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안씨 안서우(安瑞羽,1664~1735)
안서우(安瑞羽,1664~1735)
조선 후기의 학자.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봉거(鳳擧), 호는 양기옹(兩棄翁) 또는 양기재(兩棄齋). 1694년(숙종 20) 문과에 급제하였고, 성묘종사사건(聖廟從祀事件)에 연루되어 30년간 낙척(落拓)하였으며, 태안군수·울산부사를 지낸 뒤에는 무주에 살면서 산수승경을 즐기며 은거생활을 하였다. 연시조인 〈유원십이곡 楡院十二曲〉 13수를 비롯 19수의 시조를 남겼다. 시조작품들의 주제를 살펴보면, 수분안행(守分安行)·은거(隱居)·청산옥수(靑山玉水)·백운청산(白雲靑山)·경전채초(耕田採樵)·청풍명월·물외한정·백운백구·강호구로(江湖鷗鷺)·도연명(陶淵明)·효(孝)·물외한거(物外閒居)·근신(謹愼)·옥봉운(玉峰雲)·적성하(赤城霞)·산촌은거·산수연하(山水烟霞)·벽봉창파(碧峰蒼波)·연하풍월(烟霞風月) 등으로 나누어진다. 작품 대부분이 산촌에 은거하면서 자연을 즐기며 자족한 작품이라는 것이 특징이며, 도연명의 귀거래적인 사상이 각 시조작품에 영향을 주었다고 본다. 이 작품들은 문집인 《양기재유고》와 《양기재산고》에 실려 있다.
가계도
안방걸(安邦傑) ---- 안유(安綏) - 안지(安祉) - 안수(安壽) - 안해(安海) - 안기(安器) - 안성(安省) - 안종생(安從生) - 안팽로(安彭老) - 안윤덕(安潤德) - 안한언(安漢彦) - 안여경(安汝敬) - 안황(安滉) - 안응원(安應元) - 안시성(安時聖) - 안신행(安信行) - (系) 안서우(安瑞羽) - 안극(安極) - 안정복(安鼎福) - 안경증(安景曾)
출처 :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안서우(安瑞羽)

[문과]
숙종(肅宗) 20년 (1694) 갑술(甲戌) 별시(別試) 병과(丙科) 18위
[인적사항]
UCI G002+AKS-KHF_13C548C11CC6B0B1664X0
자 봉거(鳳擧)
생년 갑진(甲辰) 1664년
합격연령 31세
본관 광주(廣州)
거주지 미상(未詳)
[이력사항]전력품계 통덕랑(通德郞)
품계 통정대부(通政大夫)
타과 숙종(肅宗) 17년(1691) 신미(辛未)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가족사항]
[부] 성명 : 안신행(安信行)
[생부] 성명 : 안건행(安健行)
[조부] 성명 : 안시망(安時望)
[증조부] 성명 : 안응원(安應元)
[외조부] 성명 : 신득패(申得沛)
[처부] 성명 : 홍만도(洪萬燾)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출처 :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안서우(安瑞羽)
[생원진사시]
숙종(肅宗) 17년 (1691) 신미(辛未) 증광시(增廣試) 생원(生員) 2등(二等) 12위
[인적사항]
UCI G002+AKS-KHF_13C548C11CC6B0B1664X0
자 봉거(鳳擧)
생년 갑진(甲辰) 1664년
합격연령 28세
본관 광주(廣州)
거주지 경(京)
[이력사항]
전력 유학(幼學)
타과 숙종(肅宗) 20년(1694) 갑술(甲戌) 별시(別試)
[가족사항]
[부] 성명 : 안건행(安健行)
관직 : 전행선공감참봉(前行繕工監參奉)
품계 : 통덕랑(通德郞)
[부모구존] 구경하(具慶下)
[형] 안서문(安瑞文)
[형] 안서욱(安瑞旭)
[형] 안서채(安瑞采)
[출전]
CD-ROM 《사마방목(司馬榜目)》(韓國精神文化硏究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