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상대사가 당나라에서 귀국하여
화엄법회를 열고 교화에 힘쓸 때였다.
☆☆☆
하루는 노인 한 사람이
8명의 동자를 데리고 의상대사를 찾아왔다.
『대사시여! 우리는 동해안을 수호하는 호법신장이옵니다.
이제 인연이 다하여 이곳을 떠나면서 스님께 부탁드릴 말씀이 있어
이렇게 찾아왔습니다.』
『그 동안 불법을 수호하느라 수고 많으셨습니다.
소승에게 부탁할 일이 무엇인지 어서 말씀해 보시지요.』
『그 동안 저희들은 이곳에 부처님을 모시고자 원을 세웠으나
인연 닿는 스님이 없어 원력을 성취 못했습니다.
떠나기 직전에 스님께서 오시어
친견케 됨을 참으로 다행스럽게 생각합니다.
화엄법계로 장엄하려는 스님의 뜻을
저희들이 살아온 도량에서부터 시작하여 주시면
더없이 감사하겠습니다.』
『소승에게 불사의 인연을 맺도록 해주셨으니
여한을 풀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의상법사의 대답을 들은 호법신장들은
고맙다는 인사를 하고는 홀연히 사라졌다.
☆☆☆
며칠 후 의상대사는
동해안의 불사 인연지를 찾아 나섰다.
포항에 도착하여 동해안을 거슬러 오르는데
어디선가 한 마리 용이 나타났다.
용은 의상 스님에게 인사를 드리더니
앞장서서 길을 인도했다.
☆☆☆
스님이 울진포 앞바다에 다다르자
용은 바다 속으로 자취를 감추었다.
그때 울진포 앞바다에는 오색 안개가 자욱하게 끼어 있었는데
마치 기다렸다는 듯 스님을 사모하다 용이 된 선묘룡이 스님을 반갑게 맞았다.
『스님! 어서 오세요.
지금부터 제가 안내하겠습니다.』
지금의 천축산 입구에서 선묘룡은 문득 멈추고는 말했다.
『이제부터는 어려우시더라도 손수 인연지를 찾으셔야 겠습니다.』
인사를 마친 선묘룡은 훌쩍 사라졌다.
☆☆☆
8일간 천축산을 돌아보며 절터를 찾던 의상 스님은
피로에 지쳐 어느 연못가에 쉬고 있었다.
문득 못 쪽을 바라보던 스님은
그만 벌떡 일어서고 말았다.
연못의 물위에 부처님의 형상이 비치고 있지 않은가.
감격한 의상 스님은 그 자리에서 수없이 절을 했다.
그리고는 부처님 영상이 어떻게 나타났는가 주위를 살펴보니
마치 부처님 형상과 꼭 같은 바위가 하나 서 있었다.
그때 의상은 노인의 말이 떠올랐다.
『아! 이곳이 바로 호법신장들이 기거하며 불법을 수호하던 못이로구나.
이곳에서 화엄대법회를 열고 가람을 세워야지.』
☆☆☆
의상 스님은 우선 노인과 8명의 동자 호법신장들을 위해
《화엄경》을 독송하고 그 뜻을 설하기 시작했다.
그때 노인과 8명의 동자가
못 속에서 올라와 열심히 설법을 들었다.
『이 산은 석가모니 부처님께서
천축산에 계실 당시의 형상과 똑같으며
연못에 비친 부처님 영상은
천축산서 설법하시던 부처님 모습입니다.
주위 환경은 영산회상이 응화된 것이지요.』
설법을 다 들은 노인은 의상 스님에게
그곳에 대한 설명을 하고는 동자들과 함께 용으로 변하여 승천했다.
☆☆☆
의상대사가 주위를 살펴보니
산세가 노인의 말 대로였다.
북으로는 연꽃처럼 생긴 봉우리가 있고
부처님의 형상과 비슷한 바위와 탑들이 마치 설산 당시의
부처님 회상 같았다.
스님은 용들이 살던 연못을 메워 금당을 짓고
부처님 영상이 나타난 곳이라 하여 불영사라 이름했다.
부처님 영상이 나타난 곳에는
무영탑을 조성했다.
☆☆☆
지금도 무영탑이라 불리는 3층 석탑이 남아 있는데
상대중석(上臺中石) 네 쪽 중 두 쪽은 없는 상태다.
연못에 비친 부처님 형상을 한 바위는
불영암 또는 부처바위라 불리우고
탑 모양의 바위는 탑바위,
연꽃 형상의 봉우리는 연화봉이라 명했으며
산 이름은 천축산이라 지었다.
또 불영사 계곡을 흐르는 광천계곡은
일명 구룡계곡이라고 불리운다.
☆☆☆
이러한 유래를 지닌 불영사에는
두 차례의 이적을 보여 지금도 전해지고 있다.
조선조 성종 5년, 백극제라는 사람이
울진에 신관 사또로 부임한 지 며칠 안되어 죽었다.
사또의 부인은 남편의 왕생극락을 빌기 위해
영구를 갖고 불영사에 와서 기도를 올렸다.
3일째 되던 날 밤이었다.
난데없이 도깨비가 나타나
『7년 원한이 풀렸다』면서 도망을 쳤다.
부인은 괴이하게 생각하고 관뚜껑을 열어 보았더니
죽었던 남편이 살아서 벌떡 일어나는 것이 아닌가.
되살아난 사또와 부인은 기도의 영험이 너무 고마워
불영사에 금자연경(金字蓮經) 7축(七軸)을 보시했다.
☆☆☆
두 번 째는 조선 숙종 때였다.
왕비 인현왕후는 후궁의 모함으로 쫓겨나게 되어
자살하려고 마음을 먹었다.
왕비는 그날 밤
꿈에 한 스님을 만났다.
『소승 불영사에서 왔습니다.
내일은 상서롭고 좋은 일이 있을 테니
마음을 돌려먹고 너무 심려치 마십시오.』
과연 이튿날 후궁의 못된 음모가 탄로나
왕비는 무사히 환궁하게 되었다.
인현왕후는 불은에 감사하는 뜻으로
절산 10리 사방을 하사하였다.
절산 10리 사방의 방대한 부동산은
지금까지도 불영사 소유로 유지되고 있다.
☆☆☆
의상대사가 맨 처음 세웠다는 이 절은
신라 제 28대 진덕여왕 5년(651)에 창건되었다.
조선조 태조 5년에 소실되어 나한전만 남았다가
이듬해 소설법사가 재건했으나 임진왜란으로 다시 대부분이 소실되고
극락전과 응진전이 겨우 남았다가
광해 원년 성원법사가 다시 재건하여 오늘에 이르는데,
현존하는 건물로는
극락전, 응진전이 가장 오래된 것이며
대웅보전 등 12동의 건물과
창건 당시 유적으로 무영탑과 대웅전 축대 밑의 돌거북 2기가 있다.
인근의 적송(赤松)은 한국 최고의 수고(樹高, 50∼1백m)와
최대·최고·최다의 지역으로 식물학계에 널리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