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4장
視之不見, 名曰夷, 聽之不聞, 名曰希, 摶之不得, 名曰微. 此三者, 不可致詰, 故混而爲一. 其上不皦, 其下不昧, 繩繩兮不可名. 復歸於無物, 是謂無狀之狀, 無象之象. 是謂惚恍, 迎之不見其首, 隨之不見其後. 執古之道, 以御今之有, 能知古始, 是謂道紀.
(도道) 그것을 살펴보지만, (또렷하게) 살펴지지 않는데, (따라서) 이름 지어 불러 “이(夷; 유위로부터 떨어진 틈새가 있는 바)”라고 하고, 그것을 들어보지만, (뚜렷하게) 들리지 않는데, (따라서) 이름 지어 불러 “희(希; 유위로부터 떨어진 거리가 먼 바)”라고 하며, 그것을 손으로 만져보지만, (또렷하게) 알아차려지지 않는데, (따라서) 이름 지어 불러 “미(微; 유위가 어렴풋하고 어슴푸레한 바)”라고 한다. (이른바, 이夷·희希·미微) 이 세 가지는 (또렷하고 뚜렷한 형태와 상태로 나누거나) 가릴 수 없다는 뜻이다. 왜냐하면, (도道는 형이상자形而上者로서, 이 세 가지가) 뒤섞여져 일삼아진 하나(一; 自然·性·德·無爲·命일 따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道는) 그 위가 (유위에 대해) 밝지 않고, 그 아래가 (무위에 대해) 어둡지 않으며, 끊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형태와 상태를 가지는 바가 있는 사물처럼 또렷하고 뚜렷하게) 이름 지어 부를 수 없다. (따라서 지금의 임금은 또렷하고 뚜렷한 형태와 상태를) 가지는 바가 없는 (그) 물건을 되돌이키고, (그것으로) 되돌아가야 하는데, 이것은 이른바 (또렷한) 상태를 가지는 바가 없는 상태가 되어야 한다는 뜻이고, (뚜렷한) 형태를 가지는 바가 형태가 되어야 한다는 뜻이다. 이것은 이른바 (유위가) 어렴풋한 형태가 되어야 한다는 뜻이고, (유위가) 어슴푸레한 상태가 되어야 한다는 뜻인데, (따라서 세상이 임금의 다스림) 그것을 맞이해 보지만, 그 시작점을 알아차릴 수 없게 되고, 그것을 좇아가 보지만, 그 끝점을 알아차릴 수 없게 된다. (이른바, 지금의 임금은 아주 먼) 옛날의 도道를 (잘) 붙잡음으로써, 지금의 (세상이 일삼는) 유위를 (잘) 다스려야 하는데, (이른바 아주 먼) 옛날의 (도道를 잘) 알아차림으로써, (지금의 세상이 일삼을 무위의) 시작점을 잘 일삼아야 하는데, 이것이 이른바 도道의 (그물을 펼치는) 굵은 밧줄이 된다는 뜻이다.
夷, 平也. 有物, 則有形, 有形, 則有迹, 而有高下長短厚薄之不齊. 無形, 無迹, 則無高下長短厚薄之可言矣. 故曰夷希. 猶言閒闊也.
이夷는 (저절로 그러한 바自然·道·性·無爲·德·命에 대해) 가지런하다는 말이다.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물건은 (일부러 일삼는) 모양새(形; 形象)를 가지는 바가 있고, (일부러 일삼는) 모양새를 가지는 바가 있는 물건은 (일부러 일삼는) 발자국(迹; 形狀)을 가지는 바가 있는데, 따라서 높게 하거나 낮게 하고, 길게 하거나 짧게 하며, 두텁게 하거나 얇게 하는 바가 (저절로 그러한 바에 대해) 가지런하지 못한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라고 말해질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는 물건은 일부러 일삼는) 모양새를 가지는 바가 없고, (일부러 일삼는) 발자국을 가지는 바가 없는데, 따라서 높게 하거나 낮게 하고, 길게 하거나 짧게 하며, 두텁게 하거나 얇게 하는 바가 (저절로 그러한 바에 대해 가지런한 바라고) 말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노자는) 일컬었다. “이夷, 희希.” (유위有爲로부터 떨어진) 틈새가 있고, (떨어진) 거리가 멀다는 뜻이다.
搏, 手觸也. 詰, 辨也. 形而下者, 分爲萬物. 形而上者, 則一而已矣.
박搏은 손으로 만져서 상태形狀를 알아차린다는 말이다. 힐詰은 (형태形象와 상태形狀를 또렷하고 뚜렷하게 나누어) 가린다는 말이다. (이른바) 형이하자(形而下者; 또렷하고 뚜렷한 형태와 상태를 가진 바로서, 아래에 자리하는 바)는 (형이상자形而上者가) 나뉘어 일삼아진 만물이다. 형이상자(形而上者; 어렴풋하고 어슴푸레한 형태와 상태를 가진 바로서, 위에 자리하는 바)는 하나(一; 道·自然·性·德·無爲·命)일 따름이다.
視之不見. 無形也. 聽之不聞. 無聲也. 搏之不得, 無軆也. 此之, 謂不皦. 皦, 明也. 顯也.
(따라서 도道) 그것을 살펴보지만, (또렷하게) 살펴지지 않는다. (도道는 또렷한) 형태를 가지는 바가 없기 때문이다. 그것을 들어보지만, (뚜렷하게) 들리지 않는다. (도道는 뚜렷한) 소리를 가지는 바가 없기 때문이다. 그것을 손으로 만져보지만, (또렷하게 알아차려지는 바가) 얻어지지 않는다. (도道는 또렷한) 상태를 가지는 바가 없기 때문이다. 이것이 이른바 “불교不皦”(의 뜻)이다. (이른바) 교皦는 (무위無爲에 대해) 밝다는 말이다. (이른바, 도道는 자신을 일부러 일삼아 나타내는 바가 아니다. 도道는 저절로 그러하게) 드러나는 바이다.
其形, 雖不可尋. 而其, 理. 則昭然. 已著. 故曰不昧. 程子曰, 冲漠無朕. 萬象, 森然. 已具. 沖漠無朕, 卽不皦也. 森然, 則不昧矣. 其上其下, 變文以互言, 實非有二致也.
그 (도道의) 형태와 상태는 (또렷하고 뚜렷하게) 알아차릴 수 없다. 왜냐하면, (도道) 그것은 (본래 저절로 그러하게 무위無爲한) 이치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道는 무위無爲에 대해) 밝다. 저절로 그러하게. 따라서 (도道는 자신을 일부러 일삼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저절로 그러하게) 드러낸다. 따라서 (노자는) 일컬었다. “(무위無爲에 대해) 어둡지 않다.” (따라서 중국 송宋나라의) 정이(程頤, 1033~1108)는 (『근사록近思錄』 「도체道體」에서) 일컬었다. “충막무짐(冲漠無朕; 도道는 유위有爲가 텅 비고, 조용하며, 유위有爲의 조짐을 가지는 바가 없다), 만상, 삼연. 이구(萬象, 森然. 已具; 따라서 만물은 무성해지게 된다. 저절로 그러하게. 왜냐하면, 만물은 이미 본래 저절로 그러하게 무위無爲한 도道를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충막무짐冲漠無朕은 곧 “불교(不皦; 유위有爲에 대해 밝지 않다)”의 뜻이다. 삼연森然은 곤 “불매(不昧; 무위無爲에 대해 어둡지 않다)”의 뜻이다. (이른바) “그 위~”와 “그 아래~”는 문장의 형식을 달리함으로써, 대구를 이루지만, 실제로, (그 뜻은) 두 가지에 이르는 바를 가지지 않는다.
吳幼淸曰, 其上其下, 猶易, 言形而上形而下. 其義, 亦通.
(중국 원元나라 때) 오징(吳澄, 1249~1333)은 (『도덕진경주道德眞經註』 제13장 주註에서) 일컬었다. “‘그 위’와 ‘그 아래’는 『역경易經』 (「계사전繫辭傳」)이 일컬은 형이상자形而上者와 형이하자形而下者를 뜻한다.” 그 의미가 또한 통한다.
繩繩, 不絶也. 道之, 在天下. 古今. 未始有一刻息也. 其, 精華功用, 旣已散見於萬物矣. 而其, 不見不聞不得者. 終亦不可得而名也.
승승繩繩은 (이어진 채) 끊어지지 않는다는 말이다. 도道는 천하에 자리한다. 아주 먼 옛날로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한순간도 (이어지는 바가) 멈추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를 비롯한 적이 없었다. (도道) 그것은 (무위無爲가) 면밀하고, (무위無爲가) 빛나는 공능(功能; 自然·性)이자, 작용(用; 德·命)인데, 따라서 만물에 흩어져 드러날 따름이다. 따라서 (도道) 그것은 (살펴보지만, 또렷하게) 살펴지지 않고, (들어보지만, 뚜렷하게) 들리지 않으며, (손으로 만져보지만, 또렷하게 알아차려지는 바가) 얻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끝끝내 (형태와 상태를 가지는 바가 있는 사물처럼 뚜렷하게) 이름 지어 부를 수 없는 것이다.
故曰復歸於無物. 迎之不見其首, 莫知其始也. 隨之不見其後, 莫知其終也.
따라서 (노자는) 일컬었다. “(지금의 임금은 또렷하고 뚜렷한 형태와 상태를) 가지는 바가 없는 (그) 물건(物; 道)을 되돌이키고, (그것으로) 되돌아가야 한다.” 영지불견기수迎之不見其首는 (그 임금의 다스림을 맞이해 보지만) 그 시작점이 알아차릴 수 없다는 말이다. 수지불견기후隨之不見其後는 (그 임금의 다스림을 좇아가 보지만) 그 끝점을 알아차릴 수 없다는 말이다.
先乎天地, 而此, 道也. 後乎天地, 而亦此, 道也. 况古今乎! 是以執古之道. 可以御今. 而不悖. 所謂古之道者, 無爲而已矣. 紀者, 網之有維也.
하늘과 땅(이 생겨난 때)보다 앞서 자리했던 바, 이 도道이다. 하늘과 땅(이 생겨난) 뒤에도 자리하는 바, 또한 이 도道이다. (따라서 사람이 생겨났던 아주 먼) 옛날과 (자리하는) 지금(의 때)에 있어서야! 따라서 (지금의 세상이 일삼는 바가 있는 유위有爲를 다스리는 데 있어서, 임금은 아주 먼) 옛날의 도道를 붙잡아야 한다. (따라서 임금은 아주 먼 옛날의 도道를 붙잡는 바) 그것으로써 지금(의 세상이 일삼는 바가 있는 유위有爲)을 다스리는 것이 옳다. 따라서 (지금의 세상이 일삼는 바가 있는 유위有爲를 다스리는 데 있어서, 임금은 아주 먼 옛날의 도道를) 어그러뜨리지 말아야 한다. 이른바, (집고지도執古之道, 이어금지유以御今之有는) “(아주 먼) 옛날의 도道는 무위無爲할 따름이다”라는 뜻이다. 기紀는 그물이 (엮이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굵은 밧줄이다. 〔홍석주는 노자가 일컬은 “집고지도執古之道, 이어금지유以御今之有”를 ‘집고지도執古之道, 가이어금지유可以御今之有’로 해석하고 있다〕
儒者之道, 未嘗不師古也.
유학儒學이 일삼은 도道는 (아주 먼) 옛날(의 도道)을 스승으로 삼지 않은 적이 (한 번도) 없었다. 〔이 내용은 전후 맥락에 맞지 않는다. 잘못 기술되었거나, 이후의 내용과 연결된 부분이 누락된 듯하다〕
然五帝三王, 質文, 相變. 大抵日趨於有爲矣. 老氏, 欲以太古之無爲御衰周靡文之俗. 故此章, 深言至道之精, 而結之以此.
이른바, (황제黃帝·전욱顓頊·제곡帝嚳·요堯·순舜의) 오제五帝와 (우禹·탕湯·문文의) 삼왕三王이 다스리던 시대가 지나자, (세상이 일삼던) 속바탕(質; 道·自然·性)과 겉무늬(文; 德·無爲·命)가 (본래의 모습이) 바뀌는 바를 더불어 하게 되었다. 이른바, (세상이 일삼던 속바탕과 겉무늬가) 나날이 유위有爲에게 달려가게 되었다. (따라서) 노자는 아주 먼 옛날의 무위無爲로써, (속바탕이) 사그라들던 주周나라와 겉무늬가 스러지던 풍속을 다스리고자 했다. 따라서 이 장은 “도道(의 속바탕과 겉무늬)는 (무위無爲가) 면밀하다”는 것에 대해 깊이 있게 말하고, 이른다.
첫댓글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모두 저의 부족함 탓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