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고저압 압력 스위치는 고압차단용 과 저압차단용을 합친 것으로서 하나의 케이스에 각각이 독립해서 존재하고 접점부분만이 한곳에 모아져 있다. 따라서 벨로우즈, 레버 , 접점조정 나사 등이 2조(set)씩 갖추어져 있다. 이것은 배관계통내의 냉매압력에 의해 냉동장치의 압축기의 운전을 기동 / 정지 하는 것으로서 고압차단측은 압축기 토출압력에 의해 , 저압차단측은 압축기 흡입압력에 의해 작동된다. | ||||||||
즉 토출압력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졌을 때 또는 흡입압력이 비정상적으로 낮아졌을 때 접점을 끊어서 압축기를 정지시키는데 사용된다 . 따라서 토출압력 , 흡입압력 모두 정상이 아니면 압축기는 운전불가능하다. | ||||||||
| ||||||||
고저압 압력 스위치 구조도 | ||||||||
|
| ||||
| ||||
1) 작용 | ||||
유압보호스위치는 어떤 일정한 시간내(90초 전후) ,유압이 안전한도 내의 압력 이하로 낮아질 때 , 전기접접을 끊어 압축기를 정지시켜서 베어링부분의 소손을 방지한다. | ||||
유압보호스위치 스위치와 보통 압력스위치와의 주된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 ||||
①압력검출용 벨로우즈를 2개 갖고 있어서 양향의 압력차에 의해서 작동한다. | ||||
②타이머기구를 갖기 때문에 조작회로를 제어하는 접점은 차압의 이상이 발생한 후 일정한 시간 지나고 나서 작동한다. | ||||
| ||||
| ||||
2) 구조와 작동 | ||||
이 스위치에는 두 개의벨로우즈가 좌우양측에 설치되어 있는데 ,한쪽은 흡입압력 ,다른 한쪽은 유압압력을 받는다. 레버는 이 흡입압력과 유압의 차압에 의해서 작동해서 접점 A를 움직인다. 이 차압이 작다 →크다로 변화(유압이 상승)하면 접점A는 「ON」→「OFF」로 되어 히타로의 통전은 안되게 되고 접점B는 그대로 유지된다. 이때의 유압은 오일펌프에 의해서 압축기 각 베어링부분으로 압송되는 압력으로서 정상운전에서는 흡입압력보다도 1.5~5㎏f/㎠정도 높다. | ||||
그렇지만 압축기 기동시의 유압은 물론 상승되어 있지 않다. | ||||
여기서 접점 A는 유압이 낮아질 때의 소손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것 일뿐이라면,유압저하에 접점A를 직접 사용하면 좋다. 그런데 압축기의 기동후 유압이 상승할 때 까지는 압축기의 제어회로가 「OFF」로 되는 것을 늦출 필요가 있다. | ||||
즉 , 그림에서 유압과 흡입압력의 차가 일정한 값에 도달하지 않을 때 ,접점 A는 「ON」으로서 히타에 통전이 되어 히타의 열에 의해서 바이메탈이 변형되고 , 그 후 접점 B가 「OFF」로 되면 압축기가 정지된다. | ||||
접점 A가 「ON」으로 , 접점 B가 「OFF」될 때까지의 유압이 상승하면 (정상기동) , 즉시 히타의 전류를 끊어 져서 접점B는 「ON」인 채로 압축기 운전을 계속한다. | ||||
| ||||
유압보호 압력스위치의 결선도 | ||||
| ||||
이 스위치는 수동 복귀형이므로 히타 코일이 완전히 식은 다음 수동 복귀버튼을 눌러야 된다. 차압의 변경요구시에도 최소한 0.7㎏f/㎠이하로 설정하여서는 안된다. |
| ||||
| ||||
1) 작용 | ||||
압력스위치는 감지한 압력이 상승 또는 하강할 때 접점을 "개폐"하는데 이중에서 조정된 설정압력보다도 벨로우즈에 가해지는 압력이 놓을 때 , 접점을 끊는 것을 고압차단용(고압차단 스위치) , 반대의 것을 저압차단용( 저압차단스위치)이라고 한다. | ||||
| ||||
2) 작동압력차(Differential) | ||||
작동압력차의 압력폭은 작은쪽이 압력의 제어를 정밀하게 할 수 있다. | ||||
그러나 , 고압차단 장치와 같이 적당한 압력차가 필요한 경우가 있으며 제어의 안정에도 필요하다. | ||||
또한 접점기구에는 스냅액션(snap action)이 필요한데 접점이 ON(또는 OFF)의 위치에 좀 더 가까이 오면 , 기세좋게 "짤깍"하고 ON(또는 OFF)로 되는 동작을 한다. 만일 이것이 아니고 벨로우즈나 바이메탈의 움직임과 같이 천천히 접점이 가까이 가는 경우에는 ,양쪽의 접점이 아주 가까운 거리로서 접촉하지 않은 상태가 되는데 , 그 사이에 방전이 일어나서 접점이 손상되고 용착을 일으킨다. | ||||
이와같이 스냅액션은 설정점보다도 지나쳐간 만큼의 에너지를 스프링에 저장해서 한꺼번에 동작시키는데 , 이 때문에 작동압력차는 꼭 필요하다. | ||||
압력스위치에서는 작동압력차의 폭을 스프링의 힘을 변화시켜 조합할 수 있는 것과 고정한 것이 있다. | ||||
| ||||
| ||||
3) 구조와 작동 | ||||
압력스위치의 벨로우즈 캡속에는 벨로우즈가 있고 캡에 플레어너트(flare nut)로 접속된 압력검출관에 의해서 가스압력이 유도되어 압력의 상승 또는 강하에 따라서 벨로우즈가 작동한다. | ||||
즉 벨로우즈캡 전달된 압력이 높아지면 벨로우즈압력조정스프링에 대항해서 벨로우즈저판이 움직여서 레버기구에 전달되어 접점을 개폐한다.(마이크로 스위치를 사용하는 것도 있다.) | ||||
| ||||
4) 구분 | ||||
고압압력스위치에는 압력상승시 시스템을 정지시키는 목적의 레세트버튼이 있는 수동복귀형과 주로 실외팬제어용 스위치로 사용되고있는 리세트버튼이 없는 자동복귀형의 것이 있으며 저압압력스치는 대부분 자동복귀형을 사용하고있다. | ||||
|
첫댓글 m
감사