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9.15연수 자료 정리 등.hwp
1. 09.15일 2기 연수 교재 정리 |2017.09.15(출제자 시각은???)-2기 연수 교재 정리 해양수산부 인재개발원 09.15일 연수 교재로 구성을 해봅니다. --자세한 것은 10월 20일 내로 다시 상세히 정리하고, 전체적인 흐름으로 정리를 해 봅니다. 1.수산물품질관리 과목에서-농수산물품질관리법령상 기준으로 하여- (1) 품질인증-수산물 특산품 및 지리적 표시 등록 (2) 이력추적 관리 (3) 수산전통식품 및 KS 인증 (4) 친황경 수산물 중- 1) 유기 수산물 2) 유기 가공식품 3) 무항생제수산물 4) 활성처리제 비사용 2. 인증표시가 국가기관,지자체,시군 ,민간 인증제 등등 혼란 상태 임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이하 3가지로 국가 인증 공통 마크로 통합 시도 함. (1) 지리적 표시(PGI)--농수산물 지리적 표시 공통 국가 마크로 통일 함 (2) 전통식품 마크-전통식품을 하나로 국가 마크로 통함-부가가치세 등 면세 됨 (3) 품질인증 마크 -수산물.수산특산물 품질인증의 국가 마크 3. 품질인증(QUALITY SEAFOOD) 마크 (1) 개념: 상품화 할 때 시장 경쟁력이 있거나 산지의 유명도가 높아 차별화가 인정되어야 한다. (2) 수산물과 수산특산물로 ‘’구분‘’ 함 (3) 품질검사와 공장 심사 합격 제품에 인증 마크 인증 함 (--2년간 인증 후 갱신 등 하여야 함) (4) 수산물의 품질인증은 78개 1) 단순가공품 2) 해조류 3) 횟감용 4) 냉동수산물로 분류 (5) 특산물은 11가지 1) 조미가공품 2) 해조가공품 4. 전통식품(TRADITIONAL FOOD) 마크 (1) 개념 1) 전통성과 대중성이 있어 보전.계승. 및 발전이 필요한 것을 대상으로 한다. (2) 방법 1) 전통적인 방법으로 가공한 수산물 중 품질검사와 공장 심사를 합격한 제품에 인증을 한다. (3) 대상 품목은 47종이다. 1) 젓갈류(액젓,식해) 2) 죽류 3) 게장류 4) 전제품 5) 기타 ( 조미김,양념 장어 등) 2. 2017.09.15 일 1.지리적 표시 등록 -법 32조 (1) 도입 배경 1) 국제적인 지식재산권보호 움직임에 보다 국가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2) 우리나라의우수한 지역 특산품을 죽내외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3) 세계무역 -WTO.FTA 등-개방화 시대에 부응하는 수입 식품과의 품질차별화를 통한 경 쟁력 제고 이다. 4) 지역 특산품의 품질향상을 통한 지역 특화 산업으로의 자생력 향상 등 2. 법적 근거 등 (1) 농수산물품질관리법 제32조 (2) 수산물 및 수산가공품의 명성,품질 기타 특징이 본질적으로 특정되어야 한다. (3) 지역의 지리적 특성에 기인하는 경우 해당 수산물 및 그 가공품이 특정지역에서 생상 및 가공되엇음을 나타낸는 표시로 등록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3. 지리적 표시(PGI) 등록 절차 (1) 목적 지리적특성을 가진 우수한 수산물 또는 수산가공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이를 지역특화산업으로 육성하여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함이다. (2) 명성.품질 그 밖의 특징이 본질적으로 특정지역의 지리적 특성에 기인된 것일 것 . (3) 등록 절차 1)신청인의 신청-검토-심의(지리적분과위원회 등)-등록-사후관리 순서로 진행된다. 2) 신청 후 등록 까지는 접수일자 기준으로 처리기간이 ‘’1년‘’이다. 4. 수산물지리적 표시 등록 대상 품목 (1) 13품목 24호 1) 장흥 - 김 .매생이.키조개 2) 보성-벌교 꼬막 3) 완도 - 전복.미역.김.다시마.넙치 4) 기장-미역.다시마 5) 여수-굴 6) 남원-미꾸라지 7) 신안-김 3.2017.09.15 유기 식품 인증 1. 유기 식품 인증 (1) 도입 배경-WELL-BEING 대응 및 인체에 안전한 식품 공급 목적 (2) 법적 근거 - 친환경농어업 육성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 지원 법령 제 19조 (3) 인체에 유해한 화학적 합성물질 등 사용 금지,동물용의약품의 사용을 최소화 목적 및 수서 생태계의 환경 보전 등을 위한 생산 시절 등 관리 2. 유기인증 제품의 분류 (1) 유기-인증기준 준수,허용물질최소사용.생산.제조,가공,취급주의 (2) 친환경농어업 육성 법 규정 준수 (3) 양식산 대상 1) 유기수산물-김,굴,홍합,미역,다시마 2) 유기가공식품-유기수산물의 제조,가공,유통 식품이 대상 (4) 양식산 세부 대상 1) 무항생제 수산물-넘치,무지개송어,뱀장어,전복,흰다리 새우 2) 활성처리제 비사용 수산물-김 ,미역,마른 미역, 다시마, 마른김, 톳,간미역 3) 취급자 인증-유기인증품 포장단위의 변경 및 재포장 제품 적용 (5) 유기식품-조미구이김-유기가공식품(ORGANIC) 3.유기인증 절차 신청-검토-심사-현장 방문 등 - 각 국립품질관리원 각 지원인증-사후관리 등 4.2017.09.15 일 수산물 이력추적제도 1. 개념 및 목적 (1) 어장에서 식탁까지 안전한 이력관리 체계를 구축하여 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한 수산식품을 소비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2) 이는 원산지 표시 제도와 다른 개념이다. 2. 법-수산물유통법 제 27조 3. 절차 (1) 생산단계-누가,어디서,사료는,생산은,약품은?? (2) 가공단계-원재료?,누가,어디서,어떻게?,가공? (3) 유통단계-누가?어떤수단으로? 저장은? 운송은? (4) 소매단계 -무엇을? 언제? 얼마만큼 소매? 5.2017.09.15 원산지 표시제도 1. 수산물.수산가공품의 원료에 표시 2.알권리,국산,수입산 구분하여 국내 어업인 보호,공정한 거래질서 확립,자국 상품 보호 등 3. 이식용 수산물 원산지 포시 기준 (1) 이식 ,이동에 따른 원산지 표시 세부기준 1) 이식용 수산물이란 수산동식물의 번식을 위하여 이식승인을 받고 외국으로부터 수입하는 수산물로서 검역에 합격한 수산물을 말한다. 2) 원산지 판정기준--15년 기출 -판정기준에 미달시는 출생국을 원산지로 표시하여야 한다. 품 종 명 | 양식 기간 | 원산지 표시 | 미 꾸 라 지 | 3개월 이상 | 국산 또는 국내산 | 흰다리새우,해만가리비 | 4개월 이상 | 국산 또는 국내산 | 뱀장어 및 기타 어.패류 | 6개월 이상 | 국산 또는 국내산 |
4.음식점에 수산물 원산지 표시-원산지 둔갑 방지 (1) 표시대상-12품목 1) 넙치,조피불락(우럭),참돔,미꾸라지,뱀장어,낙지,명태,고등어,갈치,오징어,꽃게,참조기 2) 생식용,구이용,탕용 등으로 표시 3) 2012년 04.11부터 시행 함. 6. 수산물 안전성 조사 1. 수산물안전성 조사 법 체계 (1) 생산단계-농수산물품질관리법,해수부 및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소관 (2) 통관단계-식품위생법,식품의약품안전처 소관 및 관세청 (3) 유통단계- 식품위생법 ,식품위약품안전처 소관 등 2.조사 결과 조치-16년 기출 (1) 부적합시 관계기관 등 통보-신속히 통보 후 유통 차단 등 (2) 회수 및 폐기 등 3.수산물안전성 조사 항목 물질별 | 항목-성분별 | 중금속 | 총수은,메틸수은,납,카드뮴,비소 등-15년 기출 등 | 유기물질 | 다이옥신,tbt, co 등 | 항생물질 | 옥시테트라사이클린,옥시린산,설파제,엔로폴록사신 등 | 미생물 | 대장균,세균수,장염비브리오,황색포도상구균,이질균 등 | 독 소 | 패류독소-16년 기출,복어독,아플라톡신 B1, 독극물 등 | | | 방사능 | 131I,CS | 금지약품 | 클로람페니콜,말라카이트그린,니트로푸란 대사물질 및 제제,DES,MPA 등-16기출 | 잔류농약 | 엔도설판,디토폴,멜타메쓰린 등 | 일반성분 | 수분,염분,전질소,아미노질소 등 | 기타물질 | 프라지관텔,메라민,산가,과산화물가,이산화황,타르색소,히스타민 등 |
4.조사대상 69종 어류 41,패류9,갑각류5,연채류6,해조류 8 등 5. 조사단계 및 어업별 (1) 생산단계 : 해면 19종,내수면 8종 (2) 저장단계 : 원양어업 12종 93) 출하 전 단계 : 연근해 32종/비식용 1종(일본산 가리비 패각) 1. 소금의 품질검사 1. 천일염 품질검사-10단위 (1) 식용천일염-식품의약품안전처 및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2) 비식용천일염-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소금산업진흥법 소금검사업무규정 2.천일염 이력제--2016년 사업 시작 등-N/W망 구성으로 홍보 및 판매 등 (1) Sun dried Salt Traceability System-천일염 이력제 이는 이력 정보 기록 등으로 안전성 담보 제도 임 3. 소금 품질검사 종류 (1) 서류검사-전남 신안군 1) 국내산 및 수입산도 검사 대상 (2) 관능검사 (3) 정밀검사-국내산(염전),3년마다 1회 4. 소금 정밀검사 항목 및 기준 구분 | 항목 | 기준 | 일반성분 | 염화나트륨 | 70이상 | 총염소 | 40이상 ?? | 수분 | 15이하 | 불용분 | 0.15이하 | 사분 | 0.2이하 | | | | 유해성분 | 황산이온 | 5.0이하 | 납 | 2.0이하 | 비소 | 0.5이하 | 카드뮴 | 0.5이하 | 수은 | 0.1이하 | 페로시안이온 | 불검출 |
2.수산물품질관리사의 역할과 정부 정책 방향 가.수산물품질관리사 법 106조 이하 검토 1.수산물품질관리사 시험 및 부정처리사 엄벌-2년 등 2.수품사의 양성을 위한 공무원 수산직 3점 가산점 3. 산지경매사 시험 일부 면제함 4.양식 수산물재해보험 손해평가인 자격 부여 등 나. 정부 수산식품 정책 방향 검토 1.국정정책으로 양식업의 고도화 및 수산물의 수출전략 산업화 2.수산물해외시장 개척 등 지원 3. ‘’‘김’‘의 글로벌 식품화 방안 마련 및 지원 (1) 수출 품목의 2위가 ‘’김‘’ (2) 게속 확대화 정책 실시 1) 생산량의 40% 수출 함 2) 전 세계적인 김 수요기반 확대 정책 지원 3) 글로벌 푸드화 기반 마련 등 4) 지속가능한 생산 증대환경 조성화 5) 단계별 품질위생관리 강화 방안 마련 등 6) 국제기준 선도-CODEX-국제기준 설정 및 우리식 김 명칭 확산화 방안 등 마련 7) 김 종자 산업 육성화 8) 탄력적인 생산 확대 화 방안 9) 김의 가공벨트 조성 방안 10) 판매 망 등 현대화 및 마켓팅 -김맥-김과 맥주 등 상품화 4. 김의 단계별 품질위생관리 강화 (1) 생산 전 단계-생산 해역 모니터링 강화 등 (2) 양식 단계-합동 단속반 등 운영 (3) 가공단계 - 자율적인 마른김 등급제 실시-국제인증 취득 지원 책 등 다. 질좋고 안전한 수산물 생산.공급 망 구축 1.안전성 강화-갈치,고등어 등 대중성 어종(70여종)에 대한 유해물질 안전성 검사 확대화 2.양식장의 유해물질 예방 및 관리-HACCP 확대화 방안 3. 수산물의 원산지 표시대상 확대화 및 단속 강화 4.수산물 이력추적 관리제 단계적 확대 등 5. 6단계를 4단계 실시 등 (1) 수산물산지거점유통센터(FPC) 확대 및 소비지 분산물류센터 건립 등 -유통법 49조 및 48조 6. 부산공동어시장 현대화 등 품질위생 제고 방안 마련 및 유통효율화 기반 조성 등 7. 김 산업이 서행안 종축 연안지역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지원 방안 등 -수산업의 고부가가치화에 기여 방안 3.수산물 및 수산식품의 기능성 성분 -부경대 교수 강의 자료 정리 가. 1. 오메가 -3 2. 타우린 3. 해조류의 식이섬유 4. 오징어 나.수산물의 성분과 영양 -어패류의 성분 성 분 | 특 성 | 수 분 | 60`90%,축육보다 평균 함유량이 높아 낮은 저장성으로 부패등 방지를 위해서 저온 저장 방법 등이 필요하다. | 단백질 | 필수 아미노산이 다량 함유하지만,콜라겐이 적어 쉽게 선도저하가 된다. | 지질 | DHA,EPA 등 다량 함유,피하조직과 내장에 만히 분포,산한 전 어체에 지질이 많아 맛이 좋음 | 탄수화물 | 어류에는 소량 함유,글리코켄 형태로 검출되고,굴 및 조개류에 많다. |
다. 해조류의 주요 성분-식이섬유(Dietary fiber) 구 분 | 특 징 | 탄수화물.한천 | 홍조류(우뭇가사리,꼬시리기)추출, 양과자,젤리,의약품 등에 활용 됨 | 알기산 | 갈조류-미역,다시마,등 추출 | 카라기난 | 홍조류의 진두밭,동가시리 등-식빵,과자류에 활용 | 무기질 | 요오드,망간 등 다량 함유 |
라. 수산물의 영향 순위 1.단백질-가장 많이 들어 있고 필수 아미노산 함량이 높음 2. 타우린-새우,오징어,문어 등에 함유,-아미노산,콜레스테롤 출적 저하로 성인병 예방 효과 3. EPA, DHA -고도의 불포화지방산으로 심장병,뇌세포 기능 개선 마. 수산물의 특징 시기별 수확 가능의 변동이 심하여 비계획적인 생산성,수분의 다량 함유로 부패 문제 등 바.수산물의 사후 변화 및 신선도 저장 문제 검토-선도판정의 중요성 부각 4. 어패류의 선도판정 및 선도유지 방법 (1) 관능,물리,화학,세균학적인 방법 (2) 저온 저장법-냉각저장법(-1도씨정도),동결저장법 등 활용 된다. 5. 온도 정리 (1) 규정 상 냉장온도를 일반적으로 10도씨 정도를 보지만 규정은 없다. (2) 동결은 -18도씨 이하로 장기적 저장에 사용된다. 6. 동결식품의 목적 : 품질변화 최소화,장기 보존 적합을 위한 것이다. 가. 절차는 (1) 전처리 (2) 급속동결 (3) 포장 (4) -18도 이라로 저장 및 유통 나. 동결식품의 특성은 (1) 저장성 우수-1년 이상 유지 (2) 편의성 우수-즉석 조리 가능 (3) 안전성 우수--18도씨 이하에서 처리 등 7. 수산식품의 가공의 목적 등 (1) 목적 1) 저장성 부여-가공을 하면서 수분 등 부패 성분을 줄인다. 2) 부가 가치 향상-가공 단계 마다 수익성의 향사이 된다. 3) 유효 성분 이용-비 가식이라도 어분 등으로 하여 비료 등에 활용한다. 4) 운반 및 조리 용이-목적에 부합하는 가공으로 운반 부피 등 줄어든다. (2) 어체 및 어육의 처리 공정-라운드,세미드래스,드래스,팬드래스,필렛 등 8. 건제품의 가공 원리 수산물의 전조(태양열,인공열 등)-수분제거-수분활성도 낮춤-미생물생육 억제-독특한 품미 및 조직감 부여 등 9. 염장품은 소금의 삼투압을 이용하여 수분활성도를 낮추어 저장성을 향상시키는 가공 방법이다. 10. 훈제품의 가공원리 : 알데히드류,패놀류 함유의된 연기에 어패류를 쐬어 건조하여 품미와 보존성을 부여하는 것이다. 11. 연제품(어묵) (1) 가공원리 1) 어육에 2~3%의 소금을 혼합 2) 고기갈이 3) 고기풀 4) 가열 5) 어묵(탈력있는 겔) (2) 냉동 고기풀(냉동 연육,수리미) 1) 수세한 어육에 설탕,솔비톨,중합인산염을 첨가하여 급속 동결시킨 연제품의 원료이다. 2) 잡어 및 명태 등이 사용된다. 3) 불가식부 일괄 처리되어 사용이 편리하다, 4) 연제품 제조 공정 단축.전처리 공정 생략 5) -18도씨 이하 동결 저장을 장기 저장 가능하다. (3) 연제품의 제조 공정 1) 채육-수세-고기갈이-성형-가열-냉각-포장 2) 냉동고기풀-해동-고기갈이-성형-가열-냉각-포장(전처리과정이 생략 된다.) 11. 발효식품=염심품 여패류 근육 내장과 식염 첨가로 부패 억제 및 분해,숙성시켜 독특한 풍미를 가지는 전통식품이다.종류는 젓갈,액젓,식해 등이 있다. 12.해조 가공품은 한천,알긴산,카나리아 등이 있다. 13.품질인증 수산물의 판매 증대를 위한 요건 (1) 원료 차별화-문화,역사 등 강조하여 차별화 시킨다. (2) 제품 다양화-식사 및 간식 등 다양화게 제품화 시킨다. (3) 브랜드 인지도 향상 전략 추진 필요-광고 전략을 선택한다. |
첫댓글 국가직 공무원
1. 시험 : 2019.04.06일
2. 접수 : 2019.02.20~23일 까지
지방직 공무원
1. 시험 일 : 2019.06.15일 토요일
2. 접수 일 : 2019.04.01~05일 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