
꾸준하시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먹고 하는 일입니다
제가 좋아하는 일 하다보니
충북의 골골도 알게되고 참 좋습니다.
돌탑이 산제당이라니 처음 알게되었네요 단순히 탑이려니 했는데
표현하는 방법은 달라도
그 목표는 하나일겁니다 수고가 많으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