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통합론과 북한문학>
-교과서에 나오는 작가와 작품 정리-
*5대혁명가극(225)
: 피바다, 꽃파는 처녀, 밀림아 이야기하라, 당의 참된 딸, 금강산의 노래
*혁명성의 이념과 수령형상의 창조.
충성의 노래(김정일), 김일성 장군의 노래(리찬)
장편소설 : 닻은 올랐다(김정), 은하수(천세봉), 근거지의 봄(리종렬),
고난의 행군(석윤기), 백두산 기슭(현승걸, 최학수)-김일성 주인공
역사의 새벽길(이기영), 조선의 어머니(남효재)-김일성의 부모
<충성의 한길에서>총서 5편: 처 김정숙의 일생-유격구의 기수(천세봉),
사령부로 가는 길(천세봉), 광복의 해발(박유학)
그리운 조국산천(박유학) 진달래(리종렬)
송가문학 : 시-우리 당의 행군로(이용악), 밀림의 역사(박세영)
인민은 노래한다(집체작), 대동강에 흐르는 이야기(백인준)
시대에 대한 생각(정문향), 조국이 사랑하는 처녀(오재영)
*근대문학의 연구 대상(교과서 168-170까지)
: 소설문학, 시문학, 희곡문학으로 나눠 작가와 작품이 아주 많이 수록됨
*북한의 시문학
서정시- 잣나무(김순석), 형제의 땅에서(김북원)
서정시 평론가- 김명수는 내용중시, 리정구는 형식과 수사기교 중시
천리마 기수 전형 창조-단편소설: 당원(김북향), 백일홍(권정웅), 리윤영(진심)
서정시: 나는 강의 정복자(박호범), /평양(김영철), 당이 부르는 길에(김학연),
평화의 집(전초민), 이른 아침(박석정), 나의 거리(김철), 평양역(김상오)
/-평양을 중심으로 도시건설, 문화적 근대성 표출
/발자국(김병두), 천리마 첫 뜨락또르(최진용), 눈 온 아침(신진순),
인사(김응하)/-농촌의 삶의 변화
/행복한 언덕(조령출), 비단(김광섭), 바다의 천리마(한진식) 파견장아,
너와 함께(김영철), 나는 바다를 막는다(채정린), 쇳물은 흐른다(민병균),
거대한 심적 소리(양운한), 청춘의 노래를 부르며(박팔양),
밤 렬차의 기적 소리(원진관)/-인간이 자연을 정복하고 지배
*혁명송가-조선의 별(김혁)
단편소설-불타는 섬(황건), 길동무들(김병훈), 백일홍(권정웅)
중편소설-싸우는 사람들(천세봉), 전사들(석윤기)
장편소설-두만강(이기영), 갑오농민전쟁(박태원)
*긍정적 주인공을 형상화한 소설문학 작품- 새봄(김규엽), 생명수(변희근),
녀당원(김보행), 빈터우에서(김보행),철의 신념(김리돈),
뜨거운 심장(변희근),붉은 기(), 첫 기슭()
*1970년대 북한 소설문학
1)혁명역사에 대한 예술적 형상화 -<불멸의 력사> 총서
닻은 올랐다(김정), 혁명의 여명(천세봉), 은하수(천세봉), 대지는 푸르다(석윤기), 봄우뢰(석윤기), 1932년(권정웅), 근거지의 봄(리종렬), 혈로(박유학), 백두산 기슭(현승걸, 최학수), 압록강(최학수), 위대한 사랑(최창학), 잊지 못할 겨울(진재환),고난의 행군/두만강지구(석윤기), 준엄한 전구(김병훈)등
2)토지개혁 투쟁의 형상화 - 새봄(김규엽)
3)한국전쟁 현실의 형상화
낙동강(엄단웅), 천산령을 넘어서(정창윤), 그들은 함께 싸웠다(정순봉, 최학수),준엄한 겨울(이상룡), 메아리(정성훈), 특수전선(김동섭)
4)사회주의 현실에 대한 다양한 형상화
빛을 따라(정창윤), 자기 위치 앞으로(엄단웅), 강물은 한 곬으로(주유훈), 햇빛을 안고 온 청년(이종렬), 혁명전위(성혜랑), 혁명소조원 김동무(정창윤), 평양시간(최학수), 생명수(변희근), 지하의 별(변희근), 불바람(이종렬), 꽃피는 대지(최재석), 해빛 찬란한 들(최국명)
*1980년대
1)인텔리 형상 창조
평론가 김려숙, 청춘송가(남대현), 양심과 운명(이동구), 후대의 길(이호인), 생활의 언덕(김교섭), 생명(백남룡)
2)노동계급의 전형 창조
평양시간(최학수), 생명수/뜨거운 심장(변희근), 철의 신념(김리돈), 녀당원/빈터우에서(김보행),
3)과학기술의 혁신문제와 청년전위의 주체적 등장
령마루(엄단웅), 밤노을(장동일), 먼길(정창윤), 봄은 아직 멀리에(신용선), 청춘송가(남대현)
4)여성의 자주성의 문제
녀당원(김보행), 탄생하는 계절(김수경), 생활의 언덕(김교섭)
*1990년대
1)김정일의 형상 창조-<불멸의 향도>총서
아침해-1989년 발표(현승걸), 예지(리종렬), 불구름(박현), 동해천리(백남룡), 전환(권정웅), 평양의 봉화(안동춘), 서해전역(박태수), 평양은 선언한다(리종렬), 총검을 들고(송상원)등
2)농촌에서의 삶의 가치 고양
시집<궤도를 따라>, 선희! 좋은 밤이다(리근지), 도시처녀 시집와요(최준경), 뻐국새가 노래하는 곳/사랑(이태균), 사랑(이태윤), 동해천리
3)애정 모티프의 대담한 등장
삶의 향기(정현철), 사랑(이태윤), 동해천리(백남룡), 청춘송가(남대현)
4)과학기술문제와 과학환상소설의 창조
푸른 이삭(황정상), 별은 돌아오리라(박종렬)
5)통일염원문학 - 쇠찌르레기(림종상), 상봉(남대현), 열쇠(류도희), 림진각(김명익)
*영화배우: 홍영희(꽃파는 처녀), 오미란(도라지 꽃)
영화: 한 녀학생의 일기
*장편소설 군바바/단편소설 열쇠(김혜성)
*비전향장기수를 형상한 작품
93년3월19일-주인공 이인모(한웅빈), 최후의 한 사람-주인공 함세환(림재성),지리산 갈범(김진성), 조국의 아들-김선명의 일대기(4.15문학창작단), 북으로 가는 길(권정웅), 봄날은 온다(김종석), 포옹(김은옥), 자유(김정)
*비전향장기수를 다룬 남한의 작가- 살아 있는 무덤/완전한 만남(김하기)
남한 영화-선택(홍기선감독), 송환(김동원감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