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열을 내리는 음식은 어떤 것이 있나?
위열이 오르면 위산 과다가 자연적으로 생기고 역류성 식도성으로 위산이 입으로 넘어오면서
냄새가 나고 쓴맛이 느껴진다.
감입차나 레몬쥬스를 마시면 좋다.
위산을 줄이는 방법은 알카리 성분을 섭취하며 위산의 제산 효과가 일어나서 위산 역류가 줄어든다.
(제산제)
민간 요법으로는 식빵이나 물을 마셔 희석을 시키는 방법이다.
위산이 많이 나오면 가슴과 머리의 열도 많아지는데 체질의 개선이 필요하고
입냄세 제거를 위해서 귤껍질 차 , 유자차등을 자주 마시면 좋다.
=========================================================
국화주(민선꽃향)
맵고 달고 쓰고 약간 차다.
1.오한 열, 두통, 머리가 어지러운 현상을 개선
2. 신경을 지나치게 써서 일어나는 고혈압으로 머리가 팽창되는 듯한 것을 없앰
3. 간기능을 활성화하여 눈충혈되는 현상을 없애고
간신 음허 증상으로 눈이 어지럽고 꽃이나 별 같은 것이 헛 보이는 증상에 구기자, 숙지황을 같이 사용한다
4, 열독을 제거하여 피부가 헐어 생기는 발진에 유효하다
5.위열을 제거하므로 복통, 위산 과다, 찬 음료를 즐기며 소화가 잘 안되고 입안에 냄새 나는 것을 치료한다.
고혈압에는 땅싸리잎차와 비수리잎차가 좋다.
====================================================
국화주 만드는 법
재료 - 국화꽃 100g (말린 것 80g), 소주 1.8L
국화꽃을 물에 살짝 헹구어 물기를 뺀 다음 용기에 넣고 소주를 부어 밀봉 한 다음
서늘한 곳에 3개월 정도 저장하면 술이 거의 다 익는데
이때 찌꺼기는 체로 걸러 내고 보관한다
복용법- 하루 2회 (소주잔으로 한잔씩) 마시는 것이 좋다.
===================================================
형개
꿀풀과의 일년생 초본으로 중국 원산이나 우리나라 전국 산야에 자생한다.
맛은 시고 따뜻하다. 성분은 멘톨을 주성분으로 하는 정유가 약 1.8% 정도 들어있다.
해열 작용, 말초 혈관의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발한을 억제하는 땀의 분비를 촉진한다.
혈액 응고 시간을 단축시키는 작용을 한다.
혈액 부족에 의한 어지러운 증상등에도 쓰인다.
=====================================================
황금
꿀풀과의 여러해살이 풀로 산지의 풀밭에서 자란다.
해열, 이뇨, 지사 , 이담, 소염제로 쓰인다.
=========================================
한방에서의 입 냄새는 크게 위열과 간열 및 신열에 의해서 발생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위열과 함께 발생할 수 있는 역류성 식도염까지 함께 겪고 있는 사례가 많다.
이러한 역류성 식도염은 초기에는 위나 십이지장의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해 점막에 손상을 줌으로써
염증 및 궤양, 출혈 등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악화되면 식도암까지 유발할 수 있다.
역류는 대부분의 사람에서 트림 등 정상적 생리현상이나 역류성 식도염은 역류가 자주되거나
역류지속시간이 비정상적으로 지속돼 점막 자극과 통증을 유발한다.
▶한방치료로 원인부터 말끔하게!
위열과 역류성 식도염으로 인한 구취(입냄새)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위의 열을 직접적으로 내려주고
독성을 해독해주는 천화분과 황련 등의 한약재를 처방하여 위장의 열 내림과 동시에 기능을 정상화 시켜
구취(입냄새)의 원인을 제거 해야한다.
이와 함께 위장의 기능을 강화하는 혈 자리에 침 치료로 자극을 주어 기혈의 순환을 촉진 시켜
근본적 몸 속의 건강을 증진 시키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증상을 가진 사람들이 지켜야 할 생활습관을 강조했다.
①담배와 술은 절대적으로 피해야 할 항목이다.
②기름기 많은 음식이나 커피, 초콜릿, 오렌지 주스를 피해야 한다.
③식사 후 바로 눕지 말고 적당한 운동이 필요하다
④비만인 사람은 단 몇 kg이라도 체중감량이 필요하다
⑤침대를 사용할 경우에는 침대의 머리 부분을 올려주는 것이 좋다.
=======================================
사시사철 식욕이 과해서 문제인 사람도 있다.
한의학에서는 그 원인을 '위열(胃熱)'로 본다.
위에 열이 과하게 몰려 있으면 과열된 공장과 같아서 지속적으로 음식이 들어올 것을 재촉한다"
"이럴 땐 위열을 제거해 줄 수 있는 약제와 음식이 필요한데 시중에서 구할 수 있는 것으로는 칡이 있다"
칡은 한약재 이름으로는 '갈근(葛根)'이라고 한다.
위의 열을 제거하는 데 탁월한 효과가 있기 때문에 음주 후 위장의 열로 인해 숙취를 일으키는 상황에서도 좋은 약이 된다.
식탐이 심한 사람은 욕구를 제어하는 능력이 부족하고 열이 많은 열성 체질인 경우가 많다.
소모되는 에너지가 많은 만큼 음식 공급을 재촉해 과도한 식욕을 일으킨다.
이런 사람들은 보통 성격이 급하고 짜증을 잘 내는 편이다.
스트레스 역시 기의 울체를 유발해 열을 발생시킨다.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식욕이 증가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과도한 식욕이 고민인 사람은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즉시 음식을 먹지 않고 어느 정도 풀린 후에 먹기
△일 처리를 급하게 하려는 성향을 바꿀 것
△칡 음료나 차를 마셔 볼 것 △먹는 것으로 스트레스를 푸는 대신 운동, 수다, 노래 등 활동적인 일로 발산할 것 △
위에 열을 일으키는 단 음식이나 탄수화물 섭취를 줄일 것을 권한다.
=============================================
출처-네이버 및 신문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