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 점심을 먹고나서 느긋하게 이촌동에 있는
국립중앙박물관에 갔다.
그곳에서는 프랑스 오르세미술관展이 열리고 있다.


다행이 시간과 여유 있어 그런 전시에 갈 수 있음을 감사하며
5월의 눈부신 햇살 속과 싱그런 초록그늘(綠陰)을 밟으며 갔다.


프랑스 국립 오르세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는 소중한 작품들을 한국에서 전시하는
귀한 기회, 인상주의에서 태동하거나 혹은 그 반동으로부터 일어난 예술사의
새로운 움직임을 집중 조명하는 전시로 소문났다.
클로드 모네의 후기 작품에서부터 폴 고갱, 빈센트 반 고흐, 폴 세잔과 같은
후기 인상주의 화가들과 세기말적 시각을 반영한 상징주의 화가들의 작품들을 만날 수 있으니
호기심 가득한 나는 오늘도 새로움에 대한 기대로 설랬다.



전시장까지 가는 길의 정경은 내 흥분을 가라앉히는데 족했고
오늘이 석가탄일에 공휴일이라서 사람들의 행렬이 끝없이 이어지는데
젊은이가 많아 든든했다.



약속이나 하듯 똑같은 계단과 똑같은 길을 걸으니 자연 카메라의 초점도 같고
시선도 여전히 담쟁이의 초록으로 향하는데
인생으로 치면 청춘이라 할까...
기운차고 희망있고 기개 넘치는 중년으로 보이기도 하니
싱그런 초록빛을 통해 나는 기를 받으려 심호흡을 한다.





입장료에 일반은 12,000원이지만 경로는 6,000원
오후 1시의 전시장 입구는 滿員이고 서로 사진 찍느라 부산한데
나도 그 틈에 끼어 사진 한 장을 찍었다.




오디오를 빌리는 줄이 제법 길어 이번 전시의 인기도를 짐작했다.


안에 들어가 그림을 보는데 어찌나 사람이 많은지 서로 부딪치기 보통이고
어둠 속에서 메모를 하자니 그도 고역....그런데 옆의 학생이 책자를 보면서
그림을 감상하는 게 보기 좋아 나도 전시장에서 벗어나가 책자를 사러 나갔다.
오디오를 빌리는데 3,000원이면 8,000원 주고 책을 사는 게 훨씬 이익.
귀로 듣는 것은 모두 잊혀지지만 책을 사면 남는 게 있으니 그쪽이 좋아
책자를 샀더니 무슨 이득이라도 본듯 기분이 좋다.
더구나 책을 훌어보고 전시장에 들어가니 효과적이다.

클로드 모네(Claude Monet)의
'비 온 후 햇빛이 비치는 베퇴유의 센 강'
1879년에 그린 켄버스 油彩.
****
클로드 모네에게 1879년에서 1880년 사이의 겨울은 매우 가혹했다.
이 때 가장 암울한 분위기의 작품들이 그려졌는데 1879년 9월 아내 카미유가 세상을 떠났기 때문이다.
인상주의 미학의 핵심이 되는 '효과'는 인상주의자들이 자신의 작품을 지칭하기 위해
매우 자주 사용하던 표현이다. 그들은 기후나 빛의 효과 같은 현상을 포착하여
자연의 한 순간을 화폭에 옮기고자 했다.


클로드 모네의 '노르웨이식 나룻배'
세 소녀가 낚시를 하는 있는 것은 클로드 모네의 지베르니 저택에서 멀지 않은 엡트 강일 것이다.
그녀들은 모네의 두 번째 부인 알리스의 딸들도, 서 있는 소녀가 막내 제르멘이고
수잔이 왼쪽에, 블랑슈가 오른쪽에 앉아 있다. 모네는 이 의붓딸들과 가깝게 지냈으며
특히 수잔과 블랑슈는 모네의 곁에서 그림을 그리곤 했다.

클로드 모네의 대표적인 그림 야외에서 그린 인물
'오른쪽으로 몸을 돌린 양산을 쓴 여인'
1886년 여름, 모네는 장식적인 성격으로 짝을 이뤄 서로 대칭되는 작품 두 점을 그린다.
이 두 작품의 모델은 모네의 두 번째 부인인 알리스의 딸 수잔 오셰데이다. 수잔은 특히
그가 즐겨 그리던 모델이었는데, 이 작품에서처럼 혼자 모네의 모델이 되어 주기도 했다.
수잔이 서른 살의 나이에 일찍 세상을 떠나자 그는 깊은 슬픔에 잠기기도 했다.

'왼쪽으로 몸을 돌린 양산을 쓴 여인'

에드가 드가(Edgar Degas)의 '쉬고 있는 두 명의 발레리나'

피에르 오귀스트 르누와르(Pierre Auguste Renoir)
'조스 베르넹 젠 부인과 아들 앙리'
1910년, 오귀스트 르누아르는 베르뎅 젠家의 두 형제 화상 조스와 가스통으로부터 의뢰를 받아 이 작품을 그렸다.
초상화가 그려지던 시기에 이제 갓 세 살이 된 어린 앙리는 초상화 포즈를 잡고 있던 당시 화가의 모습에 깊은
감명을 받았던 듯하다. 수년이 지난 후 그는 당시의 일을 떠올리며 이렇게 이야기한다.
"그의 시선에서 얼마나 강한 기운을 느꼈는지는 아무도 상상할 수 없을 것이다. 그림을 그릴 때 그는 자주
눈을 깜빡이며 자신의 그림을 전체적으로 판단하려 했다. 이럴 때면 매서운 그의 시선이 너무도 예리하여
차마 그를 계속 바라볼 수 없을 정도였다. 예리한 칼날이 마치 내 눈을 뚫을 기세로 쏘아보는 느낌이었기 때문이다."

빈센트 반 고흐(Vincent Van Gough)의
'별이 빛나는 밤'
뉴욕현대미술관 소장

폴 세잔(Paul Cezanne)의 '양파가 있는 정물'

카루로스 뒤랑(Carolus Duran)의
'앙포르티 후작 부인'

조반니 볼디니(Giovanni Boldini)의
'샤를 막스 부인'

오딜롱 르동(Odilon Redon)의
'감은 눈'

에밀 프리앙(Emile Friant)의 '그림자'

앙리 루소(Henri Rousseau)의 '뱀을 부리는 여인'

이럭저럭 두어 시간이 걸렸다.
이밖에도 오스망의 새로운 도시계획으로 들어선 大路와
건축물들과 화폭에 담신 파리인들의 삶의 모습들
근대성을 상징하는 렌즈에 담긴 에펠탑 등...
170여점이나 되는 작품을 다 보지는 않았다.
그러니까 그림(회화)만 감상하는 거로 했는데도
오래 걸렸다. 어쨌든 좋은 시간이었다.
전에 루블박물관에 가서도 무얼 보고 왔는지 모를 정도의 감상보다
오히려 이번이 유효했다. 차분하게 감상할 수 있었으니 말이다.

전시장에서 벗어나 뒤돌아보니 멀리 남산의 서울타워가 보인다.
반갑다.
서울의 명물인 서울타워도 파리에서 전시가 열린다면
우리나라 상징물로 당연히 등장해야할 존재.
갈증이 난 몸을 참고 집에까지 오느라 내 몸이 고생께나 했다.
뜨거운 커피 한 잔이 이처럼 내 몸을 녹여주고 피로를 풀어주다니....
커피잔에 경의를 표하며 고단한 몸을 옆으로 뉘였다.






첫댓글 권사님 다양하고 예쁘게 잘 담으셨어요. 피사체 구도가 다양해서 너무 좋아요. ^^
고맙습니다. 다 선생님 덕분입니다. ^^
권사님 사진과그림 그리고 글까지 많은 도움 되어 잘보고감니다 건강 하세요.
고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