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한국식품정보원 교육훈련팀입니다!
9/13일 각종 기술사, 기사, 산업기사의 실기시험 접수가 시작되는 날인데요,
오늘은 바이오 및 식품미생물 관련 분야에 유용한 "바이오화학제품제조 산업기사" 교육과정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많은 분들에게 생소할 수 있는 이 자격증, 대체 무엇일까요?
<바이오화학제품제조 산업기사(실기) 개요>
*참조: 큐넷 http://www.q-net.or.kr/crf005.do?id=crf00505&gSite=Q&gId=&jmCd=2570&examInstiCd=1
시험일정
구분 | 필기원서접수(인터넷)(휴일제외) | 필기시험 | 필기합격 (예정자)발표 | 실기원서접수(휴일제외) | 실기시험 | 최종합격자 발표일 |
---|---|---|---|---|---|---|
2021년 정기 산업기사 3회 | 2021.07.13 ~ 2021.07.16 | 2021.08.08 ~ 2021.08.19 | 2021.09.01 | 2021.09.14 ~ 2021.09.17 | 2021.10.16~2021.10.29 | 2021.11.26 |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
② 관련학과 : 대학 및 전문대학의 생명공학, 바이오공학 관련학과
③ 시험과목
- 필기 : 1.배양준비 2.배양 및 회수 3.바이오화학제품 품질관리 4.바이오화학제품환경·시설관리
- 실기 : 바이오화학제품 미생물 배양 및 분석실무
④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 실기 : 복합형[필답형(2시간, 50점), 작업형(2시간 정도, 50점)]
⑤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출제기준(실기)
직무분야 |
화학 |
중직무분야 |
화공 |
자격종목 |
바이오화학제품제조산업기사 |
적용기간 |
2019.1.1.∼2021.12.31. | |||
○ 직무내용 : 생물체 또는 생물체의 기능을 이용하여 균주보관·관리, 배지조제, 멸균, 배양, 정제 등의 공정을 거쳐 범용바이오화학소재, 특수바이오화학제품 등을 제조하는 직무이다. ○ 수행준거 : 1. 지속적이고 동일한 배양결과물을 획득하고, 미생물 계량을 위한 원료·중간산물·목적물을 보관하기 위해 동결건조, 동결건조 미생물배양, 오염여부 확인 등을 수행할 수 있다. 2. 배지조제작업을 위하여 저울 검·교정확인, 원료칭량 및 배양원료 제조 등을 수행할 수 있다. 3. 멸균 방법, 배지 멸균, 멸균 여부 확인 등을 수행할 수 있다. 4. 미생물을 배양용기에서 증식시키고 목적산물을 생산하도록 배양조건 및 배양기 확인, 배양기 운전 등을 수행할 수 있다. 5. 분리ㆍ정제의 원활한 수행을 위한 전처리 단계로, 생산된 제품을 회수하기 위하여 회수조건 확인, 균체 분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6.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최적화하기 위하여 품질관리 표준서 확인, 분석작업 수행, 분석결과 확인 등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7. 시설, 장비, 유틸리티 등을 관리하고 유지·보수하는 일 등을 수행할 수 있다. 8. 환경·안전점검을 위하여 안전교육, 예방점검, 사고대책수립, 환경관리대책수립 등을 수행할 수 있다. | ||||||||||
실기검정방법 |
복합형 |
시험시간 |
4시간 정도(필답형 : 2시간, 작업형 : 2시간정도) |
실 기 과목명 |
주요항목 |
세부항목 |
세세항목 |
바이오화학제품 미생물 배양 및 분석 실무 |
1. 균주보관
|
1. 동결ㆍ건조하기 |
1. 균주보관관리표준서에 따라 균주보관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2. 균주보관관리표준서에 따라 동결건조 작업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3. 균주보관관리표준서에 따라 보존될 미생물을 배양하여 동결건조를 준비할 수 있다. 4. 균주보관관리표준서에 따라 동결건조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
|
|
2. 미생물 배양하기 |
1. 균주보관관리표준서에 따라 미생물의 배양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2. 균주보관관리표준서에 따라 미생물을 액체배지와 고체배지에 접종하여 배양할 수 있다. 3. 균주보관관리표준서에 따라 미생물의 정상성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
|
|
3. 오염 확인하기 |
1. 배양작업표준서에 따라 냄새, 색깔, 거품상태 등 배양상태를 확인하여 오염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 2. 배양작업표준서에 따라 채취된 샘플을 현미경 검경을 통해 오염균 존재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3. 배양작업표준서에 따라 채취된 샘플을 고체배양법으로 오염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
|
2. 배양원료 준비
|
1. 저울 검ㆍ교정 확인하기 |
1. 배지조제작업표준서에 따라 배지조제 전용 저울의 상태를 사전에 점검할 수 있다. 2. 배지조제작업표준서에 따라 배지조제 전용 저울의 영점을 조절할 수 있다. 3. 배지조제작업표준서에 따라 검·교정 완료일지를 작성할 수 있다.
|
|
|
2. 원료 칭량 및 배양원료 제조하기 |
1. 배지조제작업표준서에 따라 필요한 원료를 준비할 수 있다. 2. 배지조제작업표준서에 따라 검·교정이 완료된 저울을 이용하여 각각의 원료를 칭량할 수 있다.
|
실 기 과목명 |
주요항목 |
세부항목 |
세세항목 |
|
|
|
3. 배지조제작업표준서에 따라 칭량일지를 작성할 수 있다. 4. 배지조제작업표준서에 따라 칭량된 각각의 원료를 순서에 의해 조제조에 투입할 수 있다. 5. 배지조제작업표준서에 따라 조제조에 투입된 각종원료의 혼합, 용해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6. 배지조제작업표준서에 따라 조제조에 투입되어서 용해된 원료의 혼합액을 pH, 온도, 액량을 통해 분석할 수 있다. 7. 배지조제작업표준서에 따라 원료용해액의 준비완료를 기록, 보고할 수 있다.
|
|
3. 배양시스템 멸균
|
1. 멸균 방법공유하기 |
1. 멸균작업표준서와 전 근무자의 현장상태 전달사항 및 인수인계에 따라 멸균기 운전의 주의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 2. 멸균작업표준서와 전 근무자의 인수인계사항에 따라 멸균기의 상태를 조사, 확인할 수 있다. 3. 멸균작업표준서와 전 근무자의 인수인계사항에 따라 멸균기의 이상상태를 정상화할 수 있다. 4. 멸균작업표준서에 따라 고압증기멸균법, 저온살균법, 간헐멸균법, 화염멸균법, 건열멸균법, 방사선멸균법, 여과멸균법, 가스, 액체를 통한 물리화학적 제거방법으로 멸균할 수 있다. 5. 멸균작업표준서에 따라 멸균기의 점검일지를 작성, 보고, 공유할 수 있다.
|
|
|
2. 배지 멸균하기 |
1. 멸균작업표준서에 따라 온도, 압력 등 배양기멸균조건을 확인할 수 있다. 2. 멸균작업표준서에 따라 멸균기와 발효기의 공멸균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3. 멸균작업표준서에 따라 멸균기를 가동하여 배지를 멸균할 수 있다. 4. 멸균작업표준서에 따라 배지멸균작업을 완료하고 일지를 작성할 수 있다. 5. 멸균작업표준서에 따라 배지멸균작업의 완료를 보고, 공유할 수 있다.
|
|
|
3. 멸균여부 확인하기 |
1. 멸균작업표준서에 따라 멸균완료된 배지의 무균시료를 채취할 수 있다. 2. 멸균작업표준서에 따라 무균채취된 시료액을 현미경 검경 또는 고체배양방법으로 오염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3. 멸균작업표준서에 따라 오염일지를 작성, 보고할 수 있다.
|
|
4. 배양
|
1. 배양조건 및 배양기 확인하기 |
1. 배양작업표준서에 따라 배양조건을 확인할 수 있다. 2. 배양작업표준서에 따라 배양에 이용될 장비의 정상작동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3. 배양작업표준서에 따라 배양기의 각종 계측기를 보정 및 제어할 수 있다.
|
|
|
2. 배양기 운전하기 |
1. 배양작업표준서에 따라 플라스크배양으로부터 종균배양기로 접종하고 배양할 수 있다. |
실 기 과목명 |
주요항목 |
세부항목 |
세세항목 |
|
|
|
2. 배양작업표준서에 따라 종균배양기로부터 생산용 배양기로 종균을 이송할 수 있다. 3. 배양작업표준서에 따라 배양기의 운전조건을 확인하고 운전할 수 있다. 4. 배양작업표준서에 따라 배양기의 정상운영 상태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5. 배양작업표준서에 따라 배양운전조건에 맞도록 운전조건을 관리할 수 있다. 6. 배양작업표준서에 따라 배양기 내로 투입할 각종 배지성분을 추가할 수 있다.
|
|
5. 회수
|
1. 회수조건 확인하기 |
1. 회수작업표준서에 따라 배양액의 성상을 파악할 수 있다. 2. 배양액의 성상에 따라 원심분리, 여과 등 균체 회수방법 선택할 수 있다. 3. 선택된 회수방법에 따라 운전조건을 도출할 수 있다.
|
|
|
2. 균체 분리하기 |
1. 회수작업표준서에 따라 균체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2. 회수작업표준서에 따라 분리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3. 회수작업표준서에 따라 균체분리 설비를 운전할 수 있다. 4. 회수작업표준서에 따라 균체분리 결과를 작성, 보고할 수 있다.
|
|
|
3. 생산물 농도 측정하기 |
1. 회수작업표준서에 따라 시료채취 및 전처리 방법을 파악할 수 있다. 2. 회수작업표준서에 따라 시료를 분석할 수 있다. 3. 채취된 시료를 회수작업표준서에 따라 생산물 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4. 회수작업표준서에 따라 생산물 농도측정 결과를 작성, 보고할 수 있다.
|
|
6. 품질분석
|
1. 품질관리 표준서 확인하기 |
1. 품질관리 표준작업지침서에 따라 시료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2. 품질관리 표준작업지침서에 따라 시료 측정항목을 확인할 수 있다. 3. 분석에 필요한 전처리 방법과 시료 처리시의 안전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
|
|
|
2. 분석작업 수행하기 |
1. 품질관리 표준작업지침서에 따라 분석기기 사용시 주의사항을 파악할 수 있다. 2. 품질관리 표준작업지침서에 따라 분석기기의 정상 가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3. 품질관리 표준작업지침서에 따라 정량을 위한 검량곡선을 작성할 수 있다. 4. 품질관리 표준작업지침서에 따라 시료를 분석할 수 있다.
|
|
|
3. 분석결과 확인하기 |
1. 품질관리 표준작업지침서의 내부규격에 따라 분석결과를 읽고 데이터를 정리할 수 있다. 2. 품질관리 표준작업지침서에 따라 통계처리 후 분석결과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다. 3. 품질관리 표준작업지침서에 따라 분석결과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다.
|
실 기 과목명 |
주요항목 |
세부항목 |
세세항목 |
|
7. 시설관리
|
1. 시설관리하기 |
1. 사업장배치도에 따라 설치된 시설물의 현황 및 흐름도를 파악할 수 있다. 2. 해당시설물에 대한 점검대상 범위와 세부항목을 선정할 수 있다. 3. 육안, 장비 등을 이용하여 점검대상의 이상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4. 시설물안전관리지침에 따라 이상이 발생한 시설물에 대한 개량, 보수, 보강 등 적절한 추가조치를 취할 수 있다. 5. 시설물관리대장을 작성할 수 있다.
|
|
|
2. 장비관리하기 |
1. 사업장에 사용 중인 장비의 현황 및 흐름도를 파악할 수 있다. 2. 해당장비에 대한 점검대상 범위와 세부항목을 선정할 수 있다. 3. 장비관리대장의 구입시기, 점검시기, 교체시기, 수리이력 등을 작성할 수 있다. 4. 장비관련 표준작업지침서에 따라 정기적으로 장비의 이상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5. 장비안전관리지침에 따라 이상이 발생한 장비에 대한 적절한 추가조치를 취할 수 있다.
|
|
|
3. 유틸리티관리하기 |
1. 사업장에 설치된 유틸리티의 현황 및 흐름도를 파악할 수 있다. 2. 유틸리티 점검시기, 교체시기와 같은 이력카드를 작성할 수 있다. 3. 장비관련 표준작업지침서에 따라 정기적으로 유틸리티의 이상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4. 유틸리티 안전관리지침에 따라 이상이 발생한 유틸리티에 대한 적절한 추가조치를 취할 수 있다.
|
|
8. 환경ㆍ안전점검
|
1. 안전교육하기 |
1. 환경ㆍ안전관리표준서에 따라 위험요소를 파악할 수 있다. 2. 환경ㆍ안전관리표준서에 따라 위험발생시 응급처치를 할 수 있다. 3. 작업표준서에 따른 환경, 보건, 안전관리 및 교육을 이수하고 그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4. 환경ㆍ안전관리표준서에 따라 위험물안전관리법, 유해화학물질관리법 등 법정안전기준을 파악할 수 있다.
|
|
|
2. 예방점검하기 |
1. 환경ㆍ안전관리표준서에 따라 고압설비의 안전밸브 작동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2. 환경ㆍ안전관리표준서에 따라 고온설비의 온도측정기의 오작동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3. 환경ㆍ안전관리표준서에 따라 산ㆍ염기 등의 위험물질 저장조의 누수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
|
|
3. 사고대책 수립하기 |
1. 환경ㆍ안전관리표준서에 따라 위급상황 발생시 응급조치를 할 수 있다. 2. 환경ㆍ안전관리표준서에 따라 이상발생시 비상연락을 할 수 있다. |
실 기 과목명 |
주요항목 |
세부항목 |
세세항목 |
|
|
|
3. 환경ㆍ안전관리표준서에 따라 위급상황 발생시 현장을 보존할 수 있다. 4. 환경ㆍ안전관리표준서에 따라 위급상황 발생시 주위 작업자에게 전파할 수 있다.
|
|
|
4. 환경관리대책 수립하기 |
1. 환경ㆍ안전관리표준서에 따라 사용된 미생물을 폐기할 수 있다. 2. 환경ㆍ전관리표준서에 따라 폐수 및 촉매, 촉매효소 등의 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다. 3. 환경ㆍ전관리표준서에 따라 소음 및 대기오염 요인을 파악하고 보고할 수 있다.
|
이처럼 바이오화학제품제조 산업기사는 생물체 또는 생물체의 기능을 이용하여
균주보관 및 관리, 배지 조제, 멸균, 배양, 정제 등의 공정을 거쳐
범용바이오화학소재, 특수바이오화학제품 등을 제조, 연구 및 품질관리분야의 전문인력 양성할 수 있는 자격증입니다.
또한 바이오화학제품제조 산업기사는
대학 및 전문대학의 생명공학, 바이오공학 관련학과, 식품(미생물) 관련 학과 학생 및 졸업자
바이오 및 식품 미생물 관련 업무 재직자 및 취업준비생
바이오 및 식품(미생물) 관련 고등학교 졸업자 중 해당 자격증에 관심있는 분들에게 추천드리는 교육입니다.
그렇다면 합격을 위한 교육일정을 알아볼까요?
<바이오화학제품제조 산업기사>
*교육시간: 1일 6시간(10:00~17:00)
*교육비: 200,000원
*교육일정
※서울교육장: 2021.10.03(일)
※대전교육장: 2021.10.08(금)
한국식품정보원에서 교육듣고 한! 번에 합격하세요~
식품기사, 식품산업기사 및 기타 자격증 과정안내는 아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